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게임사 파노라믹 게임즈[* 정식명 Panoramik Games Ltd.로 2005년 상트페테르부르그에 설립된 게임사이다.]에서 출시 및 서비스 중인 모바일 오토 체스 게임이다. 타 오토 체스들과 비교했을 때 각 라운드 및 전체 게임 진행 속도가 빠르고 그만큼 소요 시간이 짧은 것이 장점. 한 라운드에 최대 30초, 매 라운드마다 준비시간 15~20초 정도가 소모되는데[* 22년 5월, 6월 패치로 일괄 20초에서 초반 라운드 준비시간이 짧아졌다. 자세한 정보는 라운드 구성 참조. 서버-클라이언트 간 핑차이나 패킷손실로 2~3초가 더 줄어들 수 있다.], 빠르게 진행하면 13~16라운드만에도 끝나고, 어지간히 길게 진행되어 한 판에 20라운드 이상 플레이하게 되더라도 20분 이내로 끝난다. 대략 한 게임마다 10~20분 쯤 걸리는 셈. 게임에 소요되는 평균 시간이 타 게임에 비해 상당히 짧다. == 시스템 및 진행 == === 화폐 === === 전투모드 정보 === ==== 라운드 구성 ==== || 라운드 || 영웅 등장 확률 || 준비시간 || || 라운드 1 ||<(> {{{#b6b6b6 일반 100%}}} ||<|5> 15초 || || 라운드 2 ||<(> {{{#b6b6b6 일반 100%}}} || || 라운드 3 ||<(> {{{#b6b6b6 일반 80%}}}, {{{#98c842 고급 20%}}} || || 라운드 4 ||<(> {{{#b6b6b6 일반 80%}}}, {{{#98c842 고급 20%}}} || || 라운드 5 ||<(> {{{#b6b6b6 일반 70%}}}, {{{#98c842 고급 20%}}}, {{{#58a8f8 희귀 10%}}} || || 라운드 6 ||<(> {{{#b6b6b6 일반 65%}}}, {{{#98c842 고급 25%}}}, {{{#58a8f8 희귀 10%}}} ||<|8> 20초 || || 라운드 7 ||<(> {{{#b6b6b6 일반 60%}}}, {{{#98c842 고급 25%}}}, {{{#58a8f8 희귀 12%}}}, {{{#c339f6 에픽 3%}}} || || 라운드 8 ||<(> {{{#b6b6b6 일반 55%}}}, {{{#98c842 고급 25%}}}, {{{#58a8f8 희귀 13%}}}, {{{#c339f6 에픽 7%}}} || || 라운드 9 ||<(> {{{#b6b6b6 일반 45%}}}, {{{#98c842 고급 30%}}}, {{{#58a8f8 희귀 15%}}}, {{{#c339f6 에픽 9%}}}, {{{#efcd45 전설 1%}}} || || 라운드 10 ||<(> {{{#b6b6b6 일반 40%}}}, {{{#98c842 고급 30%}}}, {{{#58a8f8 희귀 15%}}}, {{{#c339f6 에픽 13%}}}, {{{#efcd45 전설 2%}}} || || 라운드 11 ||<(> {{{#b6b6b6 일반 35%}}}, {{{#98c842 고급 30%}}}, {{{#58a8f8 희귀 15%}}}, {{{#c339f6 에픽 17%}}}, {{{#efcd45 전설 3%}}} || || 라운드 12 ||<(> {{{#b6b6b6 일반 30%}}}, {{{#98c842 고급 25%}}}, {{{#58a8f8 희귀 20%}}}, {{{#c339f6 에픽 20%}}}, {{{#efcd45 전설 5%}}} || || 라운드 13~ ||<(> {{{#b6b6b6 일반 25%}}}, {{{#98c842 고급 25%}}}, {{{#58a8f8 희귀 25%}}}, {{{#c339f6 에픽 20%}}}, {{{#efcd45 전설 5%}}} || ==== 코인 획득 ==== ||<-2> 라운드 기본 ||<-2> 추가 코인 || || 라운드 1 시작 || 2 ||<|2> 3연패~ ||<|2> +1 || || 라운드 2~10 || 5 || || 라운드 11~12 || 6 || 3~5연승 || +1 || || 라운드 13~14 || 7 || 6~8연승 || +2 || || 라운드 15~16 || 8 || 9연승~ || +3 || || 라운드 17~18 || 9 ||<|2> 이자 ||<|2> 보유 코인 10마다 +1 || || 라운드 19~'''50'''[* 진행가능 최대 라운드다. 51라운드에 들어서면 강제종료된다. 