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형사 다크]]를 원작으로 하는 게임들. [목차] === [[패밀리 컴퓨터|패미컴(NES)]] 버전 === [[파일:external/img1.game-oldies.com/darkwing-duck-usa.png]] 이 작품 역시 [[다람쥐 구조대]]나, 이 시리즈의 원작격인 [[욕심쟁이 오리아저씨]]처럼 [[캡콤]]에서 판권을 얻어 [[패밀리 컴퓨터|NES]], [[게임보이]]판 [[https://www.youtube.com/watch?v=b7gzpT-fyJg|게임]]으로 만든 바 있다.(일본에는 미발매) [[BGM]]은 [[록맨 3]]의 BGM을 담당했던 후지타 야스아키가 작곡하였다. 1992년작. || [youtube(0NEZxg0ylwY)] || 액션 명가 캡콤답게 정석적인 2D [[플랫폼]] [[액션 게임]]으로써 준수한 완성도를 보여준다. 한 스테이지에 2개씩 미니 게임을 할수있는 보너스 스테이지가 존재하며 특정 위치에 총을 쏘면 진입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게임은 한때 [[록맨 클래식 시리즈|록맨]]팬들을 울린 주범이다. 왜냐하면 [[록맨 5]]가 나왔을 당시 국내에 돌던 [[패밀리 컴퓨터|패미컴]]판 롬 팩 가운데 이 다크윙 덕 게임에서 캐릭터만 록맨으로 바꾼 해킹 롬 팩에 낚인 어린이들이 한둘이 아니기 때문. 당시 해킹 짝퉁 팩이지만 무려 4만원에 팔기도 하였다. 진짜 록맨 5가 발매된 것은 1992년 12월인데, 공교롭게도 비슷한 시기에 이 해킹 팩을 [[백화점]]의 게임샵에서 팔기도 했다. 록맨 5와 다크윙 덕 NES판은 북미 캡콤에서 주도한 작품이라 [[게임 엔진]] 및 시스템이 거의 같아서 록맨 5보다 조금 더 일찍 나온 다크윙 덕을 록맨 5인 것처럼 속여 팔기 위해 [[스프라이트]]를 조작해 진짜 록맨 5가 나오기 앞서 패미컴판 롬 팩으로 풀어버린 게 [[https://www.youtube.com/watch?v=CP6iRBi_cls|이것]]이다. 잘 보면 알겠지만 클래식 록맨 특유의 SE가 아닌 데다가 색도 어색하고 전혀 연관 없는 캐릭터와 차지, 슬라이딩이 없는 게 짝퉁이라는 증거다. 그리고 록맨 5에 [[록맨 4]]의 부제가 달려 있으며, 원래 대사인 'I AM DARKWING DUCK(나는 --[[배트맨]]--다크윙 덕이다)'가 그대로 표시되었다. 'I AM DARKWING DUCK' 대신 'ⓒ1996'가 표시되는 버전도 존재. 하지만 당시 [[초등학생]] 정도의 사람들은 이를 알아차리기가 참 힘들었다. 게임 잡지가 없으면 정보를 알 수 없는 시대였기 때문이다. 좀 황당한 우연이 하나 더 존재하는데, 본 게임의 천장이나 발판 아래에 매달리거나 매달린 상태서 점프로 뛰어오를 수 있는 액션은 [[록맨 제로 4]]의 제로 너클과 [[록맨 ZX 시리즈]]의 [[라이브메탈]] [[모델 P]]가 가진 매달리기 액션으로 계승되었다. 활용법도 거의 상이하다. NES판은 훗날 2017년 4월 18일에 [[PlayStation 4|PS4]], [[Xbox One]], [[Steam|스팀]]으로 발매된 [[https://store.steampowered.com/app/525040/The_Disney_Afternoon_Collection/|더 디즈니 애프터눈 컬렉션]][* 이 컬렉션에는 [[패밀리 컴퓨터|패미컴]] 시절 [[캡콤]]에서 제작했던 [[디즈니 만화동산]] 타이틀이 6개 수록되어 있다. 수록된 타이틀은 [[욕심쟁이 오리아저씨|덕 테일즈]] 1·2편, [[다람쥐 구조대]] 1·2편, 테일 스핀, 다크윙 덕이다. 이식 담당사는 [[록맨 레거시 컬렉션]]을 개발했던 디지털 이클립스 소프트웨어.]에 수록되었으며, [[에뮬레이터]]에서나 가능했던 되감기, 강제 세이브 기능, 별도의 [[타임 어택]], [[보스 러시]] 모드도 추가되었다. 