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사카메트로)] ||<-2><)>{{{#!wiki style="margin: 0px -5px" [[오사카메트로|[[파일:Osaka_Metr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오사카메트로|{{{#ffffff 오사카메트로}}}]]}}}||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Osaka Metro-M.svg|width=50]]||{{{#de4d41 {{{+1 '''[ruby(御, ruby=み)][ruby(堂, ruby=どう)][ruby(筋, ruby=すじ)][ruby(線, ruby=せん)]'''}}}[br]'''M'''idosuji Line[br]미도스지선}}}||}}}|| ||<-2><:>[[파일:midosuji_30000_series.jpg|width=100%]] ---- [[오사카메트로 30000계 전동차]]|| ||<-2><:>'''{{{#ffffff 노선도}}}'''|| ||<-2><:>{{{#!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OMMidosuji_Line_Vroutemap.png|width=100%]] }}}}}}|| ||<-2><:>'''{{{#ffffff 노선 정보}}}'''|| ||<:>'''분류'''||[[지하철]]|| ||<:>'''기점'''||[[에사카역]]|| ||<:>'''종점'''||[[나카모즈역]]|| ||<:>'''역 수'''||20|| ||<:>'''노선 기호'''||{{{#de4d41 {{{+1 '''M'''}}}}}}|| ||<:>'''노선 번호'''||1호선|| ||<:>'''개통일'''||1933년 5월 20일|| ||<:>'''소유자'''||<|2>[[오사카메트로|[[파일:Osaka_Metro.svg|width=180]]]]|| ||<:>'''운영자'''|| ||<:>'''사용차량'''||[[오사카메트로 신20계 전동차#21계 (1000형)|오사카메트로 21계 전동차]][br][[오사카메트로 30000계 전동차]][br][[키타오사카 급행전철 8000형 전동차]][br][[키타오사카 급행전철 9000형 전동차]]|| ||<:>'''차량기지'''||나카모즈 검차장|| ||<-2><:>'''{{{#ffffff 노선 제원}}}'''|| ||<:>'''노선연장'''||24.5km|| ||<:>'''궤간'''||[[표준궤|1435mm]]|| ||<:>'''선로구성'''||전구간 [[복선]]|| ||<:>'''사용전류'''||[[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폐색방식'''||자동폐색식|| ||<:>'''신호방식'''||WS-[[열차자동제어장치|ATC]]|| ||<:>'''최고속도'''||70km/h|| ||<:>'''지상구간'''||니시나카지마미나미가타~에사카|| ||<:>'''개통 연혁'''||1933. 5. 20. [[우메다역|우메다]] ↔ [[신사이바시역|신사이바시]][br]1935. 10. 30. [[신사이바시역|신사이바시]] ↔ [[난바역|난바]][br]1938. 4. 21. [[난바역|난바]] ↔ [[텐노지역|텐노지]][br]1951. 12. 20. [[텐노지역|텐노지]] ↔ [[쇼와쵸역(오사카)|쇼와쵸]][br]1952. 10. 5. [[쇼와쵸역(오사카)|쇼와쵸]] ↔ [[니시타나베역|니시타나베]][br]1960. 7. 1. [[니시타나베역|니시타나베]] ↔ [[아비코역(오사카)|아비코]][br]1964. 9. 24. [[신오사카역|신오사카]] ↔ [[우메다역|우메다]][br]1970. 2. 24. [[에사카역|에사카]] ↔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1987. 4. 18. [[아비코역(오사카)|아비코]] ↔ [[나카모즈역|나카모즈]]|| ||<:>[[파일:OMMidosuji_Line_linemap.png|width=100%]]|| ||<:>{{{#ffffff 실측지도 상의 미도스지선}}}|| ||<:>[youtube(b5g9oljQK9A,width=100%)]|| ||<:>{{{#ffffff 상행 전구간 주행영상 (키타큐선 직통)}}}||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사카메트로]]에서 운영하는 오사카 지하철의 노선이다. 