이 경우 승리로 끝나는데, 상대보다 남은 생명이 적을 경우 즉, 순위가 낮을 경우 패배하는 지는 불명.] || 10 || ==== 부대 확장 ==== || 배치수 || 확장비용 || || 2 > 3 || 4코인 || || 3 > 4 || 8코인 || || 4 > 5 || 11코인 || || 5 > 6 || 13코인 || || 6 > 7 || 17코인 || || 7 > 8 || 21코인 || || 8 > 9 || 25코인 || || 9 > 10 || 50코인 || 최대 10명의 영웅을 사용할 수 있으나, 마지막 확장 비용을 보듯 가성비가 엄청나게 떨어진다. 전설 영웅 3성 만드는 코인이 20코인이므로, 확장할 비용이면 일반영웅을 팔아버리고 전설을 모으는 게 나은 셈. 게다가 만약 10영웅을 가게 되는 게임이라면 이미 다른 게임 두세 판은 돌릴 시간이 되어 있을 것이라는 점은 덤이다. ==== 광기 모드 ==== === 전투 시스템 === ==== 능력치 ==== ==== 스킬 ==== ==== 특수효과 ==== ==== 기타 판정 ==== == 전쟁군주 == == 영웅 == [include(틀:오토 브롤 체스/영웅)] 타 오토 체스의 체스말에 해당하는 유닛들이다. 등급, 진영, 직종(클래스)의 세 가지 기준으로 분류된다. 등급이 가장 낮은 일반 영웅도 3성 이상 합성되면 배틀 극후반 라운드까지 충분히 활약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 및 합성 상태만큼이나 진영 버프와 직종 버프 조합이 매우 중요하므로, 어지간하면 등급이 낮다고 버려지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패치 상태에 따라 관짝에 들어가는 소수 영웅을 제외하고는 전 영웅이 골고루 잘 커 있어야 게임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b6b6b6 일반}}} 영웅은 1코인, {{{#98c842 고급}}} 2코인, {{{#58a8f8 희귀}}} 3코인, {{{#c339f6 에픽}}} 4코인, {{{#efcd45 전설}}} 5코인으로 소환할 수 있다. 등급별 영웅 순서는 영웅이름 가나다 순.[*스킬 사거리 등 확인 필요한 정보 다수] 추후 영웅 페이지 생성 예정이며, 각 영웅 데이터 업뎃 완료 후 영웅 종합 요약 테이블 삭제 예정. === {{{#b6b6b6 일반 등급}}} === || '''영웅''' || 진영 || 직종 || 공격형태[br]사거리 || 스킬발동 || 스킬형태[br]스킬개요 || 스킬 대상[br]사거리 & 범위 || || '''노벨''' || {{{#3644ca 원소}}} || {{{#a3f3f4 비행사}}} || 근접[br]1 || 패시브 || 광역 피해[br]사망 시 폭발 || 자신 인접[br]1 & 8칸 || || '''디에고''' || {{{#3f8228 식물}}} || {{{#e1413f 전사}}} || 근접[br]1 || 액티브[br]Active to Passive || 데미지 반사 || 자신을 공격하는 모든 유닛 || || '''라그나르''' || {{{#ee7a2f 드워프}}} || {{{#f5c187 수호자}}} || 근접[br]1 || 패시브 || 공격력 강화 중첩[br]평타[* 평타 판정 스킬 포함]에 피격될 때마다[* 무적 상태에서도 발동] || 자신 || || '''라타토스크르'''[* 유래는 [[라타토스크]]] || {{{#81d346 짐승}}} || {{{#57bcbc 도둑}}} || 근접[br]1 || 패시브 || 중독 중첩 || 공격 대상[br]1 & 1유닛 || || '''로빈''' || {{{#cfcfcf 언데드}}} || {{{#4884f5 궁수}}} || 원거리[br]2/3 || 액티브[br]Active to Passive || 영구 공격력 강화 || 자신 || || '''마릴린''' || {{{#eed246 제국}}} || {{{#eb49de 마법사}}} || 원거리[br]2/3 || 액티브 || 즉발 투사체[br]동결 || 가장 가까운 적[br]8 & 1유닛 || || '''막시무스''' || {{{#8b5335 부족}}} || {{{#ea6437 학살자}}} || 근접[br]1 || 액티브[br]On Next Hit || 강화 평타 || 공격 대상[br]1 & 1유닛 || || '''미네르바''' || {{{#81d346 짐승}}} || {{{#eb49de 마법사}}} || 원거리[br]2/3 || 액티브 || 보호막 || 자신 포함 현재 체력 최저 영웅[br]8 & 1유닛 || || '''샤리사'''[* царица;Tsaritsa의 음차 즉, [[차르]]의 여성형 차리차. 