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뱁새, rd1=붉은머리오목눈이)] ||<-2> '''{{{#fff {{{+1 오목눈이}}}[br]银喉长尾山雀 | Long-tailed ti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egithalos caudatus.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Aegithalos caudatus'' '''[br]Linnaeus, 175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강(Aves) || ||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 || '''상목''' ||신조상목(Neoav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참새목(Passeriformes) || || '''아목''' ||참새아목(Passeri) || || '''하목''' ||참새하목(Passerides) || || '''소목''' ||흰턱딱새소목(Sylviida) || || '''상과''' ||오목눈이상과(Aegithaloide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오목눈이과(Aegithal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오목눈이속(''Aegithalo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오목눈이'''(''A. caudatus'') || [목차] [clearfix] == 소개 == [[영어]]: Long-tailed tit [[중국어]]: 银喉长尾山雀 [[일본어]]: エナガ [[헝가리어]]: Őszapó [[노르웨이어]]: Stjertmeis 참새목 오목눈이과에 속하는 조류. 공통적으로 성체의 전장(부리 끝에서 꼬리 깃 끝까지의 길이)이 14cm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흰머리오목눈이를 제외한 오목눈이들은 머리에 세로로 네개의 검은 줄이 있다. 몸보다 꽁지의 길이가 더 길며,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비행한다. 20마리 정도가 무리지어 다니며, 시끄럽게 지저귀고 다니는 습성이 있다. 평소에는 곤충을 먹고 살며, 곤충의 개체 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계절인 가을 및 겨울에는 씨앗을 먹으며 지낼 때도 있다. 육아를 하거나 집을 지을때 암수 한마리씩 말고도 다른 오목눈이가 도와주기도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XsN2Ly59JM)] }}}|| || 오목눈이 종 중 하나인 American bushtit 무리가 정원의 [[새 욕조]](birdbath)에서 목욕을 즐기는 모습. || == [[아종]] == === 제주오목눈이 === [[파일:제주오목눈이.jpg|width=450]] [[파일:Aegithalos caudatus trivirgatus.jpg|width=450]] 학명: ''Aegithalos caudatus trivirgatus'' 몸이 가늘고 꽁지가 길며 붉은머리오목눈이와 달리 머리, 날개 위쪽, 부리와 꼬리, 발은 검은 갈색이며 배부분은 흰색이다. 또한 눈 사이는 흰색이고 목 위에서 부리까지 검은 선이 있다. 북부 유럽이나 일본에서도 존재하지만 국내에서는 제주에만 존재하고 그 수도 적기 때문에 흰머리오목눈이와 마찬가지로 정보가 많지 않다. === 흰머리오목눈이 === [[파일:흰머리오목눈이.jpg|width=450]] [[파일:Aegithalos caudatus caudatus.jpg|width=450]] [[http://img.theqoo.net/img/vUEHT.jpg|링크]] 학명: ''Aegithalos caudatus caudatus'' 크기와 행동은 여타 오목눈이와 거의 다르지 않다. 다만 색이 다른데 오목눈이와는 다르게 머리 전체가 흰털만으로 이뤄져 있다. 생김새에서 눈치챌 수 있듯이 텃새인 오목눈이와 달리 겨울철새이며 [[도봉산]]에서 수차례 관측된 적은 있지만 수가 적은 탓에 연구는 거의 되어있지 않다.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bullpen2&mbsIdx=2304489&cpage=4&mbsW=&select=&opt=&keyword=|굉장히 화가 난 뱁새가 적을 무섭게 위협하고 있다]]로 인터넷 상에 주로 퍼져 있는 귀여운 새. 실제로는 위협하는 게 아니라 단순히 날개를 털고 있는 것이다. 저 짤 때문에 뱁새로 잘못 알려져 있는 경우가 많지만, 뱁새는 [[붉은머리오목눈이]]이며, 흰머리오목눈이와는 과 단위에서 다른 조류이다. ==== 대중매체에서 ==== * 흰머리오목눈이는 [[홋카이도]]를 대표하는 새이며 홋카이도 어느지역을 가던지 이 새에 대한 기념품(인형, 사진 등)을 판다. * [[서번트×서비스]]에는 배경이 홋카이도라 그런지 휴게실 배경 게시판에 이 새 세 마리가 앉아있는 사진이 붙어 있다. * [[정도전(드라마)|정도전]] 갤러리에서 [[정몽주(정도전)|정몽주]]를 이 새로 표현했다. 이름하여 정몽조. [[https://gall.dcinside.com/jeongdojeon/109858|이런 식으로.]] 정몽주로 분했던 [[임호]] 본인도 팬미팅에서 정몽조를 보고 소감을 남겼다. [[https://gall.dcinside.com/jeongdojeon/112199|여기서 20번 부분을 보자.]] * 배우 [[전미도]]가 [[슬기로운 의사생활]]에서 맡은 채송화가 이 새와 닮았다며, 새에 안경을 합성한 짤이 돌아다니기도 했다. 전미도도 이 짤을 보고 자기는 항상 조류 과를 벗어나지 못한다며 웃기도 했다. * 인터넷 방송인 [[쵸쵸우]]의 캐릭터가 쓰고 있는 모자도 이 새에서 따왔다. * [[메이플스토리]]의 [[여우 골짜기]]에 [[메이플스토리/일반 몬스터/미우미우#s-2.2|오목눈이들]]이 등장하며 각각 색깔은 [[붉은머리오목눈이|뱁새]]와 이 새에서 따왔다. 하지만 실제 오목눈이보다는 부엉이와 더 유사한 외형을 하고 있다. * [[바들바들 동물콘]]에서 '?????'가 이 녀석이다. * [[VRECORD]] 소속의 [[버츄얼 유튜버]]인 [[피요(인터넷 방송인)|피요]]의 별명이기도 한다. == 이름만 오목눈이인 것들 == 오목눈이와 전혀 다른 과에 속한다. * [[붉은머리오목눈이]](뱁새) * [[스윈호오목눈이]] * [[수염오목눈이]] [[분류:오목눈이속]][[분류:인터넷 밈/동물]][[분류:인터넷 밈/한국]][[분류:짤방/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