철도요람 상 명칭은 1호선 미도스지선으로, 노선명은 16세기 불교 정토진종 중 [[니시혼간지]] [[히가시혼간지]]의 두 종파가 각각 세운 별당인 키타미도와 미나미미도를 잇는다는 뜻의 오사카의 주요도로 '미도스지'에서 유래. 노선 색상은 [[오사카시]]의 [[대동맥]]이라는 의미의 '[[크림슨]] [[빨간색|레드]]'. 1933년에 첫 개통한 노선으로, 당시 '우메다임시역 - 신사이바시' 구간 개통으로 운행을 개시한 이래 꾸준히 노선을 연장해 현재 운행구간은 '에사카 - 나카모즈' 구간이며, 에사카 역에서 [[키타오사카 급행전철]]의 난보쿠선 센리츄오역까지 직결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최초의 공영 지하철 노선이지만 이제는 민영화가 되어 더 이상 공영 노선이 아니다. 민영화 이후 일본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공영 지하철 노선 타이틀은 [[나고야 시영 지하철 히가시야마선]]에 넘겨졌다. [youtube(Ai5A3zK-Glo)] 미도스지선의 초기 역들은 [[북한]]이나 [[러시아]] 지하철을 연상케 할 정도로 승강장 규모가 거대하며 천장이 높은 아치 형태로 지어져 있고 [[에스컬레이터]]까지 완비되어 있었으며, 역마다 특색의 화려한 조명이 설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전쟁]] 발발 이후 건설된 역은 평범하게 지어졌고, 이미 설치된 에스컬레이터는 [[징발]]로 한동안 모조리 철거된 흑역사가 있다.] 개업 당시 1량 편성 운행이었음에도 승강장을 당시 차량 기준 12량[* 현재 차량 기준 10량 길이]까지 내다보고 길게 지어져, 현재 10량 편성으로 성업중인 것을 보면 그야말로 선견지명. 비슷한 시기에 먼저 개통한 [[긴자선]]의 짧고 아담한 승강장과 비교했을 때 상반된다. 노선을 운행하는 열차의 종류는 [[오사카메트로 신20계 전동차|21계]], [[오사카메트로 30000계 전동차|30000계]] 차량과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소속의 8000형, 9000형 차량. 이 노선을 운행하는 열차의 6호차는 여성전용차량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평일 모든 시간대에 시행 중이다. 2022년 7월 4일에 [[오사카메트로 10A계 전동차|10A계]]가 완전히 은퇴하면서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8000형이 최고참 열차가 되었다. [[나카모즈역]] 인근에는 나카모즈 검차장이 있으며, 검수 및 세차 시설을 포함, 약 100,000㎡ 규모의 지하 차고에는 최대 무려 48편성의 열차를 유치할 수 있다. [[https://youtu.be/fDrwMgHAwi4|(1분 27초부터)]] 우메다, 난바, 신사이바시, 텐노지 등 오사카의 메인 관광스폿을 한번에 연결해주는 노선이기 때문에, 관광객들이 여행 가서 적어도 한 번 이상은 타보는 노선이기도 하다. 2022년 초에 스크린도어가 미도스지선 전 역에 설치되어 가동중이다. == 오사카 지하철 최고의 황금 노선 == ||<:>[[파일:umeda_hellgate.jpg|width=100%]] ---- {{{-3 [[http://osaka-subway.com/r6acr1/|©ももやまだい via Osaka-Subway.com]]}}}|| ||<:>{{{#ffffff 2017년 2월 6일 [[오사카메트로 사카이스지선|{{{#ffffff 사카이스지선}}}]]이 선로 장애로 멈춘 날 퇴근시간 대혼란의 [[우메다역|{{{#ffffff 우메다역}}}]].[br]미도스지선이 오사카부 내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 동시에 사카이스지선이 터지면 어떻게 되는지도 단적으로 보여준다.]