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정규 시즌)] [목차]` == 중간 정리 == 현재 모든 팀들이 1스테이지 라운드 6경기씩을 소화하며, 스테이지 타이틀 매치까지 절반을 넘긴 상황. 하지만 다양한 변수가 발생하면서 '''1스테이지 타이틀 매치 1-3위 매직넘버''' 계산마저도 제대로 안될 정도로 대회가 '''[[더러운 공|묘하게 꼬이고 있다]].''' [* 물론 이건 선수-코치진-프런트들 입장에서는 꼬일대로 꼬인거고, 보는 시청자들이나 오버워치 리그를 현재 운영하는 블리자드, 중계권을 가진 트위치 입장에서는 '''출범 시즌의 스테이지 1부터 [[대박|흥행이 굉장히 좋다]]'''는 의미다.]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스테이지1 3주|전 주의 경기]]에서 상위 3팀 (서울, 런던, 뉴욕)이 나란히 1패씩 얻고, [[휴스턴 아웃로즈]]가 4:0 행진을 이어가면서 이번주 라운드 경기부터는 '''이제 모든 팀들이 1승이 매우 중요해졌다.''' 스테이지1 3주차까지의 모든 팀들의 상황을 요약하면 ||<-8> ''' 상위권''' || || 1 ||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height=25]] || [[서울 다이너스티|SEO]] || 5 || 1 || +14 || 태평양 || 디비전 1위 || || 2 ||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25]] || [[뉴욕 엑셀시어|NYE]] || 5 || 1 || +11 || 대서양 || 디비전 1위 || || 3 ||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 [[런던 스핏파이어|LDN]] || 5 || 1 || +10 || 대서양 || || || 4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 [[휴스턴 아웃로즈|HOU]] || 4 || 2 || +13 || 대서양 || [* 승/패만 보면 휴스턴이 중상위로 분류되어야 할 것 같지만, 현재 승점이 13점으로 '''서울 다음이다.''' 게다가 이번주차 첫날 경기가 [[샌프란시스코 쇼크]] 전이기 때문에 샌프란시스코가 고춧가루를 뿌려서 그게 먹혀야만 4승 3패 득실승점 +12~+9 정도 나온다. 그렇지 못하면 그대로 5승 2패 득실승점 +17~+14인데, 승점상에서는 '''타이브레이커만 가도 서울과 같아진다.'''] || ||<-8> ''' 중상위권[* 그러나 첫날 경기가 이 중상위/중하위 팀들에 몰려 배정되어있어 여기 안에서 순위는 바뀔 것으로 보인다. 문자 그대로 [[이판사판]]의 상황.]''' || || 5 ||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height=25]] || [[LA 발리언트|VAL]] || 4 || 2 || +6 || 태평양 || || || 6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 [[필라델피아 퓨전|PHI]] || 4 || 2 || -1 || 대서양 || || ||<-8> '''중하위권''' || || 7 ||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5]] || [[보스턴 업라이징|BOS]] || 3 || 3 || -1 || 대서양 || || || 8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height=25]] || [[샌프란시스코 쇼크|SFS]] || 2 || 4 || -7 || 태평양 || || || 9 ||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height=25]] || [[LA 글래디에이터즈|GLA]] || 2 || 4 || -8 || 태평양 || || ||<-8> '''하위권 (이른바 [[맛집]]권)''' || || 10 ||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height=25]] || [[댈러스 퓨얼|DAL]] || 1 || 5 || -8 || 태평양 || || || 11 ||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height=25]] || [[플로리다 메이헴|FLA]] || 1 || 5 || -12 || 대서양 || || || 12 ||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height=25]] || [[상하이 드래곤즈|SHD]] || 0 || 6 || -17 || 태평양 || || 애초에 서울이 상하이에 3:1로 이겼을 당시에만 해도[* 이때가 10경기중 5전 전승 상황이었다.] 중계진, 팬들 모두 서울이 무난하게 전승으로 1스테이지 타이틀매치 1위 어드밴스를 받을 것이라 봤고 실제로도 뉴욕전을 이겼다고 가정하면 6전 전승에 득실승점 +16~+19 로 인해 3위 안정권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서울의 단꿈을 '''[[새별비]]와 [[쪼낙]]이 [[뉴욕 엑셀시어|깔끔하게 박살내면서]]''' 서울마저도 타이틀매치 1위 어드밴스를 받을 수 있는 매직넘버는 자연히 8~9승 정도로 올라갔다. 게다가 휴스턴이 뒷심을 발휘하면서 휴스턴이 서울 포함해서 모든 잔여경기 전승 시 '''진짜 스테이지1 1위 어드밴스 받고 다음 라운드도 중반부까지는 깡패팀으로 군림 가능'''한 마당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의 예상대로 한국팀들의 1~3위 독식은 커녕 휴스턴의 대반란이 일어날수도 있게 되었다. 휴스턴 못지않게 경기흐름이 웃어 주는 팀은 바로 뉴욕. 서울은 이번 주에만 런던과 휴스턴, 그리고 다음 주에는 LAV를 상대로 경기를 앞두고 있어서 이 중 하나라도 내 줬다간 그대로 순위권에서 떨어질 확률이 높은데 반해, 뉴욕은 런던을 제외한 강팀과의 경기는 이미 끝난 시점에서 전체 2위인데다 앞으로 남은 경기가 상하이/댈러스/플로리다로 맛집권 팀 전원과의 경기가 아직 남아 있기에 런던전만 조심하면 큰 이변 없이 상위권을 유지할 수 있다. 서울이 상위권에 위치해 있는 팀들을 압도적으로 이기거나 상하이와 댈러스가 이변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혹은 런던이 뉴욕을 완벽하게 압도하지 않으면 뉴욕은 앞으로 점수를 불릴 기회가 잔뜩 남은 반면 서울은 점수유지도 벅찬 상황이라는 것. == 2월 1일 == ||<-12> '''{{{#43484c 2월 1일 목요일}}}''' || ||<-12> '''{{{#fff 오전 09:00}}}''' || ||<-5>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width=50]][br]LA 발리언트 || '''4''' || 0 ||<-5>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width=50]][br]필라델피아 퓨전 || ||<-5> {{{#e5d661 '''승'''}}} ||<-2> '''{{{#43484c 결과}}}''' ||<-5> 패 || ||<-12> '''{{{#fff 오전 11:00}}}''' || ||<-5>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width=50]][br]플로리다 메이헴 || 1 || '''3''' ||<-5>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width=50]][br]LA 글래디에이터즈 || ||<-5> 패 ||<-2> '''{{{#43484c 결과}}}''' ||<-5> {{{#fff '''승'''}}} || ||<-12> '''{{{#fff 오후 01:00}}}''' || ||<-5>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width=50]][br]휴스턴 아웃로즈 || '''3''' || 1 ||<-5>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width=50]][br]샌프란시스코 쇼크 || ||<-5> {{{#000 '''승'''}}} ||<-2> '''{{{#43484c 결과}}}''' ||<-5> 패 || ||<-12> [[https://www.twitch.tv/overwatchleague_kr/v/224418975?sr=a|전체 경기 영상]] || === 1경기 VAL 4 : 0 PHI === ||<-6>
'''{{{#fff 스테이지1 4주 1일차 1경기 (2018. 02. 01.)}}}''' || ||<|2>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2> || || [[파일:눔바니 국기.svg|height=15]][br]눔바니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5]][br]아누비스 신전 || [[파일:이라크 국기.svg|height=15]][br]오아시스 ||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br]도라도 || ||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width=25]] || {{{#e5d661 {{{+1 '''3'''}}}}}} || {{{#e5d661 {{{+1 '''5'''}}}}}} || {{{#e5d661 {{{+1 '''2'''}}}}}} || {{{#e5d661 {{{+1 '''3'''}}}}}} || {{{+1 {{{#fff '''4'''}}}}}} ||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width=25]] || {{{+1 2}}} || {{{+1 4}}} || {{{+1 0}}} || {{{+1 2}}} || {{{+1 {{{#fff 0}}}}}} || ||<-6> 한국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4465304|[[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해외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4468278|[[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AbvCyEFci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17> {{{#!folding [ 스탯표 펼치기/접기 ] ||<-5>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height=20]] LA 발리언트 ||<-5>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0]] 필라델피아 퓨전 ||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선수''' || '''선수'''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 