여왕, 여제의 뜻이다.] || {{{#60ce70 파충류}}} || {{{#ea6437 학살자}}} || 근접[br]1 || 패시브 || 초당 회복 || 자신 || || '''엠피리온''' || {{{#eed246 제국}}} || {{{#a3f3f4 비행사}}} || 근접[br]1 || 액티브[br]On Next Hit || 강화 평타[br]방어력 약화 중첩 || 공격 대상[br]1 & 1유닛 || || '''콘라드''' || {{{#cfcfcf 언데드}}} || {{{#e1413f 전사}}} || 근접[br]1 || 패시브 || 평타 적중 시 회복[br]자신의 체력 50% 이하 시 || 자신 || || '''토드''' || {{{#60ce70 파충류}}} || {{{#f5c187 수호자}}} || 근접[br]1 || 액티브 || 공격력 강화 중첩 || 자신 포함 아군 인접 유닛[br]1 & 9유닛 || || '''헤카테''' || {{{#f2a7d1 엘프}}} || {{{#a8249c 흑마법사}}} || 근접[br]1 || 패시브 || 스킬피해 추가 평타[br]최후 1인이 될 때까지 은신 || 자신 || || '''헬싱''' || {{{#8e5ff6 방랑자}}} || {{{#4884f5 궁수}}} || 원거리[br]2/3 || 액티브[br]On Next Hit || 강화 평타 || 공격 대상[br] 2 & 1유닛 || '''언제나 전쟁의 핵심이 되는 보병''' 낮은 등급과 그에 따른 저성능이라는 것 때문에 무시되기 쉽지만, '''초반전의 승리와 그를 통한 스노우볼링'''을 위해서는 잘 키워둔 일반 등급의 영웅이 필수다. 낮은 코인비용, 높은 등장확률 덕분에 가장 4성을 만들기 쉬운 등급이기도 하다. ==== {{{#b6b6b6 노벨}}} ==== ||<-2> '''진영''' ||<-2> '''클래스''' ||<-2> '''공격''' ||<-4> '''사거리''' {{{-3 ★/★★/★★★/《★》}}} ||<-2> '''공격속도''' ||<-3> '''방어 / 마저''' || ||<-2> {{{#3644ca 원소}}} ||<-2> {{{#a3f3f4 비행사}}} ||<-2> 근접 ||<-4> {{{#959EA2 1}}} ||<-2> 1.5 ||<-3> 10 / 10 || ||<-4> '''스킬명''' ||<-4> '''스킬유형''' ||<-5> '''대상''' ||<-2> {{{-2 '''스킬사거리'''}}} || ||<-4> 폭발적인 성미[br]Explosive Temper ||<-4> Passive ||<-5> 자신 주변 인접 8칸 ||<-2> {{{#959EA2 1}}} || ||<-9> '''스킬 특수효과''' ||<-4> {{{-1 '''스킬계수'''}}} {{{-3 ★/★★/★★★/《★》}}} ||<-2> '''스킬범위''' || ||<-9> 사망 시 인접한 적에 광역 폭발 데미지[* 특이하게 물리+스킬(마법) 판정이 모두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술사버프와 방랑디버프가 모두 적용되는 것이 확인되며, 반대로 당하는 쪽의 수호자와 성직자버프 역시 피해량에 계산이 되기 때문. 정확한 실질 피해량 공식은 불명이다.] ||<-4> 5.6/9.9/13.5/15.2 ||<-2> 주변 8칸 || || || || || || || || || || || || || || || || || I. 개요 '''가성비의 끝판왕''' 하늘을 나는 시뻘건 머리통에 두 팔이 달린 [[봄(동음이의어)#s-6|BOMB]]형태의 영웅. 원소 진영의 물(냉기), 불, 대지 중 불의 원소에 해당하며 상대의 공격속도 디버프를 걸 수 있는 비행사이기도 하다. 주요 능력은 바로 자살폭탄. 