}}}|| [[오사카메트로]] 노선 중에서도 오사카의 남북을 가로지르는 주요한 핵심 노선으로, 오사카 시내 알짜배기 주요 지역을 거쳐가며 [[신칸센]]은 물론이고 [[JR 서일본|JR]] 중심 역인 [[오사카역]]·[[텐노지역]]은 물론 사철인 [[한큐 전철|한큐]], [[한신 전기철도|한신]], [[케이한 전기철도|케이한]], [[킨키 일본 철도|킨테츠]], [[난카이 전기철도|난카이]]의 핵심 터미널 역들을 깔끔하게 연계해주는 그야말로 오사카 교통의 허브이자 중추 노선. 이렇게 오사카 인기지역만 쏙쏙 골라 다니다 보니,[* 인과관계상 엄밀히 말하면 반대다. 오히려 오사카 시가지가 '''이 노선을 중심으로''' 발달해 왔다. 미도스지선 하나에만 의지하다시피 하던 시기가 꽤나 길었기 때문. 참고로 요츠바시선이 9년 간격으로 개통하긴 했으나, 이 때는 그냥 미도스지선의 지선 역할일 뿐 시내 구간까지 연장된 것은 후술하듯 1960년대 이후의 이야기이다.] 이용객 수도 가장 많고 일찌감치 이용객들로 미어터져왔다. 일찌감치 [[1963년]]부터 8량을 운행하였고, [[1970 오사카 엑스포]]를 맞아 혼잡이 절정에 달할 시기 바이패스선으로 [[1965년]] [[오사카메트로 요츠바시선|요츠바시선]] 연장, [[1969년]] [[오사카메트로 사카이스지선|사카이스지선]]이 개통되었지만 이후에도 미도스지선의 혼잡이 계속되었고, [[1987년]] 9량, [[1995년]] 이후 무려 '''10량 편성'''이 운행되고 있다. [[영업계수]]는 무려 '''44.9'''[* 100엔을 버는데 44.9엔밖에 안든다는 뜻이다!], 미도스지선만으로도 '''연간 370억 엔'''의 초대박 흑자를 내고 있다. 노선 하나만으로 웬만한 [[대형 사철]]의 사업 규모를 뛰어넘는 수준으로, 지금도 승객을 실어나르며 [[오사카메트로]] 비인기 노선들의 적자를 열심히 메꿔주고 있다. 10량 운행임에도 운전시격은 평일 2분 15초 ~ 4분, 주말 3분 ~ 3분 45초 간격으로 상당히 타이트하다. [[파일:external/wiki.chakuriki.net/%E5%A4%A7%E9%98%AA%E5%B8%82%E5%96%B6%E5%9C%B0%E4%B8%8B%E9%89%84%E6%99%82%E5%88%BB%E8%A1%A8.jpg]] 이 사이 [[나카모즈역|나카모즈]]행 4~6분 간격, [[텐노지역|텐노지]]방면 2~3분 간격이라 써있다. 한 때 위 사진처럼 열차 시간을 제대로 표시하지 않았던 시기가 있었다. 킨키운수국의 권고로 현재는 시간표가 있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승객들이 하도 많아서 별 의미가 없다.[* 사실 오사카메트로의 경우 관제실의 무전과 자동으로 울리는 발차 멜로디로 배차를 관리하므로 시간표를 따르지 않아도 상관 없다. 그래서 기관사용 시간표 조차 없었고, 지금도 그 방식을 따르고 있다.] 출퇴근시간에는 열차가 출발 안 했는데도 진입열차가 대기하는 [[케이오 전철]]의 명물 '''경단 운행'''을 [[https://youtu.be/M0RMZZct_N8|미도스지선에서도]] [[https://www.youtube.com/watch?v=sat865BGusQ|지하철판으로]] 볼 수 있다.[* 저 영상 기준으로, 33분에 14대가 왔다. 이시간대 배차간격은 '''2분 20초 언저리.'''] 한술 더 떠서 [[https://www.youtube.com/watch?v=ApNbKoYmQek|'''앞 열차가 발차하는 도중에''']] 진입 안내 방송과 함께 뚫고 들어온다.[* 이 영상 기준으로, 선행열차 출발 이후 다음 열차까지 올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40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Osaka_subway_founder100.jpg]] 초대 차량인 100형(形) 1933년 미도스지선의 초창기 역들은 장래의 수요 폭증을 대비해, 1량 운행이던 개통 당시부터 일찌감치 '''12량 편성'''을 염두에 두고 확장 및 대응이 가능하도록 건설되었으며,[* 개통 당시 차량 기준으로 12량 대응이지만 현재의 중형 차량으로 바꾸면서 10량 기준 길이로 줄어들었다. 미도스지선에 19m 4도어 차량이 달리게 된 것은 [[1970 오사카 엑스포]]를 대비하여 도입한 30계 차량부터다. [[https://ja.wikipedia.org/wiki/大阪市交通局30系電車|30계 관련 정보]]] 터널의 크기 또한 상대적으로 크게 지어졌다. 