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간략(외야수))] ||
'''{{{#ffcc00 오카지마 타케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br]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V1.svg|width=70]][br]'''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13년 일본시리즈|{{{#ffcc00 2013}}}]]''' || ---- ||<-5> '''{{{#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번호 27번}}}''' || || 카와타 히사시[br](2006-2011) || {{{+1 →}}} || '''{{{#ffcc00 오카지마 타케로}}}[br]{{{#ffcc00 (2012-2016, 2019~)}}}''' || {{{+1 →}}} || 현역 || ||<-5> '''{{{#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번호 4번}}}''' || || 고토 미츠타카[br](2014-2016) || {{{+1 →}}} || '''{{{#ffcc00 오카지마 타케로}}}[br]{{{#ffcc00 (2017-2018)}}}''' || {{{+1 →}}} || [[오코에 루이]][br](2020~)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카지마 타케로.jpg|width=100%]]}}} || ||<-2>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No.27''' || ||<-2> {{{#ffcc00 '''{{{+2 오카지마 타케로}}}[br] 岡島豪郎 / Takero Okajima'''}}} || ||<|2> '''출생''' ||<(> [[1989년]] [[9월 7일]] ([age(1989-09-07)]세) || ||[[군마현]] [[오라군]] [[치요다마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학력''' ||칸토가쿠엔대학부속고등학교(関東学園大学附属高等学校)[br]하쿠오대학(白鷗大学) || || '''신체''' ||176cm, 82kg || || '''투타''' ||[[우투좌타]] || || '''포지션''' ||[[포수]], '''[[외야수]]''' || || '''프로입단''' ||2011년 드래프트 4순위([[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楽天]]) || || '''소속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2~)''' || || '''연봉''' ||2022 / ¥50,000,000 || || '''응원가''' ||[[https://www.youtube.com/watch?v=uQr7NEfAdBw| ]][*가사 '''チャンスを掴め目指せ勝利 岡島豪郎 (タケロ!)[br]챤스오 츠카메 메자세 쇼리 오카지마 타케로[br]찬스를 붙잡아 승리를 노려라 오카지마 타케로 (타케로!)[br][br]俊足巧打 守り抜け 魂込めて オオオ・・・オイ![br]슌소쿠코-다 마모리누케 타마시코메테 오오오... 오이![br]준족교타 지켜나가라 혼을 담아서 오오오....어이!''']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소속의 외야수. == 선수 경력 == === 프로 입단 전 === 칸토가구엔대학 부속고 소속으로 주전 포수를 맡아 2학년 여름에는 군마현 8강, 3학년 여름에는 3라운드에서 광탈하며 고시엔에는 한번도 출전하지 못했다. 하쿠오대학에서는 1학년부터 경기에 출장했고, 2학년에는 외야수 베스트나인에 선정, 3학년에는 주전 포수로 봄에는 타점왕, 가을에는 수위타자 타이틀 홀더가 되었고, 4학년에는 주장을 맡아 활약했다. 대학 리그 통산 108안타와 8홈런으로 큰 족적을 남기며 2011년 일본프로야구 드래프트에 참가하였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부터 4순위로 지명받아 계약금 4000만엔과 연봉 800만엔에 사인하며 입단하였다. 사실, 라쿠텐의 지명 후보 목록에는 없었는데 한신 출신의 후지쿠라 카즈마사 하쿠오대학 감독의 귀띔으로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지명을 했다고 한다.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2012년 ==== 2011년에 지명받은 신인 중에서 유일하게 스프링캠프에 초청되었지만, 2군에서 개막전을 치렀고, 정작 1군 개막 로스터에 합류한 신인은 '''6순위''' 지명받은 [[시마우치 히로아키]]밖에 없었다. 하지만, [[시마 모토히로]]의 부상으로 6월 20일 요코하마전에 포수로서 데뷔전을 치렀다. 7월 4일 롯데 원정에서는 무려 에이스 [[나루세 요시히사]]를 상대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고, 8월 26일 닛폰햄전에서는 데뷔 첫 끝내기 안타를 내야안타로 만들어냈다. 9월 8일 세이부전에서도 대타로, 이번에는 무려 [[와쿠이 히데아키]]를 상대로 끝내기 안타를 기록했다. 