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긴키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오사카부 제1구}}}}}}'''[br]{{{-1 {{{#ffffff 大阪府第1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Osaka1.svg|width=100%]][br]}}}|| ||<-2><:>'''선거인 수'''||<-2><:>427,637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오사카부|[[파일:오사카부 부기.svg|height=15]] 오사카부]]|| ||<-2><:>'''하위 행정구역'''||<-2><:>[[오사카시]] [[주오구(오사카)|주오구]]/[[니시구(오사카)|니시구]]/[[미나토구(오사카)|미나토구]]/[[텐노지구]]/[[나니와구]]/[[히가시나리구]]|| ||<-2><:>'''국회의원'''||<:>[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이노우에 히데타카]]|| [목차] == 개요 == [[오사카부]] [[오사카시]]의 양대 도심 중 [[난바]] 생활권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 소속 [[이노우에 히데타카]].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이쿠노가 [[오사카부 제2구|2구]]로 이동하고, 히가시나리구가 1구에 속하게 되었다. == 상세 == 오사카의 양대 도심 중 하나인 [[난바]]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우메다]]를 관할하는 [[오사카부 제4구|4구]]와 함께 오사카시의 도심부를 관할하는 선거구다. [[도톤보리 강]], [[덴덴타운]], [[쓰텐카쿠]], [[오사카 성]], [[가이유칸]], [[교세라 돔 오사카]] 등 유명 관광지와 번화가들이 위치해 있으며, 오사카부 부청 또한 이곳에 위치한다.[* 오사카시 시청은 [[오사카부 제4구|4구]]에 속해있다.] 한 마디로, 일반 사람들이 ‘오사카’하면 떠올리는 명소들의 대부분이 이 선거구 내에 위치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중소, 영세 상공업자들이 많아 보수 성향이 강하다. 실제로 민주당 돌풍이 불었던 45회 총선을 제외하면 민주당 소속 당선자가 없는 것으로 보아 보수 우세 지역구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012년]] 46회 총선때부터 [[일본 유신회(2012년)|일본 유신회]]가 등장하면서, 대부분의 오사카부 선거구와 마찬가지로 민주당계 정당은 전혀 힘을 쓰지 못하고, 자민당과 유신회의 맞대결이 계속 이뤄지고 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오사카부 제1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4> 주마 고키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구마다 아쓰시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2> 이노우에 히데타카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include(틀:유신당)]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오니시 히로유키]]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이노우에 히데타카]]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오사카부 제1구|{{{#fff 오사카부 제1구}}}]]}}}'''[br]{{{#fff 오사카시 주오구, 니시구, 미나토구, 텐노지구, 나니와구, 이쿠노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주마 고키''' || '''73,443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41.88%'''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이케노보 마사후미 || 62,423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35.60%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오하타 츠토무 || 39,49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2.5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7,241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인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오사카부 제1구}}}}}}'''[br]{{{#fff 오사카시 주오구, 니시구, 미나토구, 텐노지구, 나니와구, 이쿠노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주마 고키''' || '''87,06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0.2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코니시 도시히로 || 41,43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3.8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하타 츠토무 || 38,54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2.23% || 낙선 || ||<|2><#808080> {{{+3 {{{#fff 無}}}}}} || 하시바 세이조 히데요시 || 6,347표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6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0,855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오사카부 제1구}}}}}}'''[br]{{{#fff 오사카시 주오구, 니시구, 미나토구, 텐노지구, 나니와구, 이쿠노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주마 고키''' || '''87,93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9.83%'''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구마다 아쓰시 || 64,320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6.4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세이케 히로시 || 24,22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3.7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0,855표 ||<|2> '''투표율'''[br]51.93% || || 선거인 수 || 351,841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오사카부 제1구}}}}}}'''[br]{{{#fff 오사카시 주오구, 니시구, 미나토구, 텐노지구, 나니와구, 이쿠노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주마 고키''' || '''116,95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4.49%'''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구마다 아쓰시 || 72,512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3.7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마루오카 히로시 || 25,15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7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0,855표 ||<|2> '''투표율'''[br]61.48% || || 선거인 수 || 360,134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오사카부 제1구|{{{#fff 오사카부 제1구}}}]]}}}'''[br]{{{#fff 오사카시 주오구, 니시구, 미나토구, 텐노지구, 나니와구, 이쿠노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구마다 아쓰시''' || '''117,313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0.78%'''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주마 고키 || 78,335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3.9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츠지 히데코 || 20,43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85% || 