덕분에 다른 일본 대도시의 초기 지하철 노선인 [[도쿄메트로 긴자선|긴자선]],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마루노우치선]], [[나고야 시영 지하철 히가시야마선|히가시야마선]] 등이 미도스지선 못지 않은 위상의 황금노선임에도 불구하고, 구조 상 한계로 인해 6량 이상의 편성이 불가능해 각각 [[도쿄메트로 한조몬선|한조몬선]], [[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유라쿠초선]], [[나고야 시영 지하철 사쿠라도리선|사쿠라도리선]]이라는 바이패스 노선을 뒤늦게 건설해 수요 분산을 했던 반면에, 미도스지선은 10량까지 편성을 늘려가며 무난하게 수요 증가에 대처할 수 있었다. --그래도 사람이 넘친다.-- 심지어 미도스지선의 바이패스 노선까지 초기부터 계획되어 있었다. 그것이 바로 [[타니마치선]]인데, 이게 원체 난공사[* 미도스지선 우메다역 옆에 터널을 팠더니 두 번이나 무너졌고, 재공사 도중에 [[제2차 세계대전]]이 터져서 히가시우메다로 틀었다. 그 이후 공사가 잘 진행되나 싶더니 [[덴로쿠 가스 폭발사고|텐로쿠역이 터졌다.]]]여서 3호선인 [[요츠바시선]]보다도 25년 늦게 개통했다.[* 참고로 요츠바시선은 초기에는 다이코쿠초역을 종점으로 계획하고 개통한 노선이었으며, 미도스지선의 바이패스 역할을 하게 된 건 1965년 니시우메다역까지 개통한 이후의 일이다.] 개통 전 차량을 입고할 때에 '''[[소]]'''가 견인을 했다. 당시 우메다에서 차고가 있는 히라노(현재 [[혼마치역]] 부근)까지 견인하는 데에만 무려 '''4시간'''이 걸렸다고. [[http://osaka-subway.com/100/|당시 사진]] 내연기관 차량으로 견인되는 [[트레일러]]가 갓 상용화된게 1930년대였다.[* 당시 미국과 유럽은 철도 차량입고를 하기 위해서 '''임시레일을 설치'''했다. 즉 기술적인 문제라기 보다는 [[니트로 박사|시간과 예산이 문제였다.]]] 이러한 초기 차량에 무려 전자 노선도가 있었다. 전등이 켜진 역명을 전동으로 하나하나씩 가리는 방식. [[태평양 전쟁]] 이전에 개통되어 미군의 [[일본 본토 공습|공습]]을 받은 바 있다. [[도쿄]]의 [[긴자선]]과는 달리 이 노선은 적당히 깊은 곳에 있어서 전쟁 당시 피난 용도로 요긴하게 쓰였다. 2018년 11월 13일 기준 일 이용객은 약 250만 명이다. 이는 한국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서울 지하철 2호선]]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다. 전동차 규격도 한국의 대형 전동차에 비해 작고[* 그래서 관광객들이 캐리어를 들고 타면 통행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 그래도 부산도시철도 같은 지방 광역시의 중형전동차 보다는 조금 큰 편이다.], 노선 길이도 절반 정도에 불과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키타큐]] 구간을 포함해도 서울 지하철 2호선의 48.8km에 비해서는 한참 짧다.] 혼잡도가 어마어마한 셈. [[2025 오사카 엑스포|2025 오사카 칸사이 엑스포]] 개최에 발 맞춰 미도스지선 9개 역을 리뉴얼 공사중이다. 북쪽부터 신오사카, 나카츠, 우메다, 요도야바시, 혼마치, 신사이바시, 다이코쿠초, 도부츠엔마에, 덴노지. == 직결 운행 == [[도쿄메트로]]의 [[긴자선]], [[마루노우치선]]처럼 제3궤조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노선과의 직결운행이 힘든 구조이지만, 미도스지선은 에사카역 북쪽으로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난보쿠선과 직결운행을 하고 있는데, 이 노선의 건설 이유는 [[1970 오사카 엑스포|1970년 오사카에서 개최된 엑스포]]의 교통편의상 전시장까지의 교통 수단의 필요성 때문. 