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五洲衍文長箋散稿. [[조선]] 후기의 학자인 오주(五洲)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3769|이규경]](李圭景 1788-?)[* [[정조(조선)|정조]]대의 실학자인 [[이덕무]]의 손자.]이 1800년대 초 [[헌종(조선)|헌종]] 시기에 저술한 우리나라 전통 [[백과사전]]인 [[유서#s-2|유서(類書)]]이다. 총 60권 60책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책 제목은 ''' '오주 / 연문 / 장전 / 산고''''로 끊어 읽는데, '오주 이규경이 문장을 부연하여 쪽지(부전지)를 붙인 이런저런 글'이다. [[https://m.khan.co.kr/amp/view.html%3fart_id=201510152056475&sec_id=990100|기사(경향신문)]] [[왕오천축국전]]과 더불어 현대인이 읽기 힘든 책 제목으로 손꼽힌다. 그러나 이규경 사후 후손들이 보관을 못했는지 이리저리 흩어졌다가 원본이 사라졌다. 사연은 다음과 같다. 1920년대 중반 어느 겨울밤. 국문연구소 위원으로 국어운동에 기여했던 권보상[* 당시 최초로 책을 구입한 사람은 [[최남선]]이 아니었다. 관련정보 [[https://anthropo.tistory.com/380|#]] ,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321907.html|#]]]은 군밤을 사먹는데 군밤장수가 싸주는 종이가 이상해서 보니 고서였다고. 이를 뭉치째로 사 광문회로 가져가서 검토를 한 결과 책은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로 판명났다. 광문회가 해산되면서 <장전산고>는 최남선의 장서가 되었다. [[한국 전쟁]] 때에도 보따리에 싸들고 피난왔다. 하지만 최남선이 소장한 원본은 영인하지 못한 채 6.25 전쟁으로 불타버리고 대신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었던 필사본만 남았는데, 1~4권이 낙질되었기에 나머지 56권만 현존한다. == 내용 == >世之爲論者以爲。名物度數之學。漢代以後。絶已久矣。然而不佞所見。殆不然也。蒼籙旣迄。此學亦隨而亡矣。而才智迭出於歷代。其高下雖不齊。而亦得古先已明之遺躅。意匠所到。自能造其閫域。故所謂名物度數者。未嘗間斷。而其精蘊之奧旨。則無人發明。 류同堙沒不傳矣。逮于皇明之末造。中土人士駸駸然入于其中。打成習尙。以不知此道爲恥。如徐玄扈、王葵心之流。崛起絶學之後。多所啓發。創始象數之學。名物度數。煥然復明於世。從玆以後。耑門名家稍稍出焉。大抵名物度數之術。縱不及性命義理之學。亦不可偏發不講。視若異端也。此學流入東方。有志之士。盡心擬摸。力追深奧。局於耳目。但領其皮殼。未會其精蘊。平居雖能言之。臨用眴晦。竝未曉其本原之何在。叩之則囁嚅爾爾。反不如初無所知者。象數之學。雖非聖學之奧深。不可易言者也。不佞墨守章句。於此等有用之學。蔑如也莫識其端倪。而其心則竊好之。積累歲月。或有獲於書中。或起思於心上。總計之則凡若干條。名之曰《衍文長箋》。從《長箋》撮其可作消閒者數則。名之以《散稿》。然其言已耄矣。奚足數哉。寓翁題。 >---- >서문 조선 후기의 유학자 이규경이 1800년대 초 당시 국내와 국외의 여러 [[제도]], [[정치]], [[역사]], [[경전|경학]], [[천문]], [[지리]], [[종교]], [[서학]](西學), [[철학]],[[수학]], [[자연]], [[기술]], [[예제]](禮制), [[이적|재이]](災異), [[문학]], [[음악]], [[음운]], [[군사]], [[병법]], [[광물]], [[식물|초목]], [[생물|어충]], [[의학]], [[농업]], [[광업]] 등 수많은 사항들을 모아 정리한 백과사전이다. 60권 60책의 방대한 분량들을 변증설이라는 형식을 취하여 고증학적인 방법으로 해설하고 있다. 권19에는 [[서양]]의 음악이론들이 처음으로 소개되었고, 지구변증설(地球辨證說), 용기변증설(用氣辨證說), 척사교변증설(斥邪敎辨證說) 등 수많은 최신 서양 과학기술들도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동국전사중간변증설(東國全史重刊辨證說), 이십삼대사급동국정사변증설(二十三代史及東國正史辨證說), [[울릉도]]사실변증설(鬱陵島事實辨證說) 등 한국의 역사에 대한 자세한 고증이나, 악률후기변증설(樂律候氣辨證說), 악해변증설(樂解辨證說), 악부변증설(樂府辨證說), 아악재성부재악기변증설(雅樂在聲不在樂器辨證說), 속악변증설(俗樂辨證說), 방씨논악변증설(方氏論樂辨證說), 성음위악변증설(聲音爲樂辨證說), 율준변증설(律準辨證說), 소변증설(嘯辨證說) 등 우리나라의 고전 음악에 대한 논문들도 다수 존재한다. 이런 식으로 변증설을 통해 각 항목에 대해 과학적으로 규명한 논문 내용이 총 1417 항목에 이른다. [[지봉유설]](芝峰 류說), [[성호사설]](星湖僿說),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에 이어 우리나라의 백과사전사를 대표하는 저서이다. 