58 || 21 || {{{#green +37}}} || 0 || Envy || ShaDowBurn || 58 || 40 || {{{#green +18}}} || 18 || || 54 || 29 || {{{#green +25}}} || 33 || SoOn || Carpe || 36 || 37 || {{{#red -1}}} || 36 || || 43 || 22 || {{{#green +21}}} || 19 || Agilities || HOTBA || 29 || 31 || {{{#red -2}}} || 0 || || 39 || 21 || {{{#green +18}}} || 21 || FaTe || Fragi || 19 || 46 || {{{#red -27}}} || 21 || || 11 || 5 || {{{#green +6}}} || 5 || silkthread || neptuNo || 5 || 34 || {{{#red -29}}} || 18 || || 23 || 31 || {{{#red -8}}} || 21 || Kariv || Boombox || 9 || 43 || {{{#red -34}}} || 21 || || 1 || 30 || {{{#red -29}}} || 19 || Verbo ||<-5> || ||<-10> by [[파일:윈스턴랩 아이콘.png|width=20]] [[https://www.winstonslab.com/matches/match.php?id=2429|Agilities]] || }}}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height=25]] {{{+1 [[브래디 지라디|Envy]]}}} || === 2경기 FLA 1 : 3 GLA === ||<-6>
'''{{{#fff 스테이지1 4주 1일차 2경기 (2018. 02. 01.)}}}''' || ||<|2>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2>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br]아이헨발데 || [[파일:호라이즌 달 기지 깃발.png|height=15]][br]호라이즌 달 기지 || [[파일:이라크 국기.svg|height=15]][br]오아시스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15]][br]쓰레기촌 || ||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width=25]] || {{{+1 1}}} || {{{+1 0}}} || {{{+1 1}}} || {{{#b40404 {{{+1 '''3'''}}}}}} || {{{+1 {{{#fff 1}}}}}} || ||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width=25]] || {{{#fff {{{+1 '''2'''}}}}}} || {{{#fff {{{+1 '''1'''}}}}}} || {{{#fff {{{+1 '''2'''}}}}}} || {{{+1 2}}} || {{{+1 {{{#fff '''3'''}}}}}} || ||<-6> 한국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4499684|[[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해외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4500217|[[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b2jv75DjmZ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17> {{{#!folding [ 스탯표 펼치기/접기 ] ||<-5>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height=20]] 플로리다 메이헴 ||<-5>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height=20]] LA 글래디에이터즈 ||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선수''' || '''선수'''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 52 || 26 || {{{#green +26}}} || 6 || Manneten || Surefour || 39 || 22 || {{{#green +17}}} || 16 || || 56 || 37 || {{{#green +19}}} || 33 || Logix || Hydration || 39 || 28 || {{{#green +11}}} || 15 || || 40 || 33 || {{{#green +7}}} || 19 || TviQ || Asher || 28 || 17 || {{{#green +11}}} || 17 || || 20 || 35 || {{{#red -15}}} || 19 || CWoosH || Bischu || 40 || 30 || {{{#green +10}}} || 0 || || 9 || 31 || {{{#red -22}}} || 19 || Zebbosai || Shaz || 25 || 27 || {{{#red -2}}} || 20 || || 8 || 38 || {{{#red -30}}} || 19 || Zuppeh || BigG00se || 8 || 25 || {{{#red -17}}} || 18 || ||<-5> || iRemiix || 19 || 38 || {{{#red -19}}} || 15 || ||<-10> by [[파일:윈스턴랩 아이콘.png|width=20]] [[https://www.winstonslab.com/matches/match.php?id=2430|Winston's Lab]] || }}}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height=25]] {{{+1 [[벤자민 이소하니|BigG00se]]}}} || Player of the Match는 [[메르시]]인 BigG00se가 받았는데 사유는 발키리 상태로 킬을 많이 내서(...). 이날 메르시로 위도우인 Tviq을 4번이나 잡았으며 총 '''7킬 10데스'''라는 기록을 달성했다. 여담으로 중간에 경기가 아무 이유없이 끊기는 방송사고가 있었는데 [[https://clips.twitch.tv/DullOptimisticWebPermaSmug|박상현 캐스터의 순간적인 드립]]으로 스무스하게 넘어갔다. === 3경기 HOU 3 : 1 SFS === ||<-6>
'''{{{#fff 스테이지1 4주 1일차 3경기 (2018. 02. 01.)}}}''' || ||<|2>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2> || || [[파일:눔바니 국기.svg|height=15]][br]눔바니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5]][br]아누비스 신전 || [[파일:이라크 국기.svg|height=15]][br]오아시스 ||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br]도라도 ||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width=25]] || {{{#000 {{{+1 '''3'''}}}}}} || {{{#000 {{{+1 '''2'''}}}}}} || {{{+1 1}}} || {{{#000 {{{+1 '''2'''}}}}}} || {{{+1 {{{#fff '''3'''}}}}}} ||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width=25]] || {{{+1 2}}} || {{{+1 1}}} || {{{#d7c152 {{{+1 '''2'''}}}}}} || {{{+1 0}}} || {{{+1 {{{#fff 1}}}}}} || ||<-6> 한국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4524025|[[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해외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4524351|[[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CRWkkFXaAA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17> {{{#!folding [ 스탯표 펼치기/접기 ] ||<-5>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0]] 휴스턴 아웃로즈 ||<-5>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height=20]] 샌프란시스코 쇼크 ||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선수''' || '''선수'''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 65 || 46 || {{{#green +19}}} || 29 || JAKE || Nevix || 42 || 22 || {{{#green +20}}} || 1 || || 44 || 33 || {{{#green +11}}} || 0 || coolmatt || babybay || 64 || 45 || {{{#green +19}}} || 29 || || 41 || 43 || {{{#red -2}}} || 30 || clockwork || Danteh || 47 || 30 || {{{#green +17}}} || 41 || || 1 || 5 || {{{#red -4}}} || 5 || Boink || Sleepy || 22 || 25 || {{{#red -3}}} || 25 || || 19 || 28 || {{{#red -9}}} || 27 || Rawkus || nomy || 37 || 47 || {{{#red -10}}} || 23 || || 28 || 46 || {{{#red -18}}} || 23 || Muma || dhaK || 1 || 32 || {{{#red -31}}} || 22 || || 1 || 21 || {{{#red -20}}} || 20 || Bani ||<-5> || ||<-10> by [[파일:윈스턴랩 아이콘.png|width=20]] [[https://www.winstonslab.com/matches/match.php?id=2431|Winston's Lab]] || }}}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1 [[오스틴 윌모트|Muma]]}}} || == 2월 2일 == ||<-12> '''{{{#43484c 2월 2일 금요일}}}''' || ||<-12> '''{{{#fff 오전 07:00}}}''' || ||<-5>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width=50]][br]필라델피아 퓨전 || '''4''' || 0 ||<-5>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width=50]][br]댈러스 퓨얼 || ||<-5> {{{#fff '''승'''}}} ||<-2> '''{{{#43484c 결과}}}''' ||<-5> 패 || ||<-12> '''{{{#fff 오전 09:00}}}''' || ||<-5>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width=50]][br]뉴욕 엑셀시어 || '''4''' || 0 ||<-5>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width=50]][br]상하이 드래곤즈 || ||<-5> {{{#fe2832 '''승'''}}} ||<-2> '''{{{#43484c 결과}}}''' ||<-5> 패 || ||<-12> '''{{{#fff 오전 11:00}}}''' || ||<-5>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width=50]][br]런던 스핏파이어 || '''4''' || 0 ||<-5>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width=50]][br]서울 다이너스티 || ||<-5> {{{#1c2b39 '''승'''}}} ||<-2> '''{{{#43484c 결과}}}''' ||<-5> 패 || ||<-12> [[https://www.twitch.tv/overwatchleague_kr/v/224711762?sr=a|전체 경기 영상]] || ~~[[댈러스 퓨얼|양식]], [[상하이 드래곤즈|중식]], [[서울 다이너스티|한식]] 전세계 맛집 탐방.