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오버워치 월드컵)]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W_WorldCup2023_Team_GreatBritain.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국 국기.svg|width=95%]]}}} || ||<-2> '''{{{#ffffff {{{+1 오버워치 월드컵 영국 대표팀}}}}}}''' || ||<-2> '''{{{#ffffff {{{+1 The Great Britain}}}}}}''' || || '''{{{#ffffff 월드컵}}}''' ||4위 1회[br]8강 2회 || || '''{{{#ffffff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7LionsOW,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옵드컵영국국대상단.jpg|width=100%]]}}} || ||<-7> '''{{{#ffffff {{{+1 #RoarAsOne}}}}}}''' || [[오버워치 월드컵]]에 참여하는 [[영국]] 국가대표 팀이다. 팀 태그는 '''#RoarAsOne'''을, 약자는 '''GBR'''을 사용한다. 팀 상징은 사자이다. 2023년 7명의 국대 선수들을 '7 Lions'라고 표현하거나 일제히 포효한다는 의미의 팀 태그를 쓰는 등 상징을 잘 이용하고 있다. == 대회별 기록 == ||<-8>
[[파일:OW_WorldCup2023_Team_GreatBritain.webp|width=45]] || || {{{#fff '''시즌'''}}} || {{{#fff '''결과'''}}} || {{{#fff '''전'''}}} || {{{#fff '''승'''}}} || {{{#fff '''패'''}}} || {{{#fff '''세트 전적'''}}} || {{{#fff '''득실'''}}} || {{{#fff '''세트 승률'''}}} || || 2016 || 예선 탈락 || 4 || 1 || 3 || 3-4-0 || -1 || .429 || || 2017 || 8강 || 4 || 3 || 1 || 12-3-0 || +9 || .800 || || 2018 || 4위 || 8 || 5 || 3 || 20-11-2 || +9 || .606 || || 2019 || 9-10위 || 6 || 2 || 4 || 8-10-0 || +2 || .444 || || 2023 || 8강 || 11 || 9 || 2 || || +13 || || === 2016년 === ||<-6>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2016 오버워치 월드컵|{{{#fff 2016 오버워치 월드컵}}}]] {{{#fff 영국 대표팀}}}''' || || Stylosa || [[Dignitas|[[파일:Team_Dignitas_logo.png|height=20]]]] [[셉 바턴|numlocked]] || OneAmgstMany || ekuls || [[REUNITED|[[파일:600px-REUNITEDgg.png|height=20]]]] [[해리슨 폰드|Kruise]] || [[Fnatic|[[파일:fnatic.png|height=20]]]] Realzx || [[2016 오버워치 월드컵]]에 참여했다. 스트리머 스타일로사가 최다득표를 받아 주장으로 당선되었고, 주장 추천으로 크루즈와 Realzx가 추가로 뽑혀 대표팀이 구성되었다. 2016 오버워치 월드컵이 다 그랬듯, 멤버 밸런스도 맞지 않고 스트리머도 섞인 팀이기에 예선에서 탈락했다. === 2017년 === ||<-6>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2017 오버워치 월드컵|{{{#FFF 2017오버워치 월드컵}}}]] {{{#FFF 영국 국가대표}}}''' || ||<-6> '''{{{#FFF 국가대표 위원회}}}''' || ||<-2> [[Kruise]] ||<-2> numlocked ||<-2> Stylosa || ||<-6> '''{{{#FFF 국가대표 로스터}}}''' ||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0]] DPS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0]] DPS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20]] TANK || [[파일:overwatch_role_icon_flex.png|height=20]] FLEX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0]] SUPPORT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0]] SUPPORT || || [[파일:EUnited.png|width=32]] Kruise ||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Ninjas_With_Attitudelogo.png|width=25]] MikeyA || [[파일:external/en.game-tournaments.com/pic-20170321-442x512-1775172911.png|width=25]] ChrisTFer ||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Yggp_eyes_logo.png|width=22]] Smex || [[파일:EUnited.png|width=32]] Boombox ||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Ninjas_With_Attitudelogo.png|width=25]] Realzx || || [[Kruise|Harrison[br]Pond]] || Michael[br]Adams || [[크리스토퍼 그레이엄|Christopher[br]Graham]] || Eoghan[br]O'Neill || [[아이작 찰스|Isaac[br]Charles]] || Marcus[br]Vining || [[2017 오버워치 월드컵]]에 참여했다. 2016년과 달리 국대로 선발된 인원 모두 소속팀이 있는 프로게이머였다. 특히 한국에서 유명한 [[eUnited]] 소속 크루즈가 위원회이자 국대로 뽑혔다. 원래 루시우 위주의 메인힐러였던 크루즈가 겐지를 맡아서 의아해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준수한 모습을 보이며 인식 전환에 성공했다. 이후 크루즈는 한국어 채널에 등장하여 같은 e유나이트 선수가 소속된 러시아와 캐나다를 응원해달라고 홍보했으나, 그 두 팀은 귀신같이 패배했다. === 2018년 === [include(틀:2018 오버워치 월드컵 영국 대표팀)] [[2018 오버워치 월드컵]]에 참여했다. 스멕스, 크루즈, 붐박스, 크리스트퍼 등 2017년 영국 대표팀 멤버들이 이번에도 다수 포함되었다. 다만 크루즈는 2017 오버워치 월드컵 이후 겐지원챔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메인힐러로 포지션 변경을 감행했다. 커뮤니티 홍보대사인 칩사는 둠피스트 장인으로 유명했는데, 메인탱커 크리스트퍼와 친형제 사이라는 점이 특이사항이다. 다만 크리스트퍼는 예선전을 끝마치고서 본인의 실력에 한계를 느끼고 은퇴를 선언했다. 본선부터는 퓨전스가 그 빈자리를 메우며 영국팀의 메인탱커로 출전했다. 8강 상대가 리거 올스타로 구성된 미국이었기 때문에 영국은 8강에서 탈락할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미국을 압도적인 차이로 이기고, 4강에서 한국까지 위협하며 저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고츠 조합으로는 한국 대표팀보다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 주목 받았다. 딜러 킵은 본 포지션 뿐만 아니라 브리기테, 로드호그까지 여러가지 영웅을 소화하며 한국을 위협했고, 퓨전스와 미키에이 또한 좋은 모습을 보였다. 다만 결과는 아쉽게 패배했다. 3-4위 결정전의 상대는 캐나다였다. 기세를 몰아 캐나다를 위협했으나 뒤로 갈수록 경험에서 밀리기 시작하며 전략이 파훼되었고 결국 패배했다. 이로써 영국은 2018 오버워치 월드컵을 최종 4위의 성적으로 마무리했다. 아무도 주목하지 않는 신인 위주의 팀이었음에도 미국을 꺾고 한국을 위협하며 언더독으로서 크게 활약했다. === 2019년 === [include(틀:2019 오버워치 월드컵 영국 대표팀)] [[2019 오버워치 월드컵]]에 참여했다. 2018년 영국 대표팀 멤버들이 대부분 예비 로스터에 합류하였다. 그중 킵, 퓨전스, 크루즈는 오버워치 리그에서 활약했다. 2년 동안 영국 대표팀 선수로 뛰었던 크리스트퍼는 은퇴 이후 코치가 되어 다시 한 번 영국 대표팀에 합류했다. 주축 선수인 크루즈, 퓨전스가 역할고정 이후 리그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우려가 있었다. === 2023년 === ==== 로스터 ==== [include(틀:2023 오버워치 월드컵 영국 대표팀)] [[2023 오버워치 월드컵]]에 참여했다. 2017년부터 꾸준히 영국 대표팀의 일원으로 활약해온 크리스트퍼와 스멕스가 이번에도 합류했다. 크리스트퍼를 감독으로 하여 현직 리거 3인, 전직 리거 1인, 컨텐더스 출신 신인선수 3인으로 구성된 로스터가 완성되었다. 다만 힐러는 메인힐러만 두 명인데, 이는 서브딜러 백본이 서브힐러 역까지 맡으며 빈틈을 메웠다. ==== 경기 내용 ==== ||<-5>
