||<-6><:>[[파일:SNCF 로고.svg|width=40px]]|| ||<-3> {{{+2 '''Gare d'Orléans'''}}}[br]'''오를레앙역''' || ||<-6>[include(틀:지도,장소=Gare d'Orléans,너비=100%,높이=225px)]|| ||<-3> [[파일:SNCF 로고.svg|width=40px]] [[TER|{{{#000000,#e5e5e5 '''TER Centre-Val de Loire /[br]TER Pays de la Loire'''}}}]] || || [[투르역|{{{#585858 {{{#!html
투르,
}}}}}}]][[낭트역|{{{#585858 {{{#!html
낭트,
}}}}}}]] [[르 크루아직역|{{{#585858 {{{#!html
르 크루아직 방면
}}}}}}]][[보장시역|보장시]][br] ← km || {{{#ffffff {{{#!html
Interloire
}}}}}} || {{{#!html
시종착}}} || ||<-3> [[파일:SNCF 로고.svg|width=40px]] [[TER|{{{#000000,#e5e5e5 '''TER Centre-Val de Loire'''}}}]] || || {{{#!html
시종착}}} || [[TER|{{{#ffffff {{{#!html
Rémi
Express
}}}}}}]] || [[파리 오스테를리츠역|{{{#585858 {{{#!html
파리(오스테를리츠)
방면,
}}}}}}]][[레 조브레역|레 조브레]][br] → km || || {{{#!html
시종착}}} || [[TER|{{{#ffffff {{{#!html
Rémi
}}}}}}]] || [[파리 오스테를리츠역|{{{#585858 {{{#!html
파리(오스테를리츠)
방면,
}}}}}}]][[레 조브레역|레 조브레]][br] → km || || [[비에르종 빌역|{{{#585858 {{{#!html
비에르종,
}}}}}}]][[샤토루역|{{{#585858 {{{#!html
샤토루 방면
}}}}}}]][[생 시르 앙 발-라 수르스역|생 시르 앙 발-[br]라 수르스]][br] ← km || [[TER|{{{#ffffff {{{#!html
Rémi
}}}}}}]] || {{{#!html
시종착}}} || || [[부르주역|{{{#585858 {{{#!html
부르주,
}}}}}}]][[느베르역|{{{#585858 {{{#!html
느베르 방면
}}}}}}]][[생 시르 앙 발-라 수르스역|생 시르 앙 발-[br]라 수르스]][br] ← km || [[TER|{{{#ffffff {{{#!html
Rémi
}}}}}}]] || {{{#!html
시종착}}} || || [[투르역|{{{#585858 {{{#!html
투르,
}}}}}}]][[블루아-샹보르역|{{{#585858 {{{#!html
블루아-샹보르 방면
}}}}}}]][[라 샤펠-생 메맹역|라 샤펠-생 메맹]] /[br][[묑 쉬르 루아르역|묑 쉬르 루아르]][br] ← km || [[TER|{{{#ffffff {{{#!html
Rémi
}}}}}}]] || {{{#!html
시종착}}} || || [[살브리스역|{{{#585858 {{{#!html
살브리스 방면
}}}}}}]][[라모트 뵈브롱역|라모트 뵈브롱]][br] ← km || [[TER|{{{#ffffff {{{#!html
Rémi
}}}}}}]] || {{{#!html
시종착}}} || || [[샤토루역|{{{#585858 {{{#!html
샤토루,
}}}}}}]] [[리모주 베네딕탱역|{{{#585858 {{{#!html
리모주 방면
}}}}}}]][[비에르종역|비에르종]][br] ← km || [[TER|{{{#ffffff {{{#!html
Rémi
}}}}}}]] || {{{#!html
시종착}}} || [[프랑스]] [[상트르발드루아르]] 지방 [[오를레앙]] 시의 철도역이다. 종착역이며, [[TGV]]는 운행하지 않아 상트르발드루아르 지방의 TER 노선을 운행하는 열차만 정차한다. 4면 6선 구조이며, 연간 이용객은 약 343만명(2018)에 달한다. 1843년 파리-오를레앙 철도회사(la compagnie du chemin de fer de Paris à Orléans; PO)가 오를레앙-파리 오를레앙역[* [[파리 오스테를리츠역]]의 원래 명칭, [[파리 리옹역]]과 같은 방식으로 작명했다고 보면 된다.] 노선을 개통한 시점에 맞추어 우선은 간이역 수준으로 세워놓고 열차의 운행을 시작, 파리까지 일 3회 왕복운행했다. 몇 개월 후 대합실을 완공한 뒤, 프랑스 철도교통의 급속한 확장에 따라 역도 몇 번의 소규모 개, 증축을 통해 규모를 확장해갔다. 기존의 역이 포화상태에 다다름에 따라 1902년에 아예 구역사를 '''밀어버리고''' 신역사를 완공했으나 2차대전중 폭격에 의해 크게 훼손된다. 이후 1965년에 구역사를 또 '''밀어버리고''' 세번째 오를레앙역을 세운다. 이것도 부족했는지 2005년에 또 '''밀어버리고''' 2007년에 네번째 역사를 완공,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편, 파리-[[리옹]]을 연결하는 남동 고속선(LGV Sud-Est)과 [[파리 리옹역]], [[리옹 파르디외역]]의 포화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파리 오스테를리츠-오를레앙-클레르몽페랑-리옹 고속선(LGV POCL)이 검토에 들어갔으며, 타당성 검토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오면 2030년 넘어서는 TGV가 오를레앙에 정차할 수도 있다. [[분류:프랑스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