~~ === 1경기 PHI 4 : 0 DAL === ||<-6>
'''{{{#fff 스테이지1 4주 2일차 1경기 (2018. 02. 02.)}}}''' || ||<|2>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2>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br]아이헨발데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5]][br]아누비스 신전 || [[파일:그리스 국기.svg|height=15]][br]일리오스 ||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br]도라도 ||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width=25]] || {{{#fff {{{+1 '''1'''}}}}}} || {{{#fff {{{+1 '''3'''}}}}}} || {{{#fff {{{+1 '''2'''}}}}}} || {{{#fff {{{+1 '''3'''}}}}}} || {{{+1 {{{#fff '''4'''}}}}}} || ||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width=25]] || {{{+1 0}}} || {{{+1 2}}} || {{{+1 0}}} || {{{+1 2}}} || {{{+1 {{{#fff 0}}}}}} || ||<-6> 한국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4759501|[[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해외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4757724|[[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uSzjLbluKk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17> {{{#!folding [ 스탯표 펼치기/접기 ] ||<-5>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0]] 필라델피아 퓨전 ||<-5>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height=20]] 댈러스 퓨얼 ||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선수''' || '''선수'''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 81 || 35 || {{{#green +46}}} || 22 || ShaDowBurn || Effect || 62 || 43 || {{{#green +19}}} || 33 || || 60 || 32 || {{{#green +28}}} || 35 || Carpe || Mickie || 39 || 35 || {{{#green +4}}} || 0 || || 43 || 25 || {{{#green +18}}} || 0 || HOTBA || Taimou || 45 || 42 || {{{#green +3}}} || 20 || || 9 || 23 || {{{#red -14}}} || 22 || neotuNo || cocco || 27 || 33 || {{{#red -6}}} || 22 || || 21 || 39 || {{{#red -18}}} || 23 || Boombox || HarryHook || 24 || 45 || {{{#red -21}}} || 19 || || 22 || 46 || {{{#red -24}}} || 20 || Fragi || chipshajen || 1 || 42 || {{{#red -41}}} || 22 || ||<-10> by [[파일:윈스턴랩 아이콘.png|width=20]] [[https://www.winstonslab.com/matches/match.php?id=2432|Winston's Lab]] || }}}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1 [[게오르기 구샤|ShaDowBurn]]}}} || 전반적으로 댈러스 퓨얼의 경기력은 여전히 처참했다. 부활하지 못한, 여전히 부실한 디바플레이를 보여주는 미키와 전체적으로는 그저 그랬던 타이무, 한타때 살아있지를 못하는 칩샤옌과 아직도 아쉬운 윈스턴 플레이를 보여주는 코코까지 수많은 문제점들이 보였다. 유일한 희망이던 EFFECT도 무리한 영웅 고집으로[* 트레이서를 썼으면 승산이 있었을 싸움에서 둠피스트를 선보이고 싶다는 욕심에 둠피스트를 들었다가 그대로 망해버렸다.] 완패로 끝났다. 필라델피아 퓨전은 이 경기로 일단 LAV에게 패배한 점수를 간신히 만회해냈다. === 2경기 NYE 4 : 0 SHD === ||<-6>
'''{{{#fff 스테이지1 4주 2일차 2경기 (2018. 02. 02.)}}}''' || ||<|2>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2>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br]아이헨발데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5]][br]아누비스 신전 || [[파일:이라크 국기.svg|height=15]][br]오아시스 ||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br]도라도 || ||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width=25]] || {{{#fe2832 {{{+1 '''3'''}}}}}} || {{{#fe2832 {{{+1 '''2'''}}}}}} || {{{#fe2832 {{{+1 '''2'''}}}}}} || {{{#fe2832 {{{+1 '''3'''}}}}}} || {{{+1 {{{#fff '''4'''}}}}}} || ||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width=25]] || {{{+1 1}}} || {{{+1 1}}} || {{{+1 1}}} || {{{+1 0}}} || {{{+1 {{{#fff 0}}}}}} || ||<-6> 한국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4792351|[[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해외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4790842|[[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6aShGzj3EK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17> {{{#!folding [ 스탯표 펼치기/접기 ] ||<-5>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20]] 뉴욕 엑셀시어 ||<-5>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height=20]] 상하이 드래곤즈 ||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선수''' || '''선수'''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 72 || 17 || {{{#green +55}}} || 20 || Libero || uNdeAD || 39 || 51 || {{{#red -12}}} || 17 || || 71 || 22 || {{{#green +49}}} || 28 || Pine || mg || 18 || 40 || {{{#red -22}}} || 3 || || 48 || 17 || {{{#green +31}}} || 5 || MekO || Diya || 18 || 45 || {{{#red -27}}} || 20 || || 39 || 18 || {{{#green +21}}} || 17 || Mano || Freefeel || 15 || 44 || {{{#red -29}}} || 19 || || 34 || 22 || {{{#green +12}}} || 17 || JJoNak || FiveKing || 0 || 36 || {{{#red -36}}} || 18 || || 1 || 14 || {{{#red -13}}} || 21 || ArK || Roshan || 18 || 55 || {{{#red -37}}} || 16 || ||<-10> by [[파일:윈스턴랩 아이콘.png|width=20]] [[https://www.winstonslab.com/matches/match.php?id=2433|Winston's Lab]] || }}}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25]] {{{+1 [[김해성|Libero]]}}} || 확실히 리그 개막 당시에 비하면 확연히 나아진 상하이였지만 안타깝게도 상대가 하필 [[뉴욕 엑셀시어|새로운 왕]]이었기에 전혀 상대가 되지 않았다. 지금 기량을 개막 당시에 냈더라면 샌프란시스코나 플로리다 정도를 상대로는 승리를 따낼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고 평가하는 사람도 상당히 많은 편. 특히 팀의 에이스인 언데드는 정말 [[https://clips.twitch.tv/CarefulAuspiciousStrawberryDancingBanana|눈에 띄게 실력이 올라가고 있다.]] 반면 뉴욕은 상하이를 완벽히 압도하고 바로 다음 경기에서 원래 1위였던 서울이 런던에게 패배하며 드디어 종합 1위를 달성했다. 서울과 런던은 마찬가지로 순위권을 노리는 휴스턴과의 경기가 남아 있는 반면 뉴욕은 런던전만 해결하면 순위권 유지에 무리가 없는 상황. === 3경기 LDN 4 : 0 SEO === ||<-6>