{{{#fff '''2023 오버워치 월드컵 성적'''}}} || || 구분 || 승 || 패 || 세트 득실 || 결과 || || 예선 (EMEC-A) || 6 || 1 || +10 || 조 1위 || || 그룹 스테이지 (B) || 3 || 0 || +6 || 조 1위 || || 파이널 스테이지 || 0 || 1 || -3 || 8강 탈락 || ||<-6> '''{{{#fff 예선 EMEC A조 경기}}}''' || || 일자 || 구분 || 상대 팀 || 점수 || 승패 || 링크 || || 2023.06.23 || 1일차 ||[[2023 오버워치 월드컵/출전 팀 로스터#벨기에|[[파일:OW_WorldCup2023_Team_Belgium.webp|height=20]] 벨기에]] || 2:0 || {{{#0000eb 승리}}} || [[https://www.youtube.com/live/RLlrcIwHtN0?si=yHQxW3t8VJB8Y2uf|[[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 2023.06.24 || 2일차 ||[[2023 오버워치 월드컵/출전 팀 로스터#덴마크|[[파일:OW_WorldCup2023_Team_Denmark.webp|height=20]] 덴마크]] || 1:2 || {{{#eb0000 패배}}} || [[https://www.youtube.com/live/X4FcbZ_ZjHA?si=0edVuBUbFRf-VBlb|[[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 2023.06.25 || 3일차 ||[[2023 오버워치 월드컵/출전 팀 로스터#포르투갈|[[파일:OW_WorldCup2023_Team_Portugal.webp|height=20]] 포르투갈]] || 2:0 || {{{#0000eb 승리}}} || [[https://youtu.be/94uM1F9Ixq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 2023.06.26 || 4일차 ||[[2023 오버워치 월드컵/출전 팀 로스터#네덜란드|[[파일:OW_WorldCup2023_Team_Netherlands.webp|height=20]] 네덜란드]] || 2:1 || {{{#0000eb 승리}}} || [[https://youtu.be/aQDyGtc1h4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 2023.07.01 || 6일차 ||[[2023 오버워치 월드컵/출전 팀 로스터#이탈리아|[[파일:OW_WorldCup2023_Team_Italy.webp|height=20]] 이탈리아]] || 2:0 || {{{#0000eb 승리}}} || [[https://youtu.be/kRp4WmyBn7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 2023.07.02 || 7일차 ||[[2023 오버워치 월드컵/출전 팀 로스터#스페인|[[파일:OW_WorldCup2023_Team_Spain.webp|height=20]] 스페인]] || 2:0 || {{{#0000eb 승리}}} || [[https://youtu.be/B4Ew57RbAG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 2023.07.03 || 8일차 ||[[오버워치 월드컵/프랑스 대표팀#2023년|[[파일:OW_WorldCup2023_Team_France.webp|height=20]] 프랑스]] || 2:0 || {{{#0000eb 승리}}} || [[https://youtu.be/-UAZhLlwqF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6> '''{{{#fff 그룹 스테이지 B조 경기}}}''' || || 일자 || 구분 || 상대 팀 || 점수 || 승패 || 링크 || || 2023.10.30 || 1일차 ||[[오버워치 월드컵/캐나다 대표팀#s-2.5|[[파일:OW_WorldCup2023_Team_Canada.webp|height=20]] 캐나다]] || 2:0 || {{{#0000eb 승리}}} || [[https://youtu.be/mMu1iVFCPJ8?si=xfdAzADOc8Vc5P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https://www.youtube.com/live/arelJJwdJ8o?si=4956799CpKqi5PA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 2023.11.01 || 3일차 ||[[2023 오버워치 월드컵/출전 팀 로스터#호주|[[파일:OW_WorldCup2023_Team_Australia.webp|height=20]] 