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야구 선수/경력]]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오스틴 라일리)]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스틴라일리.jpg|width=100%]]}}}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의 내야수 [[오스틴 라일리]]의 선수 경력을 정리한 문서이다. == 선수 경력 ==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스틴라일리.jpg|width=100%]]}}} ||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전체 41번으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 입단하게 된다.[* 라일리의 순번은 브레이브스가 [[크레이그 킴브럴]]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트레이드하는 대가로 얻은 픽이다. 물론 파드리스가 브레이브스와 같은 선택을 했으리라 단언할 수는 없지만, 결과론적으론 이 시기 [[윌 마이어스]]를 얻기 위한 트레이드 과정에서 '''[[트레이 터너]]'''를 보낸 것과 함께, 파드리스 트레이드 잔혹사의 한 페이지로 남게 되었다.] ==== 2019 시즌 ==== 5월 15일 메이저에 콜업됐으며 시즌 80경기에서 18홈런을 때려내며 장타력을 선보였다. 시즌 최종 성적은 '''80G .226/.279/.471 18홈런 49타점 16볼넷 108삼진.''' 1대 7에 가까운 볼삼비와 풀시즌 환산 시 200삼진이 넘어가는 충격적인 타격 정확성을 찍었지만, 한편으로는 상당한 장타력의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 2020 시즌 ==== 애틀랜타가 [[조시 도널드슨]]을 잡지 못하며 3루 주전으로 거듭났고, 풀타임 주전을 치르게 됐지만 최종 성적 '''.239 8홈런 27타점 OPS .716 bWAR -0.5'''로 부진. 작년 대비 볼삼비는 상당히 개선됐다만 표본이 적기에 더 지켜봐야 알 수 있다. 포스트시즌에는 별다른 성적을 내지 못하다 [[2020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1차전 1:1 동점 상황 9회초에 선두타자로 나와 결승홈런을 터트리며 팀의 1차전 승리로 이끌었지만, 이후 7차전에서 [[댄스비 스완슨]]과 뇌주루 합작으로 흐름을 끊으며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 2021 시즌 ==== 2021년 스토브리그에서 애틀랜타가 3루 보강 대신 외야 보강을 노린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내년에도 풀타임을 치르며 [[요한 카마고]]와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첫 달인 4월 생각보다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타율 .328 3홈런 7타점에다가 출루율 .431로 전체 3루수 중 1위이다. 5월 21일 파이리츠와의 경기에서 4타수 3안타 2홈런[* 연타석 홈런. 심지어 두 홈런 모두 백투백 홈런이 되었다. 첫 타석에는 [[아지 알비스]]의 뒤를 이어 대형 홈런을 기록했고, 다음 타석에서 홈런을 친 뒤에는 스완슨이 홈런을 터뜨렸다.]을 기록하며 최고의 활약을 하였다. 그리고 이틀 뒤에도 멀티홈런을 기록하며 최고의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드디어 5월 3주차 POW(이주의 선수)에 선정되었다! 이 주 기록은 무려 타율 .462, 6홈런, 장타율 1.308, '''OPS 1.772'''.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2021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2차전에서 3:0으로 달아나는 솔로홈런을 작렬, 본인의 포스트시즌 2호 홈런을 기록하였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2021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1차전에서는 2:1에서 동점포를 쳤고, 9회말에는 끝내기 2루타를 쳤다. 2차전에서는 [[훌리오 유리아스]]를 상대로 4:3에서 동점타를 쳤다. 