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일본제국 육군 대장[br]{{{+1 오시마 요시마사}}}[br]大島義昌 | Oshima Yoshimas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오시마요시마사.jpg|width=100%]]}}} || ||<|2> '''출생''' ||[[1850년]] [[9월 20일]] || ||[[조슈 번|조슈번]] (현 [[야마구치현]]) || || '''사망''' ||[[1926년]] [[4월 10일]] (향년 75세) || || '''친척''' ||손녀 혼도 시즈코[* [[아베 간]] 전 중의원 의원의 아내이자 [[아베 신타로]] 전 외무대신의 모친, [[아베 신조]] 전 내각총리대신의 할머니.][br]외증손자 [[아베 신타로]][br]현손 [[아베 히로노부]], '''[[아베 신조]]''', [[기시 노부오]] || || '''신분''' ||[[자작(작위)|자작]] || || '''서훈'''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 ||<-2> '''군사 경력''' || || '''임관''' ||오사카청년학사 || ||<|2> '''복무''' ||[[일본 제국 육군]] || ||1871년 8월 ~ 1920년 4월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 || '''참전''' ||[[세이난 전쟁]][br][[동학 농민 혁명|동학 농민 운동]][* 봉기 진압을 위해 파병.][br][[청일전쟁]][br][[러일전쟁]]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제국]]의 군인. 최종 계급은 [[일본 제국 육군|육군]] [[대장(계급)|대장]]. [[아베 신조]] 제90·96·97·98대 내각총리대신의 외고조부이다. 한국에서는 [[동학 농민 혁명|동학 농민 운동]] 당시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경복궁을 걸어잠그고]] 조선의 왕이었던 [[고종]]을 겁박하여 [[청일전쟁]]을 발발하게 만든 장본인으로 유명하다. == 생애 == 1850년 9월 20일, [[조슈 번|조슈번]](현 [[야마구치현]])에서 이후에 [[보신 전쟁]]에 참전한 아버지 밑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1870년, 오사카청년학사에 입학하여 1871년에 육군 소위에 임관되었다. 1877년 육군 소령 시절에 [[세이난 전쟁]]에 참전해 대대를 이끌었으며, 전후 감군부 참모와 센다이진대 보병제5연대의 참모장직을 역임한 후 1886년에 대령으로 직급했다. 다음 해에 도쿄진대 참모장에 취임하고, 이후 도쿄진대가 제1사단으로 개편되면서 제1사단 참모장에 취임했다. 1891년에는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9여단장에 취임했으며, 1894년에 [[동학 농민 혁명|동학 농민 운동]]에 파병되었고, 이 과정에서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경복궁을 걸어잠그고]] 당시 조선의 왕이었던 [[고종]]을 겁박하여 이로 인해 [[청일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 이 때에는 제1군 예하로 옮며 참전하였다. 이 때의 공으로 남작직을 수여받았으며, 쓰시마경비대 사령관을 역임한 뒤 1898년에 중장으로 진급되어 제3사단장에 취임했다. 이 때 [[러일전쟁]]이 발발하여 전쟁에 참전하였고, 전후 육군 대장으로 진급되어 [[만주|관동]] 지역의 총독에 취임했다. 1907년에 자작을 수여, 1911년에는 군사참의관을 겸임했다. 다음 해에는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을 수여, 1915년에 예비역에 편입된 뒤 1920년에 퇴역하였다. == 여담 == * 이 인물의 현손인 [[아베 신조]] 전 내각총리대신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이라고하며, 그의 정치적 유산인 [[메이지 유신]]을 재현해내겠다고 발언하였다. [[분류:일본 제국의 군인]][[분류:일본의 자작]][[분류:정2위]][[분류:1850년 출생]][[분류:1926년 사망]][[분류:야마구치현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