키타오사카 급행전철은 엑스포 개최기간 동안에는 전시장 입구까지 열차를 운영했지만 엑스포 종료 직후 엑스포장까지 들어가는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카이죠선|카이죠선(会場線)]] 분기를 폐선하고 지금의 센리츄오역을 종점으로 하는 운행으로 전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24년]] 목표로 난보쿠선을 [[미노오시]] [[미노오카야노역]]까지 연장하는 공사가 진행중이며, 물론 오사카메트로 미도스지선 열차도 이 역까지 직통 운행할 예정이다. == 역 목록 == * 전구간 [[오사카부]]내 소재. * 역번호 밑줄은 시종착 취급역. * 운행계통은 시내 구간에 수요가 집중됨에 따라 대운전(大運転)과 소운전(小運転) 크게 2가지로 나뉘어 교차 운행된다. 타 노선과 달리 미도스지선은 소운전 구간이 여러 경우로 끊기며, 막차 시간대의 행선지도 다양하게 배치된다. * 대운전: [[나카모즈역|나카모즈]] ↔ [[센리츄오역|센리츄오(난보쿠선)]] * 소운전: [[에사카역|에사카]]·[[신오사카역|신오사카]]·[[나카츠역(오사카메트로)|나카츠]]·[[우메다역|우메다]] ↔ [[난바역|난바]]·[[텐노지역|텐노지]]·[[아비코역(오사카)|아비코]]·[[신카나오카역|신카나오카]][* 보통 주간에는 '''신오사카 - 텐노지'''나 '''신오사카 - 아비코''' 계통이 운행하며, 대부분 신오사카와 텐노지 사이를 오간다. 출퇴근 시간에는 '''나카츠행, 아비코행, 신카나오카행'''이 추가로 배치되며, 북쪽 종착역은 막차 시간대를 제외하고 '''신오사카역'''으로 고정되어있다. 심야 시간대에는 '''에사카행, 신카나오카행'''이 배치되어 입고 다이아로 처리된다.] ||<-6><:>{{{#ffffff '''오사카메트로 미도스지선'''}}}|| ||<:>{{{#ffffff 번호}}}||<:>{{{#ffffff 역명}}}||<:>{{{#ffffff km}}}||<:>{{{#ffffff 환승노선}}}||<:><-2>{{{#ffffff 소재지}}}|| ||<:>↑||<-5>'''전 열차''' :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파일:kitakyu_namboku.svg|width=17]][[키타오사카 급행전철 난보쿠선|난보쿠선]] [[센리츄오역|센리츄오]]까지 직통운행|| ||<:>__M11__||<:>[[에사카역|에사카]][br]江坂||<:>0.0||¶[[키타오사카 급행전철]] [[파일:kitakyu_namboku.svg|width=17]][[키타오사카 급행전철 난보쿠선|난보쿠선]] '''(직통운행)'''||<-2><:>[[스이타시]]|| ||<:>M12||<:>[[히가시미쿠니역|히가시미쿠니]][br]東三国||<:>2.0||<:>||<|16><:>[[오사카시|오[br]사[br]카[br]시]]||<|3><:>[[요도가와구]]|| ||<:>__M13__||<:>[[신오사카역|신오사카]][br]新大阪||<:>2.9||¶[[JR 도카이]] [[파일:JRC-SKS.svg|width=17]][[도카이도 신칸센]][br]¶[[JR 서일본]] [[파일:JRW-SKS.svg|width=17]][[산요 신칸센]], [[파일:JRW-A.svg|width=17]][[JR 교토선]](A46), [[파일:JRW-F.svg|width=17]][[오사카 히가시선]](F02)|| ||<:>M14||<:>[[니시나카지마미나미가타역|니시나카지마미나미가타]][br]西中島南方||<:>3.6||¶'''[[미나미카타역(오사카)|미나미카타역]]''' : [[한큐 전철]] [[파일:HK-green.svg|width=17]][[한큐 교토 본선|교토 본선]](HK61)|| ||<:>__M15__||<:>[[나카츠역(오사카메트로)|나카츠]][br]中津||<:>5.4||<:>||<|2><:>[[키타구(오사카)|키타구]]|| ||<:>__M16__||<:>[[우메다역|우메다]][br]梅田||<:>6.4||¶'''[[히가시우메다역]]''' : [[오사카메트로]] [[파일:Osaka Metro-T.svg|width=17]][[오사카메트로 타니마치선|타니마치선]](T20)[br]¶'''[[니시우메다역]]''' : [[오사카메트로]] [[파일:Osaka Metro-Y.svg|width=17]][[오사카메트로 