그 이후로 별다른 활약은 없었으나, 꾸준히 안타를 생산해내며 애틀랜타 타선에 큰 도움이 되었고, 팀은 [[2021년 월드 시리즈]]에 진출, 우승하였다. 시즌 성적은 '''160G (NL 최다) .303/.367/.531 33홈런 107타점 bWAR 6.1'''을 기록하였다. 데뷔 초 극악의 수치를 기록했던 볼삼비를 1대 3 정도까지 개선함은 물론이고 '''3할-30홈런-100타점'''의 브레이크아웃 시즌을 만들어내었다. 팀은 거의 모든 이들이 예상하지 못했던 [[2021년 월드 시리즈]] 우승까지 성공했으며, MVP 투표 7위 및 [[실버 슬러거]]까지 수상하며 매우 좋은 시즌을 보냈다. ==== 2022 시즌 ==== 개막 전 연봉 조정에 합의하지 못했고 5월 11일 팀에 패배해 395만 달러의 연봉을 받게 되었다. 4월 7일 [[신시내티 레즈]]와의 시즌 개막전에서 4타수 3안타 1홈런 2타점으로 기분좋게 시즌을 시작했다. 6월까지는 지난해보다 아쉬운 모습을 보였으나 7월부터 불붙은 타격감을 보여주면서 올스타 브레이크 전까지 .285/.348/.575 27홈런 OPS 0.922 wRC+ 152 bWAR 3.5의 호성적을 기록했고 [[놀란 아레나도]]가 올스타전 불참을 선언하자 대체선수로 선발되면서 생애 첫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7월 한 달간 26경기에서 11홈런 25타점 0.423/0.460/0.884 OPS 1.344의 맹활약을 펼치며 시즌 성적을 101경기 119안타 29홈런 68타점 61득점 0.301/0.360/0.604 OPS 0.964로 끌어올렸다. 그리고 7월 이달의 선수에 선정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일리연장계약.jpg|width=100%]]}}} || 7월 31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의 홈경기에서 끝내기 안타를 기록했고 다음날인 8월 1일, 애틀랜타와 10년 2억 1,200만 달러 규모의 연장 계약에 합의하였다. 이로써 애틀랜타는 떠난 [[프레디 프리먼]]을 대신해 새 프랜차이즈 스타 확보에 성공하였다. 계약에 대해서는 양측에 적정가라는 의견이 다수이다.[* 최근 들어 애틀랜타가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아지 알비스]], [[션 머피]] 등에게 엄청난 염가 계약을 맺은 것과는 대조된다.] 8월 9일 [[보스턴 레드삭스]]전에서는 6타수 3안타 1홈런 5타점이라는 최고의 활약을 하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살짝 주춤하다 8월 19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전에서 4타수 2안타 1홈런 3타점을 뽑아내며 간만에 제 몫을 했다. 9월 3일 [[마이애미 말린스]]전에서는 4경기 연속 홈런을 때려내면서 시즌 35홈런으로 내셔널리그 홈런 선두 [[카일 슈와버]](36홈런)에 1개 차이로 접근했다. 현재 2루타 36개 / 홈런 35개를 기록 중으로, 애틀랜타 선수로는 1999년 [[치퍼 존스]] 이후 처음으로 40홈런-40 2루타 달성을 노려볼 수 있다. 이후 다소 주춤하다가 9월 11일 [[시애틀 매리너스]]전에서 시즌 36호 홈런을 기록했다. 그러나 9월 약간의 부진하는 모습을 보이며 40홈런에 약간 못 미치는 38홈런을 기록했다. 특히 포스트시즌에는 완전히 감이 떨어진 모습. 시즌 최종 성적은 '''159경기 38홈런 93타점 .273/.349/.528 OPS .877 wRC+ 142 fWAR 5.5'''로 팀의 최고 타자가 되었음을 성적으로 증명하였다. ==== 2023 시즌 ==== ===== 정규시즌 ===== 1월 20일, MLB 네트워크에서 선정한 3루수 TOP 10 부문 3위에 올랐다.[[https://twitter.com/MLBNetwork/status/1616258443588804608?t=MBoOOL2Fz8MW0OEZoYVCeg&s=19|#]] 2월 22일 MLB 네트워크에서 선정한 포지션 전체 TOP 100 부문에서 20위에 올랐다.