'''{{{#fff 스테이지1 4주 2일차 3경기 (2018. 02. 02.)}}}''' || ||<|2>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2> || || [[파일:눔바니 국기.svg|height=15]][br]눔바니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5]][br]아누비스 신전 || [[파일:그리스 국기.svg|height=15]][br]일리오스 ||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br]도라도 || ||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width=25]] || {{{#1c2b39 {{{+1 '''2'''}}}}}} || {{{#1c2b39 {{{+1 '''2'''}}}}}} || {{{#1c2b39 {{{+1 '''2'''}}}}}} || {{{#1c2b39 {{{+1 '''3'''}}}}}} || {{{+1 {{{#fff '''4'''}}}}}} || ||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width=25]] || {{{+1 0}}} || {{{+1 0}}} || {{{+1 0}}} || {{{+1 2}}} || {{{+1 {{{#fff 0}}}}}} || ||<-6> 한국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4827075|[[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해외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4827706|[[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IkdRNM6YO6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17> {{{#!folding [ 스탯표 펼치기/접기 ] ||<-5>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0]] 런던 스핏파이어 ||<-5>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height=20]] 서울 다이너스티 ||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선수''' || '''선수'''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 41 || 17 || {{{#green +24}}} || 19 || Birdring || zunba || 29 || 26 || {{{#green +3}}} || 0 || || 42 || 23 || {{{#green +19}}} || 20 || Gesture || Miro || 30 || 28 || {{{#green +2}}} || 16 || || 35 || 19 || {{{#green +16}}} || 21 || Profit || Bunny || 34 || 33 || {{{#green +1}}} || 25 || || 26 || 13 || {{{#green +13}}} || 0 || Wooohyal || Fleta || 38 || 37 || {{{#green +1}}} || 21 || || 7 || 3 || {{{#green +4}}} || 0 || Fury || Gido || 15 || 36 || {{{#red -21}}} || 18 || || 8 || 7 || {{{#green +1}}} || 5 || Hooreg || tobi || 3 || 31 || {{{#red -28}}} || 17 || || 5 || 5 || 0 || 5 || Bdosin ||<-5> || || 8 || 10 || {{{#red -2}}} || 4 || Rascal ||<-5> || || 1 || 7 || {{{#red -6}}} || 5 || Nus ||<-5> || || 14 || 29 || {{{#red -15}}} || 13 || HagoPeun ||<-5> || || 1 || 17 || {{{#red -16}}} || 14 || Closer ||<-5> || ||<-10> by [[파일:윈스턴랩 아이콘.png|width=20]] [[https://www.winstonslab.com/matches/match.php?id=2434|Winston's Lab]] || }}}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1 [[홍재희|Gesture]]}}} || > '''이 모습, 상하이-뉴욕 전에서 뉴욕이 상하이한테 한 그 모습입니다.''' ~~[[성승현|그래서 1점 언제 주냐고요]]~~ 이 경기로 서울은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4/8강~결승|APEX부터]] 리그까지 세트스코어 0 : 10'''라는 충격적인 결과를 맞이해야만 했다. 두 팀 다 스타팅 로스터는 서브힐러가 모두 교체되었다. 서울 다이너스티는 류제홍이, 런던 스핏파이어는 비도신이 제외되었다. 1세트 눔바니. 줄곧 부진하다고 지적받던 미로가 이전보다 폼이 확연히 올라온 모습을 보여주었고, 플레타-버니 조합은 매서웠다. 특히 버니는 트레이서로 팀원들 중 가장 빠르게 불타오르고 후반까지도 런던의 후방을 내버려두지 않았다. 기도는 아나, 젠야타로 나왔으나 특별한 활약 없이 잘려나가는 모습이 아쉬웠고, 결국 솔저를 들고 와 3딜 조합으로 바꾸었으나 이 역시도 눈에 띄는 활약은 없이 다시 젠야타로 돌아왔다. 오랜만에 출전한 우햘은 또 바퀴벌레같은 생명력을 보여주며 서울팀을 괴롭혔고 각폭장인답게 다시 한번 각폭으로 발키리로 애써 살려놓은 서울팀을 다시 2명 잡아가며 1세트 승리에 기여했다. 하고픈은 초반에 팀원과 떨어진 위치선정때문에 포커싱으로 먼저 잘려나가는 바람에 위기상황을 초래했지만 갑자기 각성한듯 킬로그를 도배하기 시작하면서 서울팀을 학살하며 런던이 수비에서 완막으로 승리. 여담으로 1경기인 눔바니에서는 결정적인 순간들이 '''매우 많이''' 나왔으나 옵저버가 그 중 '''하나도 제대로 잡은게 없다.''' 이후 경기는 런던이 서울을 ''' 완벽히 압도'''하는 양상을 띄었다. 2세트 점령전은 2연속 완막이 나왔고 3세트 쟁탈전은 2:0 스코어로 한 세트도 서울은 승리는커녕 점수조차 올리지 못하는 일방적인 패배가 3세트까지 지속되었다. 런던은 1, 2세트까지 서울을 지배하고는 3세트에서는 무려 '''4명의 선수를 교체하는 강수로''' 서울의 허를 찌르며 승리를 확정지었다. 서울은 뉴욕과의 경기에서도 실질적으로 압도당하는 와중에 필사적으로 세트득실 점수만은 타이브레이커까지 지켜냈다면 서울 사냥에 만반의 준비를 해온 런던을 상대로는 마치 추풍낙엽과도 같았다. 서울은 특정 선수의 부진이라 하기에도 부끄러울 정도로 런던이 모든 면에서 우위를 점하였다. 중량감 있는 속도전이라는 런던 특유의 플레이 스타일 자체에 상성이 안 좋은 듯한 모습. 런던의 겐지-트레이서-윈스턴의 포커싱에 토비와 기도는 경기 내에서 삭제되다시피 했고 뒤늦게 서울의 딜탱진이 힐러들을 잘라내도 이미 벌어진 힐량의 격차를 감당하지 못하고 서울팀 전체가 터져나가는 양상이 4세트 내내 반복되었다. 기도와 토비는 서로 손발이 엇맞는 모습이 자주 포착되었고 탱커진이 돌진을 나간 사이 뒤쳐진 기도가 포지션이 꼬여 허무하게 잘려버리는 양상도 반복되었다. 류제홍 대신 나온 기도가 유난히 못했다기보다는 돌진 포커싱 전반에서 런던이 훨씬 빨랐던 것이 문제. 버니-플레타-미로-준바 라인의 포커싱이 헛맞는 상황이 잦았고 다른 팀이었다면 피지컬로라도 눌러 보려고 했겠지만 런던은 결코 서울에게 피지컬로 밀리는 팀이 아니다. 반면 런던에서는 제스쳐의 활약이 눈부셨다. 힐러진이 전멸당한 와중에도 우햘과 의기합산하여 마지막까지 킬을 올려내는 활약으로 최종 결과가 무려 '''95처치 21죽음'''이라는 경이로운 킬뎃을 기록하였다. 더구나 1세트 수비에서 서울이 A거점 퍼센트를 98%까지 채워 거점을 점령했다고 모두가 생각했을 때, '''점프팩'''으로 뛰어들어가 화물 위에 자리를 잡던 서울의 진영을 붕괴시키고 완막의 단초, 그리고 서울의 멘탈을 박살내버리는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실제로 1세트까지만 해도 런던과 합을 주고 받던 서울이 이 A거점 완막 이후 급격하게 무너지기 시작했다.] 저번 경기 새별비에게 압도당한 먼치킨을 대신하여 출전한 버니는 눈물나게 뛰어다녔다. 특히 마지막 도라도에서는 홀로 22연속 처치에 젠야타와 메르시를 몰아붙이며 용검을 카운터칠 초월을 사전에 제거해주는 등 개인 활약은 탁월했으나, 런던측에 비해 포커싱이 꼬여 계속 힐러를 물고 가도 런던에 비해 계속 늦어진 것이 문제. 서울은 이번 경기를 패배하여 전체 순위는 휴스턴에게 까지 밀려 LA 발리언트와 공동 4위를 기록하게 되었다. 또한 스테이지1의 남은 3경기 중 2경기가 강팀인 LAV와 휴스턴 아웃로즈와의 경기이다.[* 다른 한경기는 상대적 약팀으로 평가받는 샌프란시스코이다.] 다음 세 경기는 무조건 잡아야 하는 경기인것이 좋지않은 모습을 보여준다면 스테이지1 타이틀 매치를 장담하기 어렵다. 디비전 1위를 지킨것이 위안이라면 위안이지만 이번 경기에서 런던에게 경기력으로 압도당하는 모습을 보여줘 그것도 위태한 상황이다. 그나마 이후에 휴스턴을 타이브레이커까지 맞붙은 끝에 이겨내어 한숨을 돌렸다. 또한 WooHyaL은 다른 선수들처럼 조금이라도 불안하거나 부진한 모습을 보였을 경우 자신의 부족해질 수도 있었던 입지를, 자신의 이니시에이팅 주도 역량과 막강한 케어/공격 양동작전형 D.Va를 선보이며 이번의 서울 다이너스티와의 경기에서 Closer와 더불어 '''최강의 조커 카드'''로 평가받았고, 또한 Gesture의 경우 항상 부족하다고 저평가되어 오던 오리사를 아군과 두 손, 두 발이 함께 나가는 팀플레이형의 수비적 오리사를 선보이며 엄청난 찬사를 받았고, 센스가 많이 늘었다는 평. 또한 Gido는 메르시를 다루는 능력 자체는 FLEX답게 나쁘진 않았으나, 개인 기량이 예전보다 떨어져 버려서 기용하기에는 연습시간, 혹은 트레이서나 솔저: 76, 위도우메이커, 맥크리 위주의 준 히트스캔 딜러로 쓰는 것이 차라리 낫다는 평가를 받았을 정도로 폼이 안 좋다 못해 되려 '''악화되었다(...).''' == 2월 3일 == ||<-12> '''{{{#43484c 2월 3일 토요일}}}''' || ||<-12> '''{{{#fff 오전 09:00}}}''' || ||<-5>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width=50]][br]샌프란시스코 쇼크 || '''4''' || 0 ||<-5>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width=50]][br]플로리다 메이헴 || ||<-5> {{{#d7c152 '''승'''}}} ||<-2> '''{{{#43484c 결과}}}''' ||<-5> 패 || ||<-12> '''{{{#fff 오전 11:00}}}''' || ||<-5>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width=50]][br]서울 다이너스티 || '''3''' || 2 ||<-5>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width=50]][br]휴스턴 아웃로즈 || ||<-5> {{{#a68a0f '''승'''}}} ||<-2> '''{{{#43484c 결과}}}''' ||<-5> 패 || ||<-12> '''{{{#fff 오후 01:00}}}''' || ||<-5>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width=50]][br]LA 글래디에이터즈 || 0 || '''4''' ||<-5>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width=50]][br]보스턴 업라이징 || ||<-5> 패 ||<-2> '''{{{#43484c 결과}}}''' ||<-5> {{{#efe400 '''승'''}}} || ||<-12> [[https://www.twitch.tv/overwatchleague_kr/v/225082706?sr=a|전체 경기 영상]] || === 1경기 SFS 4 : 0 FLA === ||<-6>