요츠바시선|요츠바시선]](Y11)[br]¶'''[[오사카우메다역]]''' : [[한큐 전철]] [[파일:HK-blue.svg|width=17]][[한큐 고베 본선|고베 본선]](HK01), [[파일:HK-orange.svg|width=17]][[한큐 타카라즈카 본선|타카라즈카 본선]](HK01), [[파일:HK-green.svg|width=17]][[한큐 교토 본선|교토 본선]](HK01)[br]¶'''[[오사카우메다역]]''' : [[한신 전기철도]] [[파일:Hanshin-HS.svg|width=17]][[한신 본선|본선]](HS01)[br]¶'''[[오사카역]]''' : [[JR 서일본]] [[파일:JRW-O.svg|width=17]][[오사카 순환선]](O11), [[파일:JRW-A.svg|width=17]][[JR 교토선]]·[[JR 고베선]](A47), [[파일:JRW-G.svg|width=17]][[후쿠치야마선]](G47), [[파일:JRW-F.svg|width=17]][[오사카 히가시선]] (F01)[br]¶'''[[키타신치역]]''' : [[JR 서일본]] [[파일:JRW-H.svg|width=17]][[JR 도자이선]](H44)|| ||<:>M17||<:>[[요도야바시역|요도야바시]][br]淀屋橋||<:>7.6||¶[[케이한 전기철도]] [[파일:Keihan-KH.svg|width=17]][[케이한 본선]](KH01)[br]¶'''[[오에바시역]]''' : [[케이한 전기철도]] [[파일:Keihan-KH.svg|width=17]][[케이한 나카노시마선|나카노시마선]](KH52)||<|4><:>[[주오구(오사카)|주오구]]|| ||<:>M18||<:>[[혼마치역|혼마치[br]{{{-2 (센바[include(틀:글배경, 배경색=#000000, 글자색=#ffffff, 내용=니시)])}}}]][br]本町[br]{{{-2 (船場[include(틀:글배경, 배경색=#000000, 글자색=#ffffff, 내용=西)])}}}||<:>8.6||¶[[오사카메트로]] [[파일:Osaka Metro-C.svg|width=17]][[오사카메트로 츄오선|츄오선]](C16), [[파일:Osaka Metro-Y.svg|width=17]][[오사카메트로 요츠바시선|요츠바시선]](Y13)|| ||<:>M19||<:>[[신사이바시역|신사이바시]][br]心斎橋||<:>9.6||¶[[오사카메트로]] [[파일:Osaka Metro-N.svg|width=17]][[오사카메트로 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N15)[br]¶'''[[요츠바시역]]''' : [[파일:Osaka Metro-Y.svg|width=17]][[오사카메트로 요츠바시선|요츠바시선]](Y14)|| ||<:>__M20__||<:>[[난바역|난바]][br]なんば||<:>10.5||¶[[오사카메트로]] [[파일:Osaka Metro-Y.svg|width=17]][[오사카메트로 요츠바시선|요츠바시선]](Y15), [[파일:Osaka Metro-S.svg|width=17]][[오사카메트로 센니치마에선|센니치마에선]](S16)[br]¶[[난카이 전기철도]] [[파일:NK-main.svg|width=17]][[난카이 본선]](NK01), [[파일:NK-koya.svg|width=17]][[난카이 고야선|고야선]](NK01)[br]¶'''[[오사카난바역]]''' : [[킨키 일본 철도]] [[파일:KT-A.svg|width=17]][[킨테츠 난바선|난바선]]([[킨테츠 나라선|나라선]])(A01)[br]¶'''[[오사카난바역]]''' : [[한신 전기철도]] [[파일:Hanshin-HS.svg|width=17]][[한신난바선]](HS41)[br]¶'''[[JR난바역]]''' : [[JR 서일본]] [[파일:JRW-Q.svg|width=17]][[야마토지선]](Q17)|| ||<:>M21||<:>[[다이코쿠쵸역|다이코쿠쵸]][br]大国町||<:>11.7||¶[[오사카메트로]] [[파일:Osaka Metro-Y.svg|width=17]][[오사카메트로 요츠바시선|요츠바시선]](Y16)||<:>[[나니와구]]|| ||<:>M22||<:>[[도부츠엔마에역|도부츠엔마에[br]{{{-2 (신세카이)}}}]][br]動物園前[br]{{{-2 (新世界)}}}||<:>12.9||¶[[오사카메트로]] [[파일:Osaka Metro-K.svg|width=17]][[오사카메트로 사카이스지선|사카이스지선]](K19)[br]¶'''[[신이마미야역]]''' : [[난카이 전기철도]] [[파일:NK-main.svg|width=17]][[난카이 본선]](NK03), [[파일:NK-koya.svg|width=17]][[난카이 고야선|고야선]](NK03)[br]¶'''[[신이마미야역]]''' : [[JR 서일본]] [[파일:JRW-O.svg|width=17]][[오사카 순환선]](O19), [[파일:JRW-Q.svg|width=17]][[야마토지선]](Q19)[br]¶'''[[신이마미야에키마에역]]''' : [[한카이 전기궤도]] [[파일:Hankai-HN.svg|width=17]][[한카이선]](HN52)||<:>[[니시나리구]]|| ||<:>__M23__||<:>[[텐노지역|텐노지]][br]天王寺||<:>13.9||¶[[오사카메트로]] [[파일:Osaka Metro-T.svg|width=17]][[오사카메트로 타니마치선|타니마치선]](T27)[br]¶[[JR 서일본]] [[파일:JRW-O.svg|width=17]][[오사카 순환선]](O01), [[파일:JRW-Q.svg|width=17]][[야마토지선]](Q20), [[파일:JRW-R.svg|width=17]][[한와선]](R20)[br]¶'''[[오사카아베노바시역]]''' : [[킨키 일본 철도]] [[파일:KT-F.svg|width=17]][[킨테츠 미나미오사카선|미나미오사카선]](F01)[br]¶'''[[텐노지역|아베노바시 정류장]]''' : [[오사카메트로]] [[파일:imazatoliner.png|width=17]][[이마자토라이너]] BRT 2[br]¶'''[[텐노지에키마에역]]''' : [[한카이 전기궤도]] [[파일:Hankai-HN.svg|width=17]][[우에마치선]](HN01)||<|3><:>[[아베노구]]|| ||<:>M24||<:>[[쇼와쵸역(오사카)|쇼와쵸]][br]昭和町||<:>15.7||<:>|| ||<:>M25||<:>[[니시타나베역|니시타나베]][br]西田辺||<:>17.0||<:>|| ||<:>M26||<:>[[나가이역(오사카)|나가이]][br]長居||<:>18.3||¶[[오사카메트로]] [[파일:imazatoliner.png|width=17]][[이마자토라이너]] BRT 1[br]¶[[JR 서일본]] [[파일:JRW-R.svg|width=17]][[한와선]](R24)||<|2><:>[[스미요시구]]|| ||<:>__M27__||<:>[[아비코역(오사카)|아비코]][br]あびこ||<:>19.5||<:>|| ||<:>M28||<:>[[키타하나다역|키타하나다]][br]北花田||<:>21.4||<:>||<|3><:>[[사카이시(오사카)|사[br]카[br]이[br]시]]||<|3><:>[[키타구(오사카)|키타구]]|| ||<:>__M29__||<:>[[신카나오카역|신카나오카]][br]新金岡||<:>23.0||<:>|| ||<:>__M30__||<:>[[나카모즈역|나카모즈]][br]なかもず||<:>24.5||¶[[난카이 전기철도]] [[파일:NK-koya.svg|width=17]][[난카이 고야선|고야선]](NK59)[br]¶[[센보쿠 고속철도]] [[파일:Semboku-SB.png|width=17]][[센보쿠 고속철도선]](SB01)|| == 사건 사고 == 2020년 9월 9일 21시 15분경, 한 중학교 남학생이 [[나가이역(오사카)|나가이역]] 선로로 떨어진 뒤 [[니시타나베역|니시타나베역]] 방면으로 걸어가다가 센리츄오행 열차에 치이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열차 운전사는 학생을 목격한 즉시 비상브레이크를 체결했으나 제동 거리가 부족하여 사고가 불가피했다. 결국 이 학생은 오사카의 한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사망하였다. [[https://www.hokkoku.co.jp/articles/-/197965|地下鉄ではねられ死亡]] [[분류:오사카메트로 미도스지선]][[분류:나무위키 일본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