일반 영웅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영웅을 통틀어 거의 최강의 스킬계수를 자랑하는데[* 스탯 성장이 그리 크지 않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사망시 정신나간 위력으로 자기 주변 8칸을 날려버린다. 스탯의 성장까지 감안하면 매 성급이 오를 때마다 폭발력이 2배 가까이 늘어나는 수준. 3{{{#c79231 술사}}} 버프나 4{{{#8e5ff6 방랑}}} 버프 등으로 화력을 극대화할 경우 사망하는 순간 상대 전위 3~4 유닛을 최소 빈사, 잘하면 소거해버리는 엄청난 '''교환비'''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오토체스인 만큼 상대 근접 영웅들이 한 번에 다 쓸리도록 포지션을 조정하며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 마디로 탱커고 딜러고 근접을 상대로는 최강의 카운터인 셈. 스탯은 전문 탱커만은 못하지만, 이대신 잇몸으로라도 쓸 수는 있는 수준. 극초반, 딜러만 우글거리는 시점에서 제대로 성장 못 한 종잇장 탱커보다는 차라리 적당히 버텨주면서 죽을때 상대 전위 여럿을 함께 데려가는 노벨 쪽을 더 부담없이 쓸 수 있다. 극 후반에도 딜러들이 마나 채우는 동안 혼자 탱킹 다 한 뒤 폭발, 빈사가 된 상대 진영에 스킬을 장전한 후위가 광역딜을 작렬시켜서 쓸어버리는 콤보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자폭은 패시브 스킬에 무자원이므로 {{{#f2a7d1 엘프}}}진영의 마나번 효과나 각종 침묵을 무시한다는 점도 장점 중 하나. 다만, 특이한 점은 단순 스킬 피해로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인데, 상대 스탯을 포함하여 실질 데미지가 들어갈 때 방어력과 마저가 모두 유효하다. 따라서 극후반[* 최소 20라운드 이상] 방어력이나 마저가 두터워지면 사기적인 스킬계수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주변을 완전히 날려버리지는 못한다. 다시 역으로 말하면, 최소 3{{{#3f8228 식물}}} 이상에 {{{#f5c187 수호자}}}나 {{{#fbe886 성직자}}}가 빵빵하게 갖춰진 잘 성장한 탱커들이 아니라면 전위 여럿을 날려버리는 것은 여전하다. I. 활용 최전방 메인 탱커로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 때 최대한 주변을 비워두는 것이 기본적인 요령이다. 즉, 다른 아군들은 한두 칸 씩 떨어져서 상대 근접 영웅들이 노벨에게 1차적으로 달라붙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황에 따라 최후방에 배치해서 사용하면 좋은 경우도 있는데, 아래 카운터에 설명된 {{{#ea6437 학살자}}} 조합이나, '''원거리 극딜 조합'''을 상대할 때 필요한 요령이 되겠다. A. 조합 시너지 i. {{{#c79231 주술사}}} i. {{{#8e5ff6 방랑자}}} i. {{{#eed246 제국}}} i. {{{#cfcfcf 언데드}}} i. 광역 딜러 ii까지는 자체 화력의 극대화, 이후는 상대 체력에 대한 디버프로 같은 효과를 내는 방법이다. 현재 선택된 아군 조합의 방향과 껄끄러운 상대 조합의 상태를 고려해 선택이 필요할 수 있으나, 사실 i과 iii의 조합은 그 범용성으로 '''모든 광역 딜러들의 로망'''이므로 선호도가 높다. A. 카운터 i. ~~잘 큰~~ 탱+힐 조합 i. 전위를 무시하고 일단 후위부터 치고보는 {{{#ea6437 학살자}}}들 i. 노탱커 궁법 극딜 조합 i의 경우 튼튼한 탱커가 자폭을 버텨내고, 후속타에 죽기 전 힐러가 회복시켜 노벨의 자폭이 무의미해지며, ii는 라인을 무시하고 후위부터 때리는 학살자들 상대로 노벨이 어정쩡한 스펙의 전위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 경우 학살자들의 메커니즘[* 1. 현재 학살자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멀리 있는 적의 바로 옆으로 이동한 뒤 2. 해당 위치에서 가장 위협적인 적을 먼저 공격하고 3. 타깃이 사망하면 1.부터 반복 시전]이 애매한 관계로[* 상술된 3.