낙선 || ||<|2><#808080> {{{+3 {{{#fff 無}}}}}} || 사카이 유우키 || 11,374표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4.92%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40]]]] || 하야시 도미코 || 3,555표 || 5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5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5,851표 ||<|2> '''투표율'''[br]62.01% || || 선거인 수 || 380,575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오사카부 제1구|{{{#fff 오사카부 제1구}}}]]}}}'''[br]{{{#fff 오사카시 주오구, 니시구, 미나토구, 텐노지구, 나니와구, 이쿠노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이노우에 히데타카''' || '''80,230표''' || '''1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38.03%'''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오니시 히로유키]] || 55,039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6.09% || 낙선[*공 [include(틀:공명당)] 추천]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구마다 아쓰시 || 22,36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10.60% || 낙선 || ||<|2><#808080> {{{+3 {{{#fff 無}}}}}} || 주마 고키 || 20,167표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9.56%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요시카와 레이코 || 17,281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19%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요시바 미카 || 15,878표 || 6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7.53% || 낙선[*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2> '''계''' || 유효표 수 || 239,732표 ||<|2> '''투표율'''[br]55.30% || || 선거인 수 || 394,097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오사카부 제1구}}}}}}'''[br]{{{#fff 오사카시 주오구, 니시구, 미나토구, 텐노지구, 나니와구, 이쿠노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유신당|[[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50]]]] || '''이노우에 히데타카''' || '''75,016표''' || '''1위''' || || [include(틀:유신당)] || '''42.35%'''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오니시 히로유키]] || 71,648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0.45% || 비례당선[*공 [include(틀:공명당)] 추천]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시바야마 노보루 || 30,46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7.2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32,848표 ||<|2> '''투표율'''[br]45.83% || || 선거인 수 || 403,593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E50038> '''{{{+1 {{{#fff 오사카부 제1구}}}}}}'''[br]{{{#fff 오사카시 주오구, 니시구, 미나토구, 텐노지구, 나니와구, 히가시나리구}}}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E50038> '''{{{#fff [[오니시 히로유키|{{{#fff 오니시 히로유키}}}]][br](大西宏幸)}}}''' || '''[[자유민주당(일본)|{{{#E50038 자유민주당}}}]]''' || '''67,748[br](37.6%)''' || '''1위''' || '''당선''' || [[공명당]] 추천 || ||<#1DAC42> {{{#fff 이노우에 히데타카[br](井上英孝)}}} || [[일본 유신회(2016년)|{{{#1DAC42 일본 유신회}}}]] || 66,506[br](36.9%) || 2위 ||<#00ff00> ~~낙선~~[br]'''당선(석패율제)''' || || ||<#00468C> {{{#fff 무라카미 노리아츠[br](村上賀厚)}}} || [[입헌민주당(2017년)|{{{#00469C 입헌민주당}}}]] || 26,140[br](14.5%) || 3위 || 낙선 || || ||<#DB001C> {{{#fff 시바야마 노보루[br](柴山昇)}}}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 || 14,498[br](8.1%) || 4위 || 낙선 || || ||<#00ACDF> {{{#fff 고이즈미 슌헤이[br](小泉修平)}}} || 일본신당 || 5,291[br](2.9%) || 5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180,183 ||<|2><-3> 투표율 45.78% || || 유권자 수 || 403,292 || 지난 총선처럼 이번에도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과 [[일본 유신회(2016년)|유신회]] 후보 사이에 치열한 접전이 벌어졌다. 다만 저번 총선과 달리, 야당에서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의 간접적 후신인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도 후보를 냈기에 비유신 야당표가 조금 더 늘어났다. 그 이유로 자민당보다 유신회 표가 조금 더 깎였다. 덕분에 자민당 오니시 히로유키 후보가 접전끝에 0.7% 차이로 처음으로 지역구 승리를 거두었고, 재선 중의원 의원이 되었다. 유신회 이노우에 히데타카 후보도 처음으로 지역구를 내눴지만 석패율 제도를 통해 비례대표 의원으로 당선, 3선 의원이 되었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오사카부 제1구|{{{#fff 오사카부 제1구}}}]]}}}'''[br]{{{#fff 오사카시 주오구, 니시구, 미나토구, 텐노지구, 나니와구,[br]히가시나리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40]]]] || '''이노우에 히데타카''' || '''110,120표''' || '''1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49.40%''' || '''당선'''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오니시 히로유키]] || 67,145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30.12% || 낙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무라카미 노리아쓰 || 28,477표 || 3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12.77%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다케우치 요시노리 || 17,194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7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2,936표 ||<|2> '''투표율'''[br]53.27% || || 선거인 수 || 427,637인 || 현역 자민당 오니시 히로유키 의원과 유신회 이노우에 히데타카 의원이 재대결을 벌인다. 이번이 4번째 대결이며, 지금까지는 이노우에 의원이 2승 1패로 앞서있다. 지난 총선에 출마한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무라카미 노리아츠 후보도 다시 공천을 받았다. 공산당은 정당인인 다케우치 요시노리 후보를 새로 공천했다. [[레이와 신센구미]]는 모델 출신의 만학도인 야하타 아이 후보를 공천했다. 이후 레이와 신센구미는 야권 단일화 차원에서 공천을 철회했다. 투표 결과, 유신회 이노우에 히데타카 후보가 압승했다. 자민당 오니시 히로유키 후보는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로도 부활하지 못하고 낙선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오사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