이는 컬렉션에 수록된 다른 타이틀도 마찬가지. || [youtube(EGdVaCQY2dk)] || 비공식 후속작이 개발되고 있다.([[https://www.romhacking.net/forum/index.php?topic=17085.0|프로젝트 페이지]]·[[https://www.youtube.com/@SergiRaregame|제작자의 유튜브 채널]]) === [[PC 엔진|PC 엔진(터보그래픽스 16)]] 버전 === [[파일:external/www.wrathandrainbows.com/darkwing-duck-tg16.jpg]] Radiance Software와 Interactive Designs라는 회사에서 제작하고 NES판과 [[1992년|같은 해]]에 Turbo Technologies, Inc.에서 출시한 [[PC 엔진]]판 다크윙 덕은 게임의 질이 좋지 못하다. || [youtube(pS7R1xUdXR0)] || [youtube(4AWFoXt2BL0)] || 게임의 속도감이 너무 없고, 주 공격은 점프해서 밟기와 가스 총 쏘기. 그러나 점프해서 밟으려 할 때 '''아래 방향키를 눌러야''' 공격을 할 수 있고, 그냥 점프하면 피격판정으로 반대로 체력이 깎인다. 특이하게도 아이템을 발판삼아 연속으로 점프할 수 있으며 일부 아이템 배치도 이렇게 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총알은 주어지지 않으며 중간에 습득해야 한다. 총알도 종류에 따라 적을 가만히 기절시키거나 적을 처치할 수 있다. 총알은 9개 이상으로 소지가 가능하나 9개를 초과하면 숫자 9가 깜박이기만 하며 10 이상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게다가 최종 보스 스테이지를 열기 위해서는 다른 보스들을 잡고 얻을 수 있는 퍼즐 조각으로 퍼즐을 맞춰 [[모나리자]] 그림을 완성시켜야 하는데, 그냥 조각을 끼워서 맞추는 퍼즐이 아니라 한 번에 한 피스를 한 칸씩만 이동시킬 수 있는, 짜증나는 퍼즐이다. 또한, 최종 보스 스테이지에 진입하면 '''처음부터 짜증나는 투명 발판을 밟고 지나가야 하는 초입부를 돌파해야 한다.''' 전체적인 제한시간은 없으나 오랫동안 가만히 있을 때 다크윙 덕이 은신하는 포즈를 볼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시간을 더 끌면 은신을 풀고 뭔가 좋지 않은 표정을 짓는데, 그 순간 바로 위에서 [[소닉 더 헤지혹 CD|'''즉사판정인 금고가 떨어진다.''']] 특이하게 C 모양의 컨티뉴 아이템이 등장한다. 일부러 스테이지를 재도전해서 늘리는 방법이 있긴 하다. || [youtube(x3cewR_sMYI)] || 2015년에 '''[[The Angry Video Game Nerd|AVGN]]'''이 이 게임을 리뷰했다.[* 공격이 되었다가 안되었다가 불평을 하는데 한 번 밟아서 공격하는 방법을 알게 되면 공격이 안 통할 리가 없다. 후반부에 금고 함정 장면은 30초 가량 가만히 있어야 나온다. 전체적으로는 재미로 연출된 장면이다.] [[2010 스트리트 파이터]]편을 통해 간접적으로 리뷰한 [[스트리트 파이터|파이팅 스트리트]] 다음 두 번째 터보그래픽스-16 게임. 또한, [[똥겜|쓰레기 게임]]의 정도를 [[The Angry Video Game Nerd#s-10.2|똥 척도]]로 표현한 것을 이 에피소드에서 공개했는데, 이 다크윙 덕은 3단계에 들어갔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오리형사 다크, version=317, paragraph=5)] [[분류:1992년 패밀리 컴퓨터 게임]][[분류:캡콤]][[분류:Windows 게임]][[분류:애니메이션 원작 게임]][[분류:욕심쟁이 오리아저씨]][[분류:디즈니 게임]][[분류:슈퍼히어로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