또한 이 책에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 전투에서 [[비거]]가 등장하였다는 기록이 나온다. == 목차 == * 천지(天地) 편 * 천문(天文) 류 * 天文總說 * 日月星辰 * 風雲雷雨雹虹 * 災異 * 曆象 * 節候 * 干支 * 天文雜說 * 지리(地理) 류 * 地理總說 * 山 * 泉井 * 河 * 島 * 浦 * 潮汐 * 水土 * 火 * 石 * 金銀銅鐵珠玉 * 琉璃 * 邦國 * 人種 * 州郡 * 洞府 * 城郭 * 地理雜說 * 천지잡(天地雜) 류 * 天地雜說 * 鬼神說 * 인사(人事) 편 * 인사(人事) 류 * 身形 * 性行 * 氏姓 * 稱號 * 諡號 * 壽夭 * 乖常 * 疾病 * 子孫 * 攝生 * 논학(論學) 류 * 心性理氣 * 爲學 * 格言 * 經世之學 * 博物 * 儒行 * 논례(論禮) 류 * 論禮總說 * 喪禮 * 追尊 * 神主 * 墓冢祠碑 * 祭禮 * 嫁娶 * 壽禮 * 拜禮 * 論禮雜說 * 치도(治道) 류 * 治道總說 * 賄遺 * 掊克 * 朋黨 * 官職 * 科擧 * 儀仗 * 印符 * 牌牘文簿 * 年號 * 帝號 * 學校 * 祀典 * 田制 * 勸農 * 水利 * 賦役 * 糶糴賑恤 * 奴婢 * 戶籍 * 貨幣 * 理財 * 漕運 * 場市 * 榷煙 * 法律 * 刑獄 * 복식(服食) 류 * 服食總說 * 衣服 * 布帛 * 裘毛 * 首飾 * 染料 * 帷帽 * 皮韈 * 冠巾 * 杖屨 * 眼鏡 * 扇 * 茶煙 * 香油 * 飮食 * 麪粉 * 油醬 * 鹽 * 諸膳 * 酒麵 * 궁실(宮室) 류 * 宮室 * 甓瓦 * 기용(器用) 류 * 舟車 * 樂器 * 兵器 * 電話機 * 生火機 * 度量衡 * 織具 * 羅針 * 文具 * 農具 * 漁具 * 什物 * 燈燭 * 柴炭 * 鏡 * 鐘漏 * 陶瓷器 * 雜器 * 기예(技藝) 류 * 算數 * 醫藥 * 書畫 * 陰陽 * 卜筮 * 堪輿 * 射藝 * 雜技 * 경사(經史) 편 * 경전(經傳) 류 * 經典總說 * 易經 * 書經 * 詩經 * 禮經 * 春秋經 * 論語經 * 爾雅 * 中庸 * 大學 * 樂 * 小學 * 訓詁 * 字書 * 韻書 * 經傳雜說 * 도장(道藏) 류 * 道藏總說 * 道藏雜說 * 석전(釋典) 류 * 釋典總說 * 釋典雜說 * 道釋雜說 * 西學 * 사적(史籍) 류 * 史籍總說 * 史籍雜說 * 경사잡(經史雜) 류 * 經史雜說 * 其他典籍 * 典籍雜說 * 논사(論史) 류 * 論史總說 * 論史 * 人物 * 風俗 * 만물(萬物) 편 * 초목(草木) 류 * 花草 * 穀種 * 菜種 * 樹木 * 果種 * 조수(鳥獸) 류 * 鳥 * 獸 * 鳥獸雜說 * 충어(蟲魚) 류 * 蟲 * 魚 * 만물잡(萬物雜) 류 * 草木鳥獸蟲魚雜說 * 萬物雜說 * 시문(詩文) 편 * 논시(論詩) 류 * 論詩 * 논문(論文) 류 * 論文 * 小說 * 文字 == 외부 링크 == *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grpId=&itemId=BT&gubun=book&depth=2&cate1=Z&cate2=&dataGubun=%EC%84%9C%EC%A7%80&dataId=ITKC_BT_1301A|한국 고전 종합 DB 오주연문장전산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8435&cid=46622&categoryId=46622|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오주연문장전산고]] *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C%A3%BC%EC%97%B0%EB%AC%B8%EC%9E%A5%EC%A0%84%EC%82%B0%EA%B3%A0|한국어 위키백과 : 오주연문장전산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8542&cid=40942&categoryId=33383|두산백과 : 오주연문장전산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1601&cid=58721&categoryId=58725|한국민속예술사전 민속놀이 : 오주연문장전산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87&cid=51070&categoryId=51070|한국 자전의 역사 : 오주 연문 장전 산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15214&cid=42407&categoryId=42407|모발학 사전 : 오주연문장전산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55063&cid=42607&categoryId=42607|한겨레음악대사전 : 오주연문장전산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5335&cid=42752&categoryId=42754|차생활문화대전 : 오주연문장전산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338&cid=42957&categoryId=42957|한국고중세사사전 : 오주연문장전산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93043&cid=49391&categoryId=49391|국가문화상징 무궁화 : 오주연문장전산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94466&cid=49217&categoryId=49217|한강 생활문화 : 오주연문장전산고]] == 같이보기 == * [[백과사전]] * [[백과전서파]] * [[비거]] * [[유서#s-2|유서(類書)]] [[분류:조선의 도서]][[분류:백과사전]][[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