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pawa-오오니시.jpg]] [[http://www.pixiv.net/tags.php?tag=%E5%A4%A7%E8%A5%BF%3D%E3%83%8F%E3%83%AA%E3%82%BD%E3%83%B3%3D%E7%AD%8B%E9%87%91|大西(おおにし)]] [목차] == 소개 ==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파워풀 프로야구/오리지널 캐릭터|석세스 등장인물]]. 본명은 '''오오니시 해리슨 스지가네(大西=ハリソン=筋金).''' 별명은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은 투수. 안드로메다 학원의 에이스. 151km 직구를 자랑하며 슈트 변화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화구 레벨이 4[* 에디트로 총 변화량을 최대 42까지 줄 수 있기에 별 거 아닌 걸로 보일 수도 있지만, 실황 메이저를 제외한 시리즈에서 제작진이 현역 선수에게 부여하는 최대 변화구량은 11~12 정도다. 설정 상 파워프로 최고 투수인 [[이카리 마모루]]와 [[신도 유지로]]도 11, 12로 오오니시의 16은 현역, 석세스 등장 선수 중 압도적인 최고다. 오오니시보다 변화량이 더 많은 선수는 15에서 나온 하오우 고우돈(변화량 17)외엔 없고 동일한 선수로 범위를 넓혀도 99의 아프로 이카리와 15의 파워업 된 카구라자카 미츠히코(파워업 전에는 변화량 13)가 전부다.]에 스테미너도 A인 최고의 좌완투수지만, 제구력이 떨어진다는 것이 약점이다. 보통 F의 제구력을 가지고 있지만, 2011에서는 동료로 등장하는 바람에 제구력이 G로 하락해버렸다. == 작중 행적 == 첫 등장은 리메이크 작까지 기준으로 한다면 5편이지만, 실제로는 9편 고교야구편에서 첫 등장. 초기 고교야구 편 석세스인 5편에서는 오오니시는 등장하지는 않고 똑같은 능력치를 가진 이름이 정해지지 않은 투수[* 이건 [[야마구치 켄(실황 파워풀 프로야구)|야마구치 켄]]도 마찬가지. 이름이 계속 바뀌어서 등장한다.]가 등장한다. 아마 이 투수를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로 추정. 석세스 고교야구편 전통으로 3년차 마지막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갑자원]] 결승전은 제왕실업 고교가 아닌 그들을 이기고 올라온 안드로메다 학원과 맞붙게 된다[* 포터블 3의 카이도 학원 고교편은 제외. 이 쪽은 최종보스인 신제학원고교(神帝学園高校)가 결승전 상대이다.]. 안드로메다 학원 선수들이 [[다이죠부 박사]]에게 신체강화수술을 받은 걸 생각하면 오오니시도 수술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캐릭터와 관련된 이야기들이 나오지 않아 마지막 갑자원에서 맞붙는 그냥 강력한 적일뿐이였지만 2011에서는 세계관이 리셋되고 육성하는 곳에 안드로메다 학원이 추가되었다. 예상대로 제왕 고교의 에이스인 [[야마구치 켄(실황 파워풀 프로야구)|야마구치 켄]]과 많이 얽히면서 켄의 팔을 걱정해주는 등 라이벌로써의 모습을 보여준다. 사쿠사쿠세스에서는 [[주니치 드래곤즈]]의 선수로 나온다. 2022 파워풀 고교 영원의 라이벌 편 준결승 or 결승전 최종보스로 등장[* 최종보스로 가는 루트는 아오바 하루토에게 투타 대결에서 패배를 할 경우 최종보스, 반대로 이기면 준결승 루트로 등장한다.] 2세대 스토리인 비극의 에이스 편에서는 후배격인 [[카미타카 류]]가 등장하면서 자연스레 대회 명단에는 출전을 하지 않는다. == 여담 == [[파일:pawa-오오니시2.jpg]] 2011 오프닝 영상에서 작중 최초로 맨 얼굴이 나오고, 안드로메다 편을 플레이하면 초반부에서 그의 신체 강화 전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허약하고 성격도 어두운 야구 부원의 모습이었다. 능력치는 더 답이 안 나오는 수준으로, 어깨를 뺀 투타 모두 능력치가 G고 구속 128km에 슬라이더, 커브, 포크, 스크류[* 좌완이기 때문에 싱커 대신 스크류]의 변화량 모두 1(....) 게다가 대좌타자2, 대주자2, 난타에 강함2, 부상2, 회복2, 찬스2 등 안 좋은 특수능력만 잔뜩 들어있었다. 물론 각성 뒤엔 모든 능력치 상승. [[분류: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시리즈/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