'''{{{#fff 스테이지1 4주 3일차 1경기 (2018. 02. 03.)}}}''' || ||<|2>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2> || || [[파일:눔바니 국기.svg|height=15]][br]눔바니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5]][br]아누비스 신전 || [[파일:그리스 국기.svg|height=15]][br]일리오스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15]][br]쓰레기촌 ||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width=25]] || {{{#d7c152 {{{+1 '''4'''}}}}}} || {{{#d7c152 {{{+1 '''2'''}}}}}} || {{{#d7c152 {{{+1 '''2'''}}}}}} || {{{#d7c152 {{{+1 '''3'''}}}}}} || {{{+1 {{{#fff '''4'''}}}}}} || ||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width=25]] || {{{+1 3}}} || {{{+1 1}}} || {{{+1 0}}} || {{{+1 2}}} || {{{+1 {{{#fff 0}}}}}} || ||<-6> 한국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5128332|[[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해외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5132046|[[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TcYcRru1j1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17> {{{#!folding [ 스탯표 펼치기/접기 ] ||<-5>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height=20]] 샌프란시스코 쇼크 ||<-5>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height=20]] 플로리다 메이햄 ||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선수''' || '''선수'''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 70 || 28 || {{{#green +42}}} || 30 || Danteh || TviQ || 51 || 37 || {{{#green +14}}} || 22 || || 62 || 31 || {{{#green +31}}} || 25 || babybay || Logix || 41 || 37 || {{{#green +4}}} || 33 || || 52 || 26 || {{{#green +26}}} || 3 || Nevix || Manneten || 36 || 41 || {{{#red -5}}} || 0 || || 23 || 29 || {{{#red -6}}} || 20 || Sleepy || Zuppeh || 15 || 36 || {{{#red -21}}} || 22 || || 26 || 35 || {{{#red -9}}} || 18 || nomy || Zebbosai || 8 || 37 || {{{#red -29}}} || 21 || || 5 || 21 || {{{#red -16}}} || 22 || dhaK || CWoosH || 13 || 55 || {{{#red -42}}} || 19 || ||<-10> by [[파일:윈스턴랩 아이콘.png|width=20]] [[https://www.winstonslab.com/matches/match.php?id=2435|Winston's Lab]] || }}}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height=25]] {{{+1 dhaK}}} || === 2경기 SEO 3 : 2 HOU === ||<-7>
'''{{{#fff 스테이지1 4주 3일차 2경기 (2018. 02. 03.)}}}''' || ||<|2>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2>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br]아이헨발데 || [[파일:호라이즌 달 기지 깃발.png|height=15]][br]호라이즌 달 기지 || [[파일:그리스 국기.svg|height=15]][br]일리오스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15]][br]쓰레기촌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br]리장 타워 || ||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width=25]] || {{{+1 2}}} || {{{#a68a0f {{{+1 '''2'''}}}}}} || {{{#a68a0f {{{+1 '''2'''}}}}}} || {{{+1 2}}} || {{{#a68a0f {{{+1 '''2'''}}}}}} || {{{+1 {{{#fff '''3'''}}}}}} ||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width=25]] || {{{#000 {{{+1 '''3'''}}}}}} || {{{+1 1}}} || {{{+1 0}}} || {{{#000 {{{+1 '''3'''}}}}}} || {{{+1 1}}} || {{{+1 {{{#fff 2}}}}}} || ||<-7> 한국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5174683|[[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해외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5173941|[[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bkj71s2cI8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17> {{{#!folding [ 스탯표 펼치기/접기 ] ||<-5>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height=20]] 서울 다이너스티 ||<-5>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0]] 휴스턴 아웃로즈 ||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선수''' || '''선수'''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 77 || 40 || {{{#green +37}}} || 29 || Fleta || coolmatt || 46 || 39 || {{{#green +7}}} || 0 || || 66 || 30 || {{{#green +36}}} || 2 || zunba || JAKE || 61 || 56 || {{{#green +5}}} || 35 || || 49 || 30 || {{{#green +19}}} || 25 || Wekeed || clockwork || 49 || 59 || {{{#red -10}}} || 21 || || 16 || 11 || {{{#green +5}}} || 14 || munchkin || Muma || 31 || 44 || {{{#red -13}}} || 23 || || 33 || 36 || {{{#red -3}}} || 30 || ryujehong || Boink || 2 || 15 || {{{#red -13}}} || 7 || || 28 || 41 || {{{#red -13}}} || 20 || Miro || Bani || 3 || 20 || {{{#red -17}}} || 19 || || 2 || 32 || {{{#red -30}}} || 24 || tobi || Rawkus || 22 || 44 || {{{#red -22}}} || 25 || ||<-10> by [[파일:윈스턴랩 아이콘.png|width=20]] [[https://www.winstonslab.com/matches/match.php?id=2436|Winston's Lab]] || }}}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height=25]] {{{+1 [[김준혁(1997)|zunba]]}}} || 휴스턴은 역시나 제이크의 활약이 압도적이었고, 서울을 2:2에 이어 타이브레이커 1:1까지 밀어붙이며 그야말로 서울을 패배 직전까지 밀어붙였으나[* 때문에 휴스턴 아웃로즈는 3패, 5위를 하고도 세트득실만 따지면 2위인 런던과 같고 1위인 뉴욕과 1점밖에 차이가 안나는 +14란 기록을 보이게 됐다.] '''준바'''의 미칠 듯한 활약에 막혀버렸다. 준바는 이번 경기에서 중간중간 포지셔닝이 꼬이며 허무하게 터지는 아쉬운 모습도 가끔 나왔지만 위기의 순간마다 황금같은 킬을 올려주며 POTM을 받아내었다. 최종 킬뎃은 디바로써만(!!) 무려 '''120처치 29죽음.''' 특히 타이브레이커 마지막 세트에 정말 오랜만에 준바의 자리야가 나왔고, '''그대로 게임을 터뜨려버렸다.''' 외국 해설진이 막 준바의 자리야는 전설적인 수준이라고 추켜세우려는 찰나 제이크의 포킹을 칼같이 받아내며 '''죽을 뻔한 순간부터 순식간에 에너지를 채워 4킬을 쓸어담자''' 해설진이 벙쪄버리는 해프닝이 있었을 정도. 