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3><#ffffff,#191919> {{{+2 '''오정역'''}}}[br] || ||<-3><#ffffff,#191919> [[대장홍대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97979; font-size: .9em;" {{{#ffffff '''대장홍대선'''}}}}}}]] || || --[[대장역|{{{#!html
대장 방면}}}]][[대장역|대 장]]--[br]← -.- ㎞ || [[대장홍대선|{{{#!html
대장홍대선}}}{{{#white (미개통)}}}]] || --[[홍대입구역|{{{#!html
홍대입구 방면}}}]][[원종역|원 종]]--[br] -.- ㎞ → || ||<-3> {{{#!wiki style="margin: -9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include(틀:지도, 장소=오정동,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ffffff> [[로마자]] ||<-2><#ffffff> Ojeong || ||<#ffffff> [[한자]] ||<-2><#ffffff> 梧亭 || ||<#ffffff> [[간체자]] ||<-2><#ffffff> 梧亭 || ||<#ffffff> [[가나(문자)|가나]] ||<-2><#ffffff> [ruby(梧亭, ruby=オジョン)] || ||<-3> '''주소''' || ||<-3><#ffffff> [[경기도]] [[부천시]] [[부천시/행정|오정동]] 소재 || ||<-3> '''관리역 등급''' || ||<-3><#ffffff> 미정 || ||<-3> '''개업일''' || || --[[대장홍대선|{{{#ffffff 대장홍대선}}}]]-- ||<-2> 미정[* 아직 역 자체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역이 확정된다면 개통시기는 다른 [[대장홍대선]] 역들과 같이 2031년이 될 가능성이 높다.] || ||<-3> '''열차거리표''' || ||<-1> [[대장역|{{{#!html
대장 방면}}}]]--[[대장역|대 장]]--[br] ← -.- ㎞ ||<-1> '''[[대장홍대선]]'''[br]오 정[br]{{{#red (미개통)}}} || [[홍대입구역|{{{#!html
홍대입구 방면}}}]]--[[원종역|원 종]]--[br]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장홍대선]]의 역이 될 수도 있는 역.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부천시 정 지역위원장이 제안했고, 추진하려고 노력중인 역이다. [[https://www.1g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371|일간경기]] [[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61868|인천일보]] == 추진 배경 == 위의 기사들을 읽으면 알 수 있듯이 [[부천시/행정#s-5.1.2|대장동]], [[부천시/행정#s-5.1.3|원종동]], [[부천시/행정#s-5.2.1|고강동]]에는 이미 역이 있거나 새로 신설될 예정이지만 정작 오정동에는 짓겠다고 확정된 역이 없고, 신도시와 구도심 양분화로 인한 주민 갈등도 어느정도 있기에 이를 타개하고자 내세운 것이 오정역이다. == 실현 가능성? == 실현 가능성이 애매한 축에 속한다. 오정동행정복지센터 부근과 [[덕산고등학교(부천)|덕산고]] 뒷편에는 어느정도 버스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하지만 [[부천 버스 70-3|70-3번]]과 [[서울 버스 673|673번]], [[부천 버스 98|98번]] 이외에는 서울 시내로 접근하기 힘들뿐더러 애초에 서울 외곽만 찍고 오는 경우가 많다.[* [[부천 버스 59|59번]], [[부천 버스 60-1|60-1번]]은 서울 [[화곡역]]만 찍고 차고지로 들어가고, [[시흥 버스 12|12번]]과 [[부천 버스 71|71번]]은 김포공항에서 회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있다.] 심지어 [[부천 버스 98|98번]]은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의 [[오목교역]]까지 밖에 가지 않고, [[부천 버스 70-3|70-3번]]은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회차한다. 그나마 [[서울 버스 673|673번]]이 한강을 넘어 강북까지 가긴 하지만 배차 간격이 15분 정도로 긴 편에다가 출퇴근 시간대와 그 이외 시간대에도 혼잡도가 심해 이를 분산할 필요는 있다. === 역 위치 관련 === 역 위치 후보로는 세 곳 정도가 유력하다. 첫 번째는 오정동행정복지센터 앞에 역을 놓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봉오대로 사거리에 역을 놓는 것이며, 마지막은 봉오대로 사거리 근처인 덕산중입구 사거리에 역을 놓는 것이다. 첫 번째 안의 장점으로는 오정동행정복지센터가 역 바로 앞에 있어서 편리하다는 점이 있다. 하지만 단점은 그거 외에는 모두 좋지 않다는 것. 이쪽 사거리 근처에는 대명초등학교, 운전면허 학원, 돈까스클럽 밖에 없다. 게다가 [[원종역]]과도 거리가 가까운 편이다. 두 번째 안은 봉오대로 사거리의 역 위치가 애매해진다. 또한 버스 환승도 약간 애매해지는 점이 있다. 하지만 주변에 [[덕산고등학교(부천)|덕산고등학교]], 오정휴먼시아, BRT버스 정류장[* [[인천 버스 7700]]]이 있다. 세 번째 안은 주변에 오정동우체국, 경인OBS방송국, 오정휴먼시아, 패스트푸드점 등등 꽤 많은 상가시설과 주택시설이 있다. 교통도 주변에 오정동경인OBS방송국 정류장이 있기 때문에 괜찮은 편이다. == 여담 == * 오정역이 신설된다면 위에서 말한 [[서울 버스 673|673번]]과 오정역에서부터 [[성산역(서울)|성산역]]까지 루트가 겹치게 된다.[* 차이점은 [[대장홍대선]]은 [[부천시/행정#s-5.1.3|원종동]], [[고강동]]을 경유해서 [[양천구]] [[신월동]]([[신월역(서울)|신월역]])으로 들어가지만 673번은 [[부천시/행정#s-5.1.1|오정동]]에서 봉오대로를 거쳐 바로 신월동(양원초교.광영여고)으로 들어간다는 점이다. 이 점을 제외하면 [[화곡역]], [[가양역]]을 경유해 가양대교를 건너 상암 DMC를 거쳐 [[성산역(서울)|성산역]] 부근까지 가는게 일치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장홍대선의 역 목록)] [[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착공 예정 철도역]][[분류:대장홍대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2031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