호주]] || 2:0 || {{{#0000eb 승리}}} || [[https://youtu.be/mbekFfZE1iI?si=CNs0LGDgktM4aGd3|[[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https://www.youtube.com/live/HGizOudQrXk?si=ZJxlRJpR_r-lTsc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 2023.11.02 || 4일차 ||[[2023 오버워치 월드컵/출전 팀 로스터#브라질|[[파일:OW_WorldCup2023_Team_Brazil.webp|height=20]] 브라질]] || 2:0 || {{{#0000eb 승리}}} || [[https://youtu.be/QuJYA2DJrFM?si=yhDn68Eq6GH9XgS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https://www.youtube.com/live/uVSPgP7GiGs?si=6uXU6D9TJlk2JFP8&t=1285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6> '''{{{#fff 파이널 스테이지 경기}}}''' || || 일자 || 구분 || 상대 팀 || 점수 || 승패 || 링크 || || 2023.11.04 || 8강 ||[[2023 오버워치 월드컵/출전 팀 로스터#핀란드|[[파일:OW_WorldCup2023_Team_Finland.webp|height=20]] 핀란드]] || 0:3 || {{{#eb0000 패배}}} || [[https://youtu.be/6G39UvUZdh4?si=x-XCKHL5A0QLIgXj|[[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https://www.youtube.com/live/RtUBcfu6twM?si=O6vG8ok_m0uttjz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예선전에서 영국은 EMEC(유럽중동)의 A조로 편성되었다. 같은 조의 프랑스와 함께 EMEC 내에서 가장 많은 리거를 보유한 팀 답게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덴마크를 제외한 모든 팀을 이기고 조 1위로 그룹 스테이지에 진출했다. 특히 백본이 아나를 맡으면서 일명 '본백'이라 불리는 서브힐러 자원으로 활용된 것이 특이점이었다. 그룹 스테이지에서 영국은 캐나다, 호주, 브라질과 같은 B조로 편성되었다. 첫 경기 캐나다전에서 백본과 메이몬이 딜-힐 스왑을 보여주며 활약했다. 특히 2세트 2라운드는 백본의 고드름 변수킬이 빛을 발했다. 이어진 호주전과 브라질전 역시 시그마 위주의 조합을 선보이며 무실 세트 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다. 영국의 경기는 조합 유동성이 상당히 크다는 특징이 있었다. 선수 기용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며 다양한 조합을 선보였다. 8강전에서는 핀란드를 상대로 압도적인 0:3 패배를 당했다. 기존과는 달리 제이카루의 오리사와 백본의 겐지를 중심으로 한 조합을 들고 나왔지만 실패했다. 연속된 실패와 패배에도 불구하고 조합은 처음부터 끝까지 똑같았다. 카이가 변수킬을 활발하게 내는 것 외에는 이렇다할 장면을 만들지 못했다. 크리스트퍼의 언급에 따르면 스크림 과정에서 사우디/핀란드를 상대로 미러전은 먹히지 않는다는 것을 느꼈고, 전략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찾은 해답이 해당 조합이었다고 한다. == 통계 == === 역대 선수별 출전 이력 === || 4회 || '''2명 (11%)''' ||Kruise, Smex|| || 3회 || '''2명 (12%)''' ||Boombox, Kai(KSP)|| || 2회 || '''6명 (38%)''' ||Realzx, MikeyA, Kyb, Fusions, FunnyAstro, ChrisTFer|| || 1회 || '''8명 (50%)''' ||Stylosa, numlocked, OneAmgstMany, ekuls, Backbone, WMaimone, JkAru19, Kronus|| === 역대 팀별 배출 이력 === >'''팀을 바꾸고 월드컵 재출전하는 선수가 있다면 중복 기입 가능''' ||[[필라델피아 퓨전|[[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필라델피아 퓨전]]|| '''3명 (10%)''' ||Boombox, Kyb, FunnyAstro|| ||[[런던 스핏파이어#s-4|[[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height=25]] 