서울에서 또한 눈에 띄었던 선수는 위키드. 한동안 먼치킨과 버니에게 밀려 출전률이 낮았지만 오랜만에 먼치킨과 번갈아 등장하며 트레이서로는 약간 미묘한 모습을 보였지만 역시나 서울에서 정크랫을 가장 잘 다루는 선수답게 세최정 중 하나로 꼽히는 제이크와 막상막하의 싸움을 보여주었다. 한 경기 쉬고 출전한 류제홍 역시도 저번 경기에서 크게 존재감이 없었던 기도에 비해 눈에 띄는 활약을 많이 보여준 편이다. 플레타는 ~~늘 그랬듯이~~ 파라, 위도우 등을 들고 캐리해 나갔는데, 특히 일리오스 폐허 맵에서 '''시작하자마자 잘 보이지도 않는 상대 메르시를 자르고 시작하거나''' 쓰레기촌 공격 때 '''아군 메르시가 먼저 잘린 상태에서 [[https://clips.twitch.tv/CredulousProductiveToothAsianGlow|위도우로 4킬을 내어 화물을 밀어버리는]]''' 등의 활약을 보였다. 맞파라전에선 한 번도 밀리지 않고 압살해버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반면 토비는 저번 경기에 이어서 많이 부진했던 편으로, 중요한 순간에 허무하게 잘려버리고 발키리 타이밍도 그리 좋지 못했다. 아무리 메르시가 0순위 포커싱의 대상이 되는 환경이라 해도 중요한 순간에 무너지는 모습이 이전의 경기들부터 너무 자주 나오는 것이 눈에 띈다는 반응이 많다.[* 특히 4세트에서 JAKE의 죽이는 타이어가 Fleta(솔져:76) 앞으로 굴러가는데 '''그 곳으로 수호천사를 써서 다가가는 모습은'''...] 이런 상황임에도 사실상 '''서울에서 메르시를 잡을 수 있는 유일하다시피 한 선수'''[* 토비의 루시우가 필요한 맵에선 류제홍도 간혹 잡긴 하지만 류르시는 여전히 쥐약 수준이고, 기도는 프로 경기에서 메르시를 잡은 경험도 적을 뿐더러 런던전에서 매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줘 기대하기 어렵다.]라 메르시 메타 하에서 진행되는 스테이지 1의 모든 경기에서 기용되고 있어 토비의 고통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휴식이 없어 컨디션 난조가 온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이제 스테이지 1의 불경기들은 마무리되었고 스테이지 2에선 메르시 너프가 적용되어 중요도가 낮아질테니 힐러진 로테이션을 더 적극적으로 굴리거나 아예 새로운 힐 메타를 발굴해내는 등 타개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일단 토비 입장에서는 메르시 너프로 인해 메르시 관련 메타(파르시 or 발키리 중심 메타)가 사그라드는 것이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원래 토비가 APEX 시기때부터 메인으로 쓰던 캐릭터는 '''[[루시우(오버워치)|루시우]]였기 때문에''' 지금 현재 메르시 플레이는 "맞지 않는 옷을 입고 있는" 상황인 것. 다만 그렇다고 루시우가 더 나아진다는 보장도 없기 때문에 결국엔 루시우를 베이스로 모이라와 (너프 이후의) 메르시를 서브로 쓰는 방법으로 가야 할 지도 모른다. 메르시 픽률 하향은 곧 류제홍이 메인힐러로 아나를 다시 들 수 있다는 의미도 되니 메인-서브힐 재조정도 기대해볼 만 하다.] 미로도 여전히 폼이 좋다고 하기에는 많이 부족했던 편으로 혼자서 무리하게 들어가다가 잘리는 플레이를 많이 보였다. 여담으로 아이헨발데에서는 알 수 없는 이유로 아예 가만히 서 있다가 제이크의 트레이서의 궁배터리가 되는 굴욕을 겪었다. 이를 두고 '''윈스턴이 타이어를 굴린다'''라는 드립이나 '''미로 받아라~!!!!''' 등의 드립이 나왔다. 휴스턴의 입장에서는 아파서 경기를 못 나온 에이스 린저의 공백이 뼈아팠다. 린저 대신 나온 클락워크는 여전히 리그 하위권 수준의 딜러를 벗어나지 못했다. 3세트 일리오스에서는 플레타에게 위도우, 파라 미러전 모두 떡발리면서 아예 존재감이 사라졌다. 또한 제이크가 정크랫 말고도 괜찮은 평가를 받는 솔져를 클락워크가 맡는 바람에 제이크가 트레를 들었으나 결과는 영 신통치 않았다. 이로인해 휴스턴은 딜러진의 좁은 챔프폭과 린저의 공백을 메워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되었다. 여담으로 이번 경기에도 방송사고가 있었는데 이긴팀의 팀보이스를 보여주는 장면에서 [[https://clips.twitch.tv/ThoughtfulBillowingQuailLeeroyJenkins|화면은 휴스턴인데 팀보이스는 서울의 것이 나오면서]] 휴스턴이 한국말을 하는 듯한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그래! 역시 오버워치를 잘하려면 [[한국인|한국말을 할 줄 알아야 해!!!]]-- === 3경기 GLA 0 : 4 BOS === ||<-6>
'''{{{#fff 스테이지1 4주 3일차 3경기 (2018. 02. 03.)}}}''' || ||<|2>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2> || || [[파일:눔바니 국기.svg|height=15]][br]눔바니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5]][br]아누비스 신전 || [[파일:이라크 국기.svg|height=15]][br]오아시스 ||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br]도라도 || ||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width=25]] || {{{+1 1}}} || {{{+1 1}}} || {{{+1 0}}} || {{{+1 2}}} || {{{+1 {{{#fff 0}}}}}} || ||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width=25]] || {{{#efe400 {{{+1 '''2'''}}}}}} || {{{#efe400 {{{+1 '''2'''}}}}}} || {{{#efe400 {{{+1 '''2'''}}}}}} || {{{#efe400 {{{+1 '''3'''}}}}}} || {{{+1 {{{#fff '''4'''}}}}}} || ||<-6> 한국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5197655|[[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해외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5197371|[[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0ZMhcBn3_V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17> {{{#!folding [ 스탯표 펼치기/접기 ] ||<-5>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height=20]] LA 글래디에이터즈 ||<-5>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0]] 보스턴 업라이징 ||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선수''' || '''선수'''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 39 || 32 || {{{#green +7}}} || 20 || Surefour || DreamKazper || 53 || 23 || {{{#green +30}}} || 17 || || 28 || 27 || {{{#green +1}}} || 0 || Bischu || Striker || 47 || 19 || {{{#green +28}}} || 24 || || 28 || 32 || {{{#red -4}}} || 13 || Hydration || NotE || 40 || 15 || {{{#green +25}}} || 0 || || 2 || 9 || {{{#red -7}}} || 3 || Asher || Gamsu || 37 || 28 || {{{#green +9}}} || 17 || || 18 || 40 || {{{#red -22}}} || 15 || Shaz || Neko || 22 || 26 || {{{#red -4}}} || 17 || || 8 || 34 || {{{#red -26}}} || 16 || iRemiix || Kellex || 1 || 13 || {{{#red -12}}} || 19 || || 1 || 29 || {{{#red -28}}} || 14 || BogG00se ||<-5> || ||<-10> by [[파일:윈스턴랩 아이콘.png|width=20]] [[https://www.winstonslab.com/matches/match.php?id=2437|Winston's Lab]] || }}}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5]] {{{+1 [[조나단 산체스(프로게이머)|DreamKazper]]}}} || 경기 시작 전에 중위권 팀을 두고 한국어 해설진이 [[간손미]] 드립을 치기도 했다(...) 세번째 맵에서 간만에 Asher가 --무척이나 피곤해 보이는 모습으로-- 등장했는데, 별다른 활약은 하지 못했다. 다만 Asher자체가 크게 실수한점은 보이지 않았음에도 이전 LA전에서 위도우등으로 꽤나 부족한 모습을 보였고, LA전 이전같은 활약을 보여주지는 못한지라 글로벌 중계방에서 계속 Trasher[* Trash+Asher--...--]라며 까이게 되었다. 그 이전 경기들에서는 지속적으로 캐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었지만 이전 경기였던 LA전이 워낙 LAG팬들이 많이 기대하는 경기였고 그 경기에서 상대 히트스캔 담당이었던 Soon보다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어 많은 안티팬을 양성한 것뿐만 아니라, 이번 3경기에서 확실한 무언가를 보여주지 못한 것, 그리고 4경기에서 Surefour가 공격때 트레이서로 날아다니는 모습을 보여준 것 등이 맞물리며 Asher가 차후의 경기들[* 스테이지 1에서는 패치가 적용되지 않아 메르시/정크렛이 현역으로 쓰이는 상황이라 넓은 맵에서는 메르시의 생존력을 현저히 올려주는 파라를, 좁은 맵에서는 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정크렛을 모두 기용할 수 있는 팀의 투사체 담당 Hydration이 Surefour와 함께 훨씬 자주 나오게 될 것이며, 패치가 적용되는 2부터도 LAG팬층중에 워낙 안티가 많아져서 1때 기용된 것처럼 돌진조합의 겐트 딜러조합을 위해 Asher-Hydration을 쓰는것이 아니라 Asher대신 Surefour를 넣고 조합을 짤 확률이 높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주전으로 뛰려면 전략적으로 트레이서-솔져의 딜러조합이 곡 필요한 맵에서만 등장 할 수 있을듯하다.]