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오음악보.jpg]] [목차] == 개요 == 五音略譜. [[조선]]의 7대 왕 [[세조(조선)|세조]]가 직접 창안한 [[국악/기보법|국악 기보법]]. == 내용 == 세조가 직접 만든 음고기보법으로 [[세조실록악보]](世祖實錄樂譜),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대악후보]](大樂後譜) 등에 실렸으며, 조선 후기인 19세기까지 사용되었다. [[정간보]]에도 적용되어 사용되었던 기보법으로 율명을 직접 쓰지 않고 어떤 [[선법]]의 기음(으뜸음)을 宮으로 표시하고 이 음의 위 음은 上一 上二…, 아래 음은 下一, 下二…, 등으로 표기하는 방법이다. 이 때문에 상하일이지보라고 불리기도 했다. 악보에 宮의 높이와 선법(평조/계면조)을 명기하면 음의 높이를 쉽게 알 수 있으나… 사실상 그냥 율명을 쓰는 게 직관적으로 곡을 파악하기 용이하기도 하고, 5음음계가 아닌 음악들은 기보가 무척 곤란하다. 말하자면 黃이 중심음인 평조 선법 음계라면 下五는 僙(솔) 下四는 㑀(라) 下三은 㑖(도) 下二는 㑣(레) 下一은 㑲(미) 宮 은 黃(솔) 上一은 太(라) 上二는 仲(도) 上三은 林(레) 上四는 南(미) 上五는 潢(솔) 黃이 중심음인 계면조 선법 음계라면 下五는 僙(라) 下四는 俠(도) 下三은 㑖(레) 下二는 㑣(미) 下一은 㒇(솔) 宮 은 黃(라) 上一은 夾(도) 上二는 仲(레) 上三은 林(미) 上四는 無(솔) 上五는 潢(라) 오음약보는 5음음계로 구성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향악(鄕樂)을 기보하기에는 매우 편리하고 적합했지만, 6음음계나 7음음계로 이루어진 [[중국]] [[당나라]]의 당악(唐樂)이나 [[송나라]]의 아악(雅樂)을 기보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일종의 향악 특화형인 셈. 때문에 당악이나 아악을 기보할 때는 공척보의 범(凡)과 일(一) 두 글자를 차용하거나 그냥 [[정간보]]를 사용했고,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당악과 아악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오음약보는 잘 사용되지 않았다. 다만 향악의 기보에 대해서는 분명 세종 때의 정간보에 비하여 진일보한 악보임에는 틀림없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8360&cid=46661&categoryId=46661|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오음약보]]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8454&cid=40942&categoryId=32994|두산백과 : 오음약보]] * [[http://gugak1951.blog.me/220401043445|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기보법의 보물창고 세조실록 악보 머리말]] * [[http://gugak1951.blog.me/220841197077|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세종이 만든 정간보, 세조가 다듬은 정간보]] [[분류:국악]][[분류:악보]][[분류:조선의 도서]][[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