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Occamy_and_Tina.png]] [[파일:external/cdn.fansided.com/FB-final-trailer-Occamy-capture.gif]] 등급: XXXX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TOP IMAGE2_3.jpg]] 신비한 동물사전 일러스트판의 삽화. 여기선 [[왜가리]]를 닮게 그려졌다. 공간의 크기에 따라 몸을 줄였다 늘였다 할 수 있으며 청록색의 아름다운 외피가 인상적인 동물. 뱀의 몸통에 새의 깃털과 날개, 그리고 부리를 지니고 있다. 극동과 인도지방에 서식하며, 육식성이라 뱀과 쥐를 잡아먹고 때로는 원숭이도 잡아먹는다고 한다. 영화 [[신비한 동물사전(영화)|신비한 동물사전]]에서의 모습을 보니 벌레도 잡아먹는 듯 하다. == 작중 행적 == 영화 신비한 동물사전에 등장한다. 알껍데기가 은으로 되어있으며 이 때문에 밀렵꾼들에게 표적이 된다고 한다. 은행에서 제이콥과 [[뉴트 스캐맨더]]가 한 자리에 앉아 있었는데 니플러를 발견한 뉴트가 오캐미의 알 하나를 흘리고 가는 장면이 첫 등장이다. 그 후에는 제이콥이 우연히 가방을 열었을 때 [[해리 포터 시리즈/마법 생물#s-4.5.2|에럼펀트]], 데미가이즈, 빌리위그 등과 함께 탈출한다. 탈출한 오캐미는 백화점 위층에 자리 잡고 그 크기를 어마어마하게 늘린다. 뉴트 일행이 그 오캐미를 잡기 위해 바퀴벌레로 유인해서 주전자 안으로 집어넣는 방법을 썼다. 극 후반에는 뉴트가 오캐미의 은 알껍데기 다량을 제이콥에게 은행 담보물[* 빵집을 차리는데 대출이 필요했고 은행에서 담보물을 요구했기 때문이다.]로 사용하라며 줬다. == 여담 == 이름의 모티브는 철학자 [[오컴의 윌리엄|오컴]]이라고 한다. 전체적으로 깃털을 가지고 있고, 날개달린 뱀처럼 생겼다는 점 때문에 [[케찰코아틀]]이 이 동물의 모티브가 되지 않았나는 추측이 있다. 하지만 오캐미는 동아시아와 인도에 서식하니 아닐 수도 있다.[* 다만 어디까지고 케찰코아틀이 외형의 모티브로만 쓰였다면 서식지는 별 상관 없을수도 있다.][* 서식지까지 감안해보면 중국 전설의 [[응룡]]이 모티브일 수도 있다. 응룡 역시 날개를 지닌 용의 형상을 취했는데 용을 뱀으로 바꾸면...(그리고 중국은 지리상 동아시아에 포함된다.)] [각주] [[분류:해리 포터 시리즈/마법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