에서 주전으로 뛸 수 있을지의 여부가 불확실해졌다. == 2월 4일 == ||<-12> '''{{{#43484c 2월 4일 일요일}}}''' || ||<-12> '''{{{#fff 오전 04:00}}}''' || ||<-5>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width=50]][br]상하이 드래곤즈 || 0 || '''4''' ||<-5>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width=50]][br]런던 스핏파이어 || ||<-5> 패 ||<-2> '''{{{#43484c 결과}}}''' ||<-5> {{{#1c2b39 '''승'''}}} || ||<-12> '''{{{#fff 오전 06:00}}}''' || ||<-5>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width=50]][br]댈러스 퓨얼 || 1 || '''3''' ||<-5>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width=50]][br]뉴욕 엑셀시어 || ||<-5> 패 ||<-2> '''{{{#43484c 결과}}}''' ||<-5> {{{#fe2832 '''승'''}}} || ||<-12> '''{{{#fff 오전 08:00}}}''' || ||<-5>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width=50]][br]보스턴 업라이징 || '''4''' || 0 ||<-5>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width=50]][br]LA 발리언트 || ||<-5> {{{#efe400 '''승'''}}} ||<-2> '''{{{#43484c 결과}}}''' ||<-5> 패 || ||<-12> [[https://www.twitch.tv/overwatchleague_kr/v/225354891?sr=a|전체 경기 영상]] || === 1경기 SHD 0 : 4 LDN === ||<-6>
'''{{{#fff 스테이지1 4주 4일차 1경기 (2018. 02. 04.)}}}''' || ||<|2>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2>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br]아이헨발데 || [[파일:호라이즌 달 기지 깃발.png|height=15]][br]호라이즌 달 기지 || [[파일:그리스 국기.svg|height=15]][br]일리오스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15]][br]쓰레기촌 || ||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width=25]] || {{{+1 0}}} || {{{+1 0}}} || {{{+1 0}}} || {{{+1 0}}} || {{{+1 {{{#fff 0}}}}}} || ||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width=25]] || {{{#1c2b39 {{{+1 '''1'''}}}}}} || {{{#1c2b39 {{{+1 '''1'''}}}}}} || {{{#1c2b39 {{{+1 '''2'''}}}}}} || {{{#1c2b39 {{{+1 '''1'''}}}}}} || {{{+1 {{{#fff '''4'''}}}}}} || ||<-6> 한국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5398343|[[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해외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5402452|[[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vVKtVB5AaA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17> {{{#!folding [ 스탯표 펼치기/접기 ] ||<-5>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height=20]] 상하이 드래곤즈 ||<-5>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0]] 런던 스핏파이어 ||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선수''' || '''선수'''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 22 || 17 || {{{#green +5}}} || 14 || Diya || Profit || 39 || 12 || {{{#green +27}}} || 25 || || 17 || 18 || {{{#red -1}}} || 2 || Xushu || Woohyal || 14 || 2 || {{{#green +12}}} || 1 || || 1 || 6 || {{{#red -5}}} || 4 || Altering || Fury || 16 || 5 || {{{#green +11}}} || 2 || || 16 || 23 || {{{#red -7}}} || 11 || uNdeAD || Birdring || 13 || 4 || {{{#green +9}}} || 9 || || 0 || 10 || {{{#red -10}}} || 3 || FiveKing || Hooreg || 13 || 8 || {{{#green +5}}} || 10 || || 9 || 26 || {{{#red -17}}} || 9 || Freefeel || HagoPeun || 5 || 4 || {{{#green +1}}} || 7 || || 8 || 26 || {{{#red -18}}} || 7 || Roshan || Bdosin || 8 || 9 || {{{#red -1}}} || 9 || ||<-5> || Closer || 0 || 2 || {{{#red -2}}} || 12 || ||<-5> || Gesture || 16 || 19 || {{{#red -3}}} || 27 || ||<-5> || Nus || 0 || 10 || {{{#red -10}}} || 11 || ||<-10> by [[파일:윈스턴랩 아이콘.png|width=20]] [[https://www.winstonslab.com/matches/match.php?id=2438|Winston's Lab]] || }}}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1 [[박준영(프로게이머)|Profit]]}}} || '''오버워치 리그 최초의 퍼펙트 게임.''' 최근 물이 조금씩 오르는 모습을 보여준 상하이였지만, 서울까지 꺾어내고 스테이지 1 후반을 씹어먹고 있는 런던 앞에서 다시 초반의 무력한 모습을 보이고 말았다. 1세트는 아이헨발데 상하이 선공. 런던측은 [[GC Busan/오버워치/2017년 11월 이전|GC부산]]의 멤버를 그대로 들고 나왔다. 상하이와 런던간의 압도적인 기량 차이로 거점을 한칸도 먹질 못하며 완막당한다. 런던의 공격때는 서로 1~2명 교환하며 나름 치열한 전투를 하였으나 아무도 거점을 밟지 않아 그대로 게임이 끝났다. 2세트는 호라이즌 달 기지 역시 상하이 선공. 상하이는 솜브라, 모이라라는 특이한 조합을 들고 나왔으며 바로 거점을 밟아 한 칸반까지 거점을 먹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진영을 제대로 못갖추고 상하이 모이라가 팀원을 다 잘린 상황에서 혼자 궁을 쓰는 등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주며 결국 A완막을 당하게 되고 런던의 공격때 뚫리게 된다. 3세트는 일리오스. 언데드의 맹활약 속에 거점을 먼저 먹고 99%와 86%까지 버텨내는 모습은 인상깊었지만, 두 번 모두 결국 거점을 빼앗기고 탈환에 실패하면서 세트득실 2점으로 막아낼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NUS가 잘리고, 상대 상하이 메르시가 발키리를 켜 밀어붙이지만 런던이 버텨내고, 나중에 합류한 NUS가 발키리를 켜 역관광하는 패턴이 반복되었다. 4세트는 쓰레기촌 상하이 선공. 하지만 1거점도 뚫어내지 못하고 결국 런던의 4:0 완승으로 끝나게 된다. === 2경기 DAL 1 : 3 NYE === ||<-6>
'''{{{#fff 스테이지1 4주 4일차 2경기 (2018. 02. 04.)}}}''' || ||<|2>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2> || || [[파일:눔바니 국기.svg|height=15]][br]눔바니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5]][br]아누비스 신전 || [[파일:이라크 국기.svg|height=15]][br]오아시스 ||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br]도라도 || ||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width=25]] || {{{+1 0}}} || {{{+1 4}}} || {{{#0071cd {{{+1 '''2'''}}}}}} || {{{+1 1}}} || {{{+1 {{{#fff 1}}}}}} || ||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width=25]] || {{{#fe2832 {{{+1 '''1'''}}}}}} || {{{#fe2832 {{{+1 '''6'''}}}}}} || {{{+1 1}}} || {{{#fe2832 {{{+1 '''2'''}}}}}} || {{{+1 {{{#fff '''3'''}}}}}} || ||<-6> 한국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5440958|[[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해외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5444805|[[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BnLZXzAzEG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25]] {{{+1 [[김태홍(프로게이머)|MekO]]}}} || 부진하다못해 맛집 확정인 댈러스 퓨얼이 여기서 뭔가 이변을 보여주지 않으면 뉴욕은 거의 확정적으로 순위권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된다. 그리고 1세트를 딴 댈러스 퓨얼, 그 변화를 보여준 핵심은 호리사 조합과 이펙트레이서였다. 팀의 부진과 본인의 멘탈 관리로 인해 한동안 휘청이던 이펙트는 이번에 트레이서를 보다 적극 사용하였고, 중요한 순간마다 황금같은 부착으로 돌파구를 만들어냈고 맥크리로도 매서운 캐리력을 자랑하였다. 하지만 완전히 기세가 오른 뉴욕은 새별비, 파인, 쪼낙, 메코, 마노 등 거의 모든 선수가 번갈아가며 캐리하다시피했고 결국 댈러스는 오아시스에서 1점을 가져가는 정도로 만족해야 했다. 댈러스는 이번 경기에서 나아질 가능성을 보여줬는데, 3세트 마지막 대학에서 코코+미키 호리사로 높은 꼼짝마 갈고리 성공률을 보여주면서 뉴욕의 마노+메코 호리사 조합에 이기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지금껏 마노-메코의 호리사 조합은 전 리그 참가팀의 호리사들 중에서도 가장 견고하다고 평가받고 있었다. 거기에 정면으로 도전장을 내밀었고, 심지어 승리했다는 것은 확실히 무시할 수 없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윈스턴이 최대의 구멍으로 평가받는 댈러스는 그동안 호리사로 어떻게든 파훼법을 찾고자 호리사를 지나칠정도로 많이 기용했는데, 드디어 이번 경기에서 빛을 발한것. 물론 돌진조합의 필수 요소인 윈스턴을 놔두고 호리사에서 답을 찾았다는 것은 좋은 일만은 아니다(...). 뉴욕팀은 변함없이 안정적이고 강력했다. 맵에 맞추어 현 메타에 충실한 탱커조합을 번갈아 기용하는 유연성부터 각 선수들의 캐리력까지도 단단했던 편. 여담으로 이 경기는 원조 세최트로 유명한 이펙트와 새별비의 정면승부였는데, 탱힐진의 차이를 업고 전반적으로는 새별비의 우세였으며, 파인이 나왔을 때보다 새별비가 나왔을때 전반적으로 이펙트가 고전을 면치 못하는 기색이 완연했다. 다만 새별비에게 '안티트레이서'라는 칭호를 안겨주었을 정도로 새별비에게 완전히 압도당한 먼치킨 때에 비하면 이펙트는 보다 분전했던 편. === 3경기 BOS 4 : 0 VAL === ||<-6>