브리티시 허리케인]]|| '''3명 (10%)''' ||Kyb, MikeyA, Fusions|| ||[[LA 글래디에이터즈|[[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3.svg|height=20]] LA 글래디에이터즈]]|| '''2명 (6%)''' ||Kai, FunnyAstro|| ||[[eUnited|[[파일:EUnited.png|height=15]] eUnited]] || '''2명 (6%)''' ||Kruise, Boombox||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Ninjas_With_Attitudelogo.png|height=25]] Ninjas With Attitude|| '''2명 (6%)''' ||MikeyA, Realzx|| ||[[런던 스핏파이어|[[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런던 스핏파이어]]|| '''1명 (3%)''' ||Backbone|| ||[[보스턴 업라이징|[[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5]] 보스턴 업라이징]]|| '''1명 (3%)''' ||Fusions|| ||[[파리 이터널|[[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height=25]] 파리 이터널]]|| '''1명 (3%)''' ||Kruise|| ||[[몬트리올 리벨리온|[[파일:S1Z2SEP9M3I91550858899750.png|width=20]]몬트리올 리벨리온]]|| '''1명 (3%)''' ||Smex || ||[[XL2 아카데미|[[파일:XL2_Academy_edit.png|height=15]] XL2 아카데미]]|| '''1명 (3%)''' ||KSP || ||[[파일:Team Peps.png|height=25]] Team Peps|| '''1명 (3%)''' ||Kronus|| ||[[파일:600px-Wisp_2023_allmode.png|height=25]] WISP|| '''1명 (3%)''' ||JkAru19|| ||[[파일:Sovereigns EU.png|height=25]] Sovereigns EU|| '''1명 (3%)''' ||smex|| ||[[파일:Ex Oblivione 2022.png|height=25]] Ex Oblivione|| '''1명 (3%)''' ||WMaimone|| ||[[파일:삼성모닝스타즈.png|height=25]] Samsung MorningStars|| '''1명 (3%)''' ||KSP ||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Yggp_eyes_logo.png|height=25]] You guys get paid? || '''1명 (3%)''' ||Smex|| ||[[파일:6nakes_logo.png|height=25]] 6nakes|| '''1명 (3%)''' ||ChrisTFer|| ||[[파일:external/en.game-tournaments.com/pic-20170321-442x512-1775172911.png|height=25]] Hammers Esports|| '''1명 (3%)''' ||ChrisTFer|| ||[[Dignitas|[[파일:Team_Dignitas_logo.png|height=25]] Dignitas]] || '''1명 (3%)''' ||numlocked|| ||[[REUNITED|[[파일:600px-REUNITEDgg.png|height=25]] REUNITED]] || '''1명 (3%)''' ||Kruise|| ||[[Fnatic|[[파일:fnatic.png|height=25]] Fnatic]] || '''1명 (3%)''' ||Realzx|| ||[[FA 제도(e스포츠)|[[파일:오버워치 아이콘.svg|height=25]] 무소속]] || '''3명 (10%)''' ||Stylosa, OneAmgstMany, ekuls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2017 오버워치 월드컵/출전 팀 로스터, version=348, paragraph=8.1)]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2018 오버워치 월드컵/출전 팀 로스터, version=443, paragraph=4.2)]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2019 오버워치 월드컵/출전 팀 로스터, version=204, paragraph=2.1)] [[분류:오버워치/e스포츠 팀]][[분류:오버워치 월드컵 타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