일본프로야구 신인선수의 시즌 2개의 끝내기 안타 기록은 2002년 [[치바 롯데 마린즈]]의 키타 타카시(喜多隆志) 이후 10년만의 기록, 대타로서는 1992년 마치다 코지로(町田公二郎) 이후 20년만의 기록이었다. 9월 5일, 닛폰햄 [[도쿄 돔]] 지방 구장 경기에서는 입단 동기 [[시마우치 히로아키]]와 백투백 홈런을 기록했으며, 1989년 [[주니치 드래곤즈]]에서 기록된 이후 23년 만이었다. 첫 해부터 2군 올스타에 4번타자로 참전하였고, 1군에서는 [[시마 모토히로]]의 백업 포수로 출전하며 1군 최종 43경기 .258로 포수치고는 나쁘지 않은 타격을 선보이며 기대감을 받았다. ==== 2013년 ==== 개막 전에 오른쪽 팔꿈치의 부상으로 늦은 5월에 1군에 합류하였다. 시즌 초에는 포수도 봤다가 우익수와 좌익수로 출장하는 등 고정 포지션은 없었고, 본인도 그 [[호시노 센이치]] 감독에게 "어디라도 좋으니 써주십시오"라고 직소하는 배짱을 보이며 1번 우익수 자리를 차지하여 기회를 받았다. 규정타석은 채우지 못하고 장타율은 다소 내려갔지만, 타율 .323에 출루율 .405 OPS .790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013년 일본시리즈]]에서도 시리즈 타율은 .259였지만, 5차전에서 [[우츠미 테츠야]]로부터 선제 적시타를 치는가하면, 7차전에선 [[스기우치 토시야]]에게 적시타를 기록하며 라쿠텐의 창단 첫 우승에 기여하였다. 오프 때도, 대만과의 평가전에 일본 대표로 승선하였다. ==== 2014년 ==== 그의 타격 능력을 활용하기 위해 아예 등록 포지션을 포수에서 외야수로 변경하였다. 다만, 등록 포수가 모두 소진되었을 경우에는 포수 마스크를 쓰기도 하는 등 전천후로 활약하고, 안타도 팀내 최다이자 파리그 5위인 154안타를 기록했음에도 전년도에 일본시리즈에서 우승했던 팀은 한 해만에 리그 꼴찌로 추락하는 사태를 맞이했다. ==== 2015년 ==== 새로 입단한 용병 [[젤러스 휠러]]와의 외야 경쟁에서 살아남아 개막 로스터에 합류하였다. 하지만, 첫 26경기에서 고작 .165의 타율을 기록하는 부진으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고 시즌 말미인 9월 20일에 1군으로 복귀했지만, 1군 경기 최종 41경기 타율 .168, 23안타 1홈런 13타점의 처참한 기록만을 남기며 쉬어가는 해가 되었다. ==== 2016년 ==== 작년과 다르게 시즌 초반에 .317의 타율로 컨디션이 좋았지만, 4월 14일에 허리 통증으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교류전 기간에 복귀한 이후에는 시마우치 대신 1번 우익수로 출장한 [[오코에 루이]]가 계속 1번으로 출장하자, 중심 타순인 5번타자로 출장하며 5월 하순에 .346의 타율을 기록 중이다. 하지만, 6월 이후 극도의 부진에 빠지면서 선발 출장이 뜸해지다가 9월부터 다시 기회를 잡아, 9월 10일과 11일 닛폰햄전에서 첫 이틀 연속 홈런 경기를 펼쳤다. 시즌 종료 후, 등번호를 4번으로 변경했고, 前 탤런트 오카무라 마유(岡村真由)와 결혼식을 올렸다. ==== 2017년 ==== 지난 해의 부진으로 1군 개막전에서는 [[카를로스 페게로]]에게 우익수 자리를 내줬지만, 좌익수로 출전하며 5월까지 .316의 타율을 유지하며 좋게 스타트를 끊었지만, 작년처럼 또다시 6월 이후에 부진에 빠져 교류전 때는 대수비로 전락하는 굴욕을 맛봤다. 7월 23일, 오릭스와의 홈경기에서 페게로가 1회말에 주루 중에 부상을 입어 2회부터 오랜만에 우익수 자리에 들어갔다. 하지만, 그 역시 8회에 파울 타구를 잡으려다 펜스와 충돌하여 왼쪽 어깨를 부상당하고 [[타나카 카즈키]]와 교체되었다. 결국, 관절의 탈구로 엔트리에서 말소되어, 시즌 최종 111경기 .260 3홈런 32타점으로 기대에 못미치는 아쉬운 성적을 남겼다. 시즌 이후에는, [[아카미나이 긴지|긴지]]의 후임으로 선수회장을 맡게 되었다. 추계 캠프에서는 포수를 2명밖에 쓰지 못하는 상황에 대비하여 포수 수비 연습에도 매진하였다. ==== 2018년 ==== 작년의 어깨 부상이 낫지도 않은 상태로 개막전을 맞이했고, 그 결과 시즌 초반부터 2할도 간당간당한 수준에 머무르는 중. 그래도, 5월 17일 소프트뱅크전에서는 끝내기 안타로 팀의 시즌 첫 끝내기 승리를 안겨다주었고, 3일 뒤인 20일 닛폰햄전에서는 4년만에 포수 자리에 들어가기도 했다. 하지만, 시즌 최종 108경기 3홈런 타율은 고작 .190에 그쳐 [[타나카 카즈키]]에 밀리고 선발 출장은 고작 55경기에 불과했다. 떨어져가는 타격 스탯때문에 외야수 자리에서 경쟁이 어렵다고 생각했는지, 내년부터는 포수로 되돌아가는 것을 목표로 포수 수비 연습을 재개하였다. ==== 2019년 ==== 4번을 달고 뛴 두 시즌이 실망스러웠는지 아무도 쓰지 않고 있던 예전 등번호 27번으로 회귀하였다. 등록 포지션도 외야수에서 포수로 다시 전향하였다. 선수회장이면서도 스프링캠프를 2군에서 맞이하는 등 폼을 구겼고 스프링 캠프 중에 왼쪽 어깨 수술, 개막 직후에는 오른쪽 팔꿈치 수술을 받았다. 재활에는 6개월 이상이 소모될 것으로 예상되어 한 해를 통째로 쉴 것으로 보였으나, 7월 하순에 2군에서 포수로 재활경기를 펼쳤다. 