'''{{{#fff 스테이지1 4주 4일차 3경기 (2018. 02. 04.)}}}''' || ||<|2>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2>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br]아이헨발데 || [[파일:호라이즌 달 기지 깃발.png|height=15]][br]호라이즌 달 기지 || [[파일:그리스 국기.svg|height=15]][br]일리오스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15]][br]쓰레기촌 || ||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width=25]] || {{{#efe400 {{{+1 '''6'''}}}}}} || {{{#efe400 {{{+1 '''2'''}}}}}} || {{{#efe400 {{{+1 '''2'''}}}}}} || {{{#efe400 {{{+1 '''3'''}}}}}} || {{{+1 {{{#fff '''4'''}}}}}} || ||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width=25]] || {{{+1 4}}} || {{{+1 1}}} || {{{+1 0}}} || {{{+1 1}}} || {{{+1 {{{#fff 0}}}}}} || ||<-6> 한국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5481510|[[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해외 중계: [[https://www.twitch.tv/videos/225482394|[[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bNEEyHu2Gn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17> {{{#!folding [ 스탯표 펼치기/접기 ] ||<-5>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0]] 보스턴 업라이징 ||<-5>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height=20]] LA 발리언트 ||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선수''' || '''선수''' || '''처치''' || '''죽음''' || '''+/-''' || '''궁극기''' || || 61 || 22 || {{{#green +39}}} || 35 || Striker || SoOn || 43 || 44 || {{{#red -1}}} || 29 || || 64 || 34 || {{{#green +30}}} || 22 || DreamKazper || Envy || 33 || 38 || {{{#red -5}}} || 6 || || 41 || 21 || {{{#green +20}}} || 0 || NotE || Kariv || 20 || 28 || {{{#red -8}}} || 22 || || 33 || 27 || {{{#green +6}}} || 19 || Gamsu || Agilities || 36 || 49 || {{{#red -13}}} || 21 || || 31 || 39 || {{{#red -8}}} || 16 || Neko || FaTe || 23 || 42 || {{{#red -19}}} || 16 || || 1 || 14 || {{{#red -13}}} || 23 || Kellex || Verbo || 1 || 31 || {{{#red -30}}} || 19 || ||<-10> by [[파일:윈스턴랩 아이콘.png|width=20]] [[https://www.winstonslab.com/matches/match.php?id=2440|Winston's Lab]] || }}}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5]] {{{+1 [[조나단 산체스(프로게이머)|DreamKazper]]}}} || LA 발리언트의 경우는 세트득실 2점 이상으로 보스턴 업라이징을 꺾게 될 경우 서울을 제치고 '''디비전 1위'''에 올라설 수 있다.[* 타이브레이커로 승리한다면 승점과 세트득실이 동일해 공동 3위 겸 디비전 공동 1위가 되며, 5주차의 맞상대에서 순위가 갈리게 될 것이다.] 이에 성공하면 최상위권 그룹에 끼는 셈이며, 스테이지 1 타이틀 매치 진출 가능성도 걸린 매우 중요한 경기. 또한 보스턴 업라이징도 연승과 함께 5승 3패로 중상위권까지 치고 올라갈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 때문에 서로 중요한 경기가 될 수 있다. 1세트는 아이헨발데. 선공격이었던 보스턴이 강한 모습을 보여주며 50초가량을 남기고 밀었지만 LA가 아주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며 최종 거점까지 2분이상 남기고 밀게 되었다. 이에 많은 사람들이 LA의 승리를 점쳤으나... 보스턴이 주어진 1분 중 43초 만에 A거점을 뚫고 '''남은 17초, 추가시간 동안 최종거점까지 밀고''' LA의 공격때는 화물이 다리조차 도달할 수 없게 하면서 보스턴이 1세트를 가져간다. 2세트는 달기지 호라이즌. 선공격은 역시 보스턴. Striker의 트레이서와 메르시-젠야타가 A거점을 먹지 못한채로 B거점쪽으로 빠져 있는 것을 Envy의 로드호그가 포착하고 잡으러 갔지만 Striker가 펄스폭탄으로 재빨리 녹여내고 리스폰되어 돌아온 다른 세명이 합류하면서 재빨리 밀어버린다. 그 후에는 Dreamkazper의 3검과 용검의 데미지를 같이 받은 인원을 Striker가 모두 정리하면서 바로 밀어버렸다. LAV는 공격때 루시우-모이라와 4탱을 들고나왔는데, 비교적 초반에 2칸을 먹은 이후에도 전혀 성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SoOn이 정크렛의 부재와 4탱조합의 장점이자 자리야에 있어서 큰 단점인 딜의 분산 때문에 에너지를 빨리 쌓지 못하여 크게 효과를 보지 못했고, KariV가 모이라로 궁을 쓴 직후 Neko의 젠야타에게 사망한 것, Dreamkazper의 겐지가 굉장히 오래걸린 SoOn의 자리야 궁을 튕겨버린것 등이 맞물리며 굉장히 오래걸려서 뚫었으나 B거점은 결국 먹지 못하면서 2세트도 보스턴이 가져간다. 여담으로 수비 도중 Gamsu가 실수로 원시의 분노를 아무 이유없이 써버린 일이 있었는데, 30초만에 다시 채워내며 역시라는 평가를 받았다. 3세트는 오아시스. 첫맵에서 Agilities의 파라가 Dreamkazper의 파라를 상대로 꽤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Dreamkazper를 맞파라전에서 이긴후에 2번의 부활후에도 모두 정리하는 모습도 보였지만 지상싸움이 끝난 후라 별로 성과를 보지는 못했다.] 중요한 순간에 계속 맞파라전을 지거나 포화를 모두 먹히거나 포화를 쓰다가 거점을 밟지 않거나--...--하며 결과적으로 별로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결국 해외의 캐스터 3명 전원의 예상과 다르게 보스턴이 쉽게 승리를 가져간다. 여러모로 충격적인 경기였다. 서울의 자리를 넘보는 수준이었던 LAV의 몰락이자, 런던을 꺾은것이 운이 아니였음을 완벽에 가까운 모습으로 보여준 Boston Uprising의 증명이기도 했다. 윈스턴-오리사를 완벽에 가까운 모습으로 다뤄낸 Gamsu, 트레이서로 그 SoOn을 압도해버리며 중요한 순간에 계속 한타를 뒤집어버린 Striker, 파라-겐지-정크렛 어느 하나 부족한점 없이 다뤄내며 수많은 명장면을 양산해낸 Dreamkazper, 펄스폭탄을 먹고 포화를 2번이나 봉쇄해버리는 케어 능력뿐만 아니라 파라의 견제, 포커싱과 궁극기 사용까지 완벽했던 NotE, 젠야타로 지속적인 킬관여 분만 아니라 중요할 때 클러치 플레이를 했던 Neko와 시종일관 상대의 메르시보다 우위를 점했던 Kellex까지--이로써 Mistakes의 출전가능성은 더욱 낮아졌다--.다만 LAV는 Silkthread와 Unkoe가 질병으로 출전하지 못했기에 루시우 전담으로, 다른 힐러가 필요할땐 출전하지 않았고 나오더라도 KariV가 메르시를 맡았던 상황인지라 메르시를 많이 다뤄보지 못했을 Verbo의 갑작스런 출전때문에 메르시싸움에서 우위를 가져가지 못했고, 자주 출전하여 합이 더 완벽히 맞을 Silkthread 대신 같이 연습했던 맵이 아닌곳에서도 Agilities와 합을 맞춰야 했다는 점을 보아 질수밖에 없었을 수도 있다는 점은 인지해야한다. 여담으로 2세트에 보스턴의 Note가 31킬 3데스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보여주면서 Death Note라고 불리는 일도 있었다. 3세트에는 이 노트는 상대 정크랫의 타이어를 로봇탑승데미지로 처리(?)해 버리는 묘기 같은 모습도 보여주었다. 한편, 3스테이지 내내 5번을 죽고 2명을 부활시킨--...?-- Verbo의 메르시가 조롱받기도 하였다. [* 상대였던 보스턴의 Kellex는 7명의 부활, 1킬 2데스로 훨씬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DPS Mercy--???--라는 별명을 얻었다.] == 관련 문서 == * [[서울 다이너스티/출범 시즌/스테이지 1]] [[분류:오버워치 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