이 들쭉날쭉 작동한다.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인접한 위협적인 적을 선택해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 1차 사망자 발생 이후 단체로 노벨에게 날아와 다같이 터져주는 경우가 더 많기에 확실하진 않다. 게다가 노벨 사용 측에서 든든한 탱커 하나를 더 전위에 두고 최후방에 노벨을 두는 식으로 극 카운터도 가능하다. 오히려 가장 무서운 조합은 iii으로, 전위에 헤카테 하나 정도 있고 전부 뒤에 있을 경우 내 진영이 무너지는 건 둘째 치고, 공속이 곧 이속인 시스템 상 노벨이 달라붙기도 전에 터진 후 DPS 경쟁으로 배틀 구도를 고정해버리는 경우다. I. 마법아이템 ||<-15> '''명칭''' || ||<-15> 원소의 분노 팔 보호구[br]Elemental Wrath Bracers || ||<-2> '''변화유형''' ||<-5> Active 스킬 추가 ||<-3> '''생성 특수효과''' ||<-5> 미니노벨 소환 || ||<-2> '''등급별''' ||<-2> {{{-3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추가 스킬계수'''}}}}}} ||<-11> '''상세''' || ||<-2> {{{#b6b6b6 일반}}} ||<-2> ||<-11>노벨 능력치의 {{{#6a615d 30%}}} 미니노벨 소환 || ||<-2> {{{#98c842 고급}}} ||<-2> ||<-11>{{{#6a615d 35%}}} || ||<-2> {{{#58a8f8 희귀}}} ||<-2> ||<-11>{{{#6a615d 40%}}} || ||<-2> {{{#c339f6 에픽}}} ||<-2> ||<-11>{{{#6a615d 45%}}} || ||<-2> {{{#efcd45 전설}}} ||<-2> ||<-11>{{{#6a615d 50%}}}, {{{#6a615d 두 번째}}} 미니노벨 {{{#6a615d 15%}}} 확률 소환 || ||<-2> {{{#e8392c 유물}}} ||<-2> ||<-11>{{{#6a615d 55%}}}, 두 번째 미니노벨 {{{#6a615d 30%}}} 확률 소환 || ||<-2> {{{#cbb6fa 신성}}} ||<-2> ||<-11>{{{#6a615d 60%}}}, {{{#6a615d 세 번째}}} 미니노벨 {{{#6a615d 10%}}} 확률 소환 || ||<-4> '''{{{#cbb6fa 신성}}} ★★★ 스킬예시''' ||<-11> Active 노벨 능력치의 {{{#6a615d 60%}}} 미니노벨 최대 {{{#6a615d 3마리}}} 소환({{{#6a615d 10%}}})[br]Passive 사망 시 스킬파워x13.5로[br]인접한 적 모두에 폭발 데미지 || || || || || || || || || || || || || || || || || 마법 아이템을 갖출 경우 또다른 차원으로 진화하여 22년5월 현재 사실상 다른 탱커를 쓸 이유가 없어질 정도다. 스킬에 액티브스킬이 추가되어 마나가 생기고, 발동할 경우 미니노벨을 소환하며 마법아이템 등급 {{{#efcd45 전설}}}에 두 번째 미니노벨이, {{{#cbb6fa 신성}}}에 세 번째 미니노벨까지 소환한다. 요약하면, 최종단계에서 노벨이 폭탄마 법사 {{{#c339f6 네로}}} 이상의 소환 능력을 가지게 된다. 미니노벨 자체는 네로가 소환하는 노벨보다 능력치가 약하나, 숫자가 더 많아서 마나 부스트를 받고 노벨이 소환하기 시작하면 온 맵을 폭탄으로 덮을 수 있다. 우글대는 미니노벨들이 노벨을 공격한 상대를 이미 둘러싸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서 설사 본체의 성장이 잘 되지 않고 일찍 터진다고 하더라도 파티 전체가 무너져 내릴 가능성이 크게 낮아지며, 소환수 자체가 가지는 메리트[* 남은 숫자만큼 상대 본체 딜 및 타겟팅 스킬 어그로 분산 등.] 