데뷔 이후 처음으로 1군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고 시즌을 마감하였다. ==== 2020년 ==== 이번에는 스프링캠프에서 1군에 들어갔지만, 2월 23일 쿄진과의 오픈전에서 타자의 파울팁이 오른손에 맞아 엄지 골절을 당했다. 코로나19 판데믹으로 개막은 6월로 늦춰졌지만, 개막전에 뛸 수 없었고 2군에서는 27경기 .349의 타율로 재기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7월 27일 롯데전 홈경기에서 7번 우익수로 2년만에 1군 무대에 복귀하였다. 첫 경기부터 2타점 적시타와 3안타 경기를 펼치며 팀으 연패를 끊어냈다. 시즌 최종 35경기 .200의 타율과 9타점, 홈런은 단 하나도 기록하지 못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했다. 시즌 종료 후, 첫 FA자격을 취득했음에도 팀과 연장 계약을 맺고 잔류하였다.~~그 성적으로 어디가지는 못할거고...~~등록 포지션도 다시 외야수로 변경되었다. ==== 2021년 ==== 4월 21일 후쿠오카 원정에서 3년만에 홈런을 기록했다. 코로나 때문에 용병 타자의 합류가 어려운 점과 경쟁자의 부진으로 오랜만에 주전 우익수 자리를 차지하며 5월 한달 동안에 무려 '''.398'''의 타율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이후 연봉 협상에서, 성적의 반등으로 2300만엔까지 떨어진 연봉에서 2700만엔 증액된 5000만엔에 사인하였다. ==== 2022년 ==== == 플레이 스타일 == 포수 치고는 좋은 컨택과 50m 6초 1의 빠른 발을 가지고 있다. 1루까지 4.02초로 포수임에도 높은 내야안타를 생산하며, 상술한 것처럼 데뷔 첫 끝내기 안타도 내야안타였다. 원투는 110m를 기록하고 원 포지션이 포수였기 때문에 강한 어깨를 보유하고 있어 송구 능력이 출중하다. 과거에 2루 송구 시간이 1.9초를 기록했었다. 포수와 외야, 내야는 1루수까지 볼 수 있는 유틸리티 플레이어. == 연도별 기록 == ||<-17><#900000> '''{{{#ffffff 통산 기록}}}''' ||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석 || 타점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012 ||<|11>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楽[br]天]] || 43 || 125 || 11 || 12 || 31 || 3 || 0 || 2 || 3 || 4 || 15 || .258 || .288 || .333 || .621 || || 2013 || 79 || 264 || 13 || 40 || 73 || 9 || 1 || 1 || 3 || 27 || 31 || .323 || .405 || .385 || .790 || || 2014 || 142 || 618 || 53 || 77 || 154 || 27 || 3 || 7 || 9 || 57 || 71 || .283 || .353 || .382 || .735 || || 2015 || 41 || 155 || 13 || 13 || 23 || 5 || 2 || 1 || 7 || 12 || 15 || .168 || .232 || .255 || .487 || || 2016 || 127 || 485 || 35 || 44 || 106 || 13 || 4 || 6 || 7 || 46 || 49 || .252 || .338 || .345 || .683 || || 2017 || 111 || 400 || 32 || 51 || 89 || 13 || 5 || 3 || 3 || 41 || 65 || .260 || .338 || .354 || .692 || || 2018 || 108 || 241 || 15 || 16 || 41 || 10 || 1 || 3 || 1 || 22 || 54 || .190 || .265 || .287 || .552 || || 2019 ||<-15> 출전 기록 없음 || || 2020 || 35 || 85 || 9 || 10 || 15 || 6 || 1 || 0 || 0 || 8 || 26 || .200 || .277 || .307 || .584 || || 2021 || 126 || 507 || 56 || 40 || 129 || 30 || 4 || 8 || 3 || 28 || 94 || .280 || .331 || .414 || .745 || || 2022|| 53 || 199 || 25 || 20 || 39 || 8 || 3 || 3 || 2 || 10 || 27 || .214 || .264 || .341 || .605 || ||<-2> '''[[일본프로야구|NPB]] 통산''' [br] (10시즌) || 865 || 3079 || 262 || 3023 || 700 || 124 || 24 || 34 || 38 || 255 || 447 || .257 || .326 || .358 || .684 ||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우투좌타]][[분류:외야수]][[분류:1989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치요다정 출신 인물]][[분류: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