[[https://twitter.com/MLB/status/1628576751663153152?t=jaiMYk4_r4wL1HD-6rduog&s=19|#]] 4월 3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원정에서 비거리 473ft의 대형 타구로 시즌 첫 홈런을 기록했다. [[https://mlbpark.donga.com/mp/b.php?m=search&p=61&b=mlbtown&id=202304040079622004&select=sct&query=%EB%9D%BC%EC%9D%BC%EB%A6%AC&user=&site=donga.com&reply=&source=&pos=&sig=hgjcGf2AhhXRKfX2h3a9RY-ghhlq|#]] 6월 중순까지 부진에 허덕인 [[마이클 해리스 2세]]까지 점점 살아나고 있는데 6월 19일 기준, 라일리 혼자 부진의 늪에 빠져 있다. .260/.325/.423이라는 라일리에 어울리지 않는 스탯을 기록 중. [[션 머피]]가 오른쪽 햄스트링 부상으로 인해 올스타 브레이크 전후까지 못 나오는 상황에서 그의 공백을 메워주려면 [[트래비스 다노]]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라일리도 살아나야 할 것이다. 6월 30일 [[마이애미 말린스]]전에서 5타수 3안타 1홈런 3타점을 뽑아내며 맹타를 휘둘렀고, 시즌 타율은 .270이 되었다. 7월 1일 [[마이애미 말린스]]전에서 2안타를 뽑아내며 시즌 타율을 .273까지 끌어올렸다. 7월 9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전반기 마지막 경기에서는 4타수 3안타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일리올스타.jpg|width=100%]]}}} || 전반기 최종 성적은 89경기 .266 .327 .448 16홈런 44타점 wRC+ 105 fWAR 1.7로 아쉬운 성적을 거두었지만 어찌어찌 커리어 두 번째 올스타에도 선정되었다. 7월 18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전에서는 5타수 3안타 2홈런 7타점의 엄청난 활약으로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올스타 브레이크 이후, 7월 21일 기준으로 무려 5홈런을 때려내며 20홈런을 넘기고 ops 8할을 돌파,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7월 22일 [[밀워키 브루어스]] 원정에서도 홈런을 때려내며 5경기 연속 홈런을 기록했다. 시즌 비율스탯은 .273/.333/.494로 상승세를 타고 있다. 7월 30일 [[밀워키 브루어스]]전에서는 비거리 463ft의 시즌 24호 홈런을 가동했다. 8월 2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에서는 투런포를 때려내며 시즌 25호 홈런을 기록했고, 다음날 [[시카고 컵스]] 원정에서도 홈런포를 가동하며 2경기 연속 홈런을 기록했다. 8월 11일 [[뉴욕 메츠]] 원정에서 4타수 3안타 1홈런 2타점으로 맹타를 휘둘렀다. 이날 기준으로 시즌 성적은 114경기 .281/.339/.512 27홈런 72타점 wRC+ 124 fWAR 3.4이다. 시즌 최종 성적은 '''.281/.345/.516 37홈런 97타점 117득점 bWAR 5.9 fWAR 5.2''' 시즌 중반까지 그렇게 욕먹더니 8월 이후 활약하며 시즌 스탯을 예쁘게 맞춰놨다. ===== 포스트시즌 ===== [youtube(0FhUXZkpU9o, width=75%)]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디비전 시리즈 2차전에서 8회 역전 결승 투런[* 애틀랜타 타자가 포스트시즌에서 8회 이후 역전 홈런을 때려낸건 [[1998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98 NLCS]] 5차전 [[마이클 터커]], [[2010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2010 NLDS]] 3차전 [[에릭 힌스키]]에 이어 역대 3번째다.], 9회 경기를 끝내는 중계플레이 호수비로 승리의 1등 공신이 되었다. 디비전 시리즈 4차전에서도 팀은 패배했지만 기선을 제압하는 솔로 홈런을 치는 등 정규 시즌에 비해 이름값을 하지 못한 타선에서 유일하게 분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일리두번째실버슬러거.jpg|width=100%]]}}} || 11월 9일 내셔널 리그 3루수 [[실버 슬러거]] 수상자로 호명되며 커리어 두 번째 실버 슬러거를 수상하게 되었다. ==== 2024 시즌 ==== ===== 정규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일리3루수1위.jpg|width=100%]]}}} || 시즌 개막 전, MLB 네트워크 선정 TOP100 15위, 3루수 TOP10 1위에 선정됐다! 4월 11일 기준, 42타수 12안타 2홈런 10타점 wRC+ 130으로 지난 시즌 부진했던 초반과 다르게 좋은 스타트를 끊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