역시 그대로 가진다는 얘기다. ==== {{{#b6b6b6 미네르바}}} ==== ||<-2> '''진영''' ||<-2> '''클래스''' ||<-2> '''공격''' ||<-4> '''사거리''' {{{-3 ★/★★/★★★/《★》}}} ||<-2> '''공격속도''' ||<-3> '''방어 / 마저''' || ||<-2> {{{#81d346 짐승}}} ||<-2> {{{#eb49de 마법사}}} ||<-2> 원거리 ||<-4> 2/2/3/3 ||<-2> 1.3 ||<-3> 0 / 10 || ||<-4> '''스킬명''' ||<-4> '''스킬유형''' ||<-5> '''대상''' ||<-2> {{{-2 '''스킬사거리'''}}} || ||<-4> 부엉이의 지혜[br]Owl Wisdom ||<-4> Active ||<-5> 자신 포함 현재 비례 체력[br]가장 낮은 아군 1명 ||<-2> {{{#959EA2 8}}}[* 사거리 개념 없음] || ||<-9> '''스킬 특수효과''' ||<-4> {{{-1 '''스킬계수'''}}} {{{-3 ★/★★/★★★/《★》}}} ||<-2> '''스킬범위''' || ||<-9> 보호막 ||<-4> 6/9.25/11.6/12.15 ||<-2> 1유닛 || || || || || || || || || || || || || || || || || I. 개요 I. 활용 A. 조합 시너지 i. A. 카운터 i. I. 마법아이템 ||<-15> '''명칭''' || ||<-15> [br]Book of Winds || ||<-2> '''변화유형''' ||<-5> Active 스킬 능력 추가 ||<-3> '''생성 특수효과''' ||<-5> 공격력 증가[br]디버프 해제 및 면역 부여 || ||<-2> '''등급별''' ||<-2> {{{-3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추가 스킬계수'''}}}}}}[* 공격력 버프에만 적용] ||<-11> '''상세''' || ||<-2> {{{#b6b6b6 일반}}} ||<-2> 0.2 ||<-11>보호막 발동 중인 아군 공격력 증가 || ||<-2> {{{#98c842 고급}}} ||<-2> 0.1 ||<-11> || ||<-2> {{{#58a8f8 희귀}}} ||<-2> 0.2 ||<-11> || ||<-2> {{{#c339f6 에픽}}} ||<-2> 0.25 ||<-11> || ||<-2> {{{#efcd45 전설}}} ||<-2> 0.25 ||<-11>보호막 받는 아군의 모든 부정적인 효과 제거 || ||<-2> {{{#e8392c 유물}}} ||<-2> 0.25 ||<-11> || ||<-2> {{{#cbb6fa 신성}}} ||<-2> 0.25 ||<-11>보호막 발동 중 부정적인 효과에 '''면역''' || ||<-4> '''{{{#cbb6fa 신성}}} ★★★ 스킬예시''' ||<-11> 스킬파워x11.6의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 부여[br]모든 부정적인 효과 제거[br]보호막 발동 중 모든 부정적인 효과에 '''면역''' 부여[br]보호막 발동 중 스킬파워x1.5의 공격력 증가 부여 || || || || || || || || || || || || || || || || || ==== 작성중 ==== * 디에고 악기를 든 선인장. 성급이 오르면 [[솜브레로]]를 쓰고 수염을 기른다. 진영은 체력을 올려주는 식물, 동일 직업의 공속을 올려주는 전사. 스킬은 자신에게 방어력 50과 자신을 공격한 상대에게 스킬파워 1.4배/2.1배/2.8배/3.3배의 위력의 피해를 입히는 가시 버프를 주는 단발 지속형 스킬. 일단 스킬을 발동한 시점의 디에고는 일반등급 상위권 탱커가 되며, 부족한 체력을 보충할 수단만 준비해주면 전위에서 든든히 버텨준다. 술사 버프나, 혹은 능력치 유지력 측면에서 보호막이나 힐만 잘 조합해도 잘 큰 디에고는 은신 및 원거리 딜러들의 극 카운터다. 수호자나 전사, 학살자 등 딜탱 종합에서 디에고를 넘어서는 정도가 아니고서야 몸 약한 원딜이나 힐은 때리다 먼저 녹는 것이 확정 수준. 카운터는 디에고가 스킬을 발동하기 전에 대량으로 체력을 깍아내버리는 고화력. 혹은 스킬 발동을 저지하는 마나번. 디에고의 탱킹성능은 일단 스킬을 발동한 뒤부터가 시작이기 때문에, 스킬 발동이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스킬 발동전에 입은 손해가 크면 클수록 제역할을 못하게 된다. * 라그나르 진영은 드워프, 직업은 수호자. 스킬은 공격을 받을때마다 스킬파워의 0.25배/0.45배/0.6배/0.7배만큼 자신의 공격력을 올리는 패시브 스킬. 대놓고 탱커직인 수호자 직업이면서, 정작 탱킹능력은 디에고 이하라는 점에서 굉장히 어정쩡해 보이지만...이녀석 2진영 보너스만으로 피격직후 '''1.5초간 무적'''이라는 특권을 자랑하는 드워프진영 소속이다. 간단히 말해서, 라그나르는 첫 무적 1.5초간 최대한 많은 공격을 받아서 공격력을 올린 뒤, 오른 공격력을 활용해서 상대를 때려잡는 탱딜형 영웅이다. 기본적으로 탱커VS탱커전이 벌어졌을때 라그나르는 공격력을 부스트해서 역으로 때려잡을 수 있다. 카운터는 '''마법'''. 마저도 거의 없고, 스킬 딜에는 패시브도 발동되지 않으므로 힐이나 보호막이 빵빵하지 않은 이상 고기방패 확정이다. 그러나 동조건 즉, 상대 탱힐 vs. 내 라그나르+힐 또는 보호막 이라는 조건 하에서는 가장 강력한 탱커인 것은 사실이다. 깎인 체력은 힐이나 보호막으로 버티고 공격력이 무한히 올라가기 때문에 맞딜 중인 상대 탱커는 힐로 버틸 수 없다. 상술한 무적 활용 이전, 기본적인 활용법. * 라타토스크르 창을 든 쥐. 진영은 아군의 공격력을 올려주는 짐승, 회피 성능을 부여하는 도둑. 스킬은 스킬파워의 0.4배/0.7배/1배/1.15배 만큼 '''전투가 끝날 때까지''' 매 초 대미지를 입히는 중독 상태로 만드는것. 생긴것도 체력도 공격력도 스킬 계수도 딱히 좋을게 없어보이는 영웅이지만, '''오토 브롤 체스의 모든 영웅을 통틀어서 최고 공격속도'''를 자랑하는 연타계 딜러이며, 중독은 중첩된다. 이런 놈이 짐승진영이라서 공격력보너스까지 쉽게 챙길 수 있기에 DPS가 은근 무서운 수준. 잘 큰 라타토스크르 독창에 세 방 이상 찔린 적은 그 이상 찔리지 않더라도 극후반 최고급 힐러들이 힐을 퍼부어도 살리기 힘든 수준이 된다. 전위에 쓰기엔 체력이 허술해보이지만, 직업 보너스로 '''회피'''를 챙길수도 있기에, 복불복이긴 하지만 은근 나쁘지 않은 유지력도 자랑하는 편. 레벨과 장비를 잘 챙긴 라타토스크르를 적으로 만나면 어이없는 속도로 탱커가 털리면서 초반을 제압당할 수 있다. --[[머피의 법칙|아군의 라타토스크르는 언제나 역으로 금방 털린다]](...)-- * 헤카테 20년 12월 패치 기준, 손꼽히는 근접 은신 DPS. 기본 스탯은 빈약하다못해 가녀리달 정도다. 그러나 기본공격에 항상 스킬피해가 더해져 들어가는 하이브리드 딜링은 강력한 편이며, 거기에 최후 1인이 될 때까지 풀리지 않는 은신으로 인해 오랜 시간 살아남아 DPS가 보장된다. 보통 가게 되는 2엘프 이상에 술사 또는 야수 버프가 더해질 경우, 눈먼 광역딜에 녹아내리는 상황이 아니고서는 라운드 후반까지 마나번과 함께 미친듯이 아픈 채찍질을 해댄다. 3성 이상 합성 시에는 광역딜에도 어느 정도 내성이 있는데다 기본적으로 엘프의 마나번은 광역딜을 봉쇄할 확률이 높은 버프다. 역으로 그 딜을 가지고 잘 큰 콘라드나 라그나르 같은 마나번을 무시하는 패시브 탱커들을 때리고 있으면 그보다 답답한 상황도 없다. 전체적으로 적 탱커들이 무자원 패시브 계열이 많다면 적 후방 딜러를 노리거나, 아군 후방 딜러를 학살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근접 영웅임에도 적당히 뒤쪽에 배치하는 것이 요령. 적 메인탱커가 액티브 계열이면 볼 것 없이 최전방에 배치하여 녹여버리면 된다. 다만, 딜 자체는 공격력 자체를 강화하는 에드윈이나 토드 등의 스킬과 달리 스킬피해 추가라는 하이브리드 딜이라 스킬피해를 줄이는 성직자 조합에는 어느정도 카운터를 맞는다. === {{{#98c842 고급 등급}}} === || '''영웅''' || 진영 || 직종 || 공격형태[br]사거리 || 스킬발동 || 스킬형태[br]스킬개요 || 스킬 대상[br]사거리 & 범위 || || '''노리스''' || {{{#81d346 짐승}}} || {{{#ea6437 학살자}}} || 근접[br]1 || 액티브[br]On Next Hit || 강화 평타[br]완전회복 || 자신 || || '''도-트소''' || {{{#81d346 짐승}}} || {{{#e1413f 전사}}} || 근접[br]1 || 액티브 || 보호막[br]3초간 공속 70% 증가 || 자신 || || '''라메세스'''[* Rameses 람세스] || {{{#cfcfcf 언데드}}} || {{{#fbe886 성직자}}} || 원거리[br]3/4 || 액티브 || 즉발 투사체[br]1.5초간 무적 || 자신 포함 현재 체력 최저 영웅[br]8 & 1유닛 || || '''랜슬롯''' || {{{#eed246 제국}}} || {{{#f5c187 수호자}}} || 근접[br]1 || 액티브 || 회복[br]공속 10% 증가 중첩 || 자신 || || '''러시모어''' || {{{#3644ca 원소}}} || {{{#a8249c 흑마법사}}} || 근접[br]1 || 액티브 || 광역 스킬피해 || 공격 대상 및 대상 인접 '''유닛'''[br]1 & 8칸 || || '''바라''' || {{{#a8211a 악마}}} || {{{#4884f5 궁수}}} || 원거리[br]2/3 || 액티브 || 즉발 투사체[br]4연쇄 스킬피해 || 공격 대상으로부터[br]가장 가까운 순서로 연쇄 || || '''브루노''' || {{{#3f8228 식물}}} || {{{#c79231 주술사}}} || 근접[br]1 || 액티브 || 소환수[* 브루노 주니어][br]주니어 초당 체력 증가 || 1 & 1유닛 || || '''비비엔''' || {{{#f2a7d1 엘프}}} || {{{#fbe886 성직자}}} || 원거리[br]3/4 || 패시브 || 매 2초마다[br]광역 힐 & 마나충전 || 자신 포함 아군 인접 유닛[br]1 & 9유닛 || || '''사다코''' || {{{#cfcfcf 언데드}}} || {{{#eb49de 마법사}}} || 원거리[br]2/3 || 액티브 || 소환수[br]소환수 사망 시 침묵 || 소환수 막타 상대[br]1 & 1유닛 || || '''야라''' || {{{#8b5335 부족}}} || {{{#c79231 주술사}}} || 원거리[br]2 || 액티브 || 광역 공격력 강화 중첩[br]광역 공속 10% 증가 중첩 || 자신 포함 아군 인접 유닛[br]1 & 9유닛 || || '''에드윈''' || {{{#8e5ff6 방랑자}}} || {{{#a8249c 흑마법사}}} || 원거리[br]2 || 액티브 || 공격력 강화 중첩[br]광역 체력 증가 중첩 || 자신 포함 아군 인접 유닛[br]1 & 9유닛 || || '''유키''' || {{{#8e5ff6 방랑자}}} || {{{#57bcbc 도둑}}} || 원거리[br]2/3 || 액티브 || 공격력 강화 중첩[br]2초 은신 || 자신 || || '''자시'''[* Jaxy '''잭시'''가 맞다.] || {{{#8b5335 부족}}} || {{{#f5c187 수호자}}} || 근접[br]1 || 액티브[br]On Next Hit || 강화 평타[br]기절 || 공격 대상[br]1 & 1유닛 || || '''클라우스''' || {{{#ee7a2f 드워프}}} || {{{#4884f5 궁수}}} || 원거리[br]2/3 || 패시브 || 매 3타 스킬 피해[br]동결 || 공격 대상[br]1 & 1유닛 || || '''티타니아''' || {{{#eed246 제국}}} || {{{#e1413f 전사}}} || 근접[br]1 || 액티브[br]On Next Hit || 강화 평타[br]침묵 || 공격 대상[br]1 & 1유닛 || ==== {{{#98c842 야라}}} ==== ||<-2> '''진영''' ||<-2> '''클래스''' ||<-2> '''공격''' ||<-4> '''사거리''' {{{-3 ★/★★/★★★/《★》}}} ||<-2> '''공격속도''' ||<-3> '''방어 / 마저''' || ||<-2> {{{#8b5335 부족}}} ||<-2> {{{#c79231 주술사}}} ||<-2> 원거리 ||<-4> {{{#959EA2 2}}} ||<-2> 1.2 ||<-3> 0 / 15 || ||<-4> '''스킬명''' ||<-4> '''스킬유형''' ||<-5> '''대상''' ||<-2> {{{-2 '''스킬사거리'''}}} || ||<-4> 정령의 사절[br]Envoy of the Spirits ||<-4> Active ||<-5> 자신 포함 인접 아군 ||<-2> {{{#959EA2 1}}} || ||<-9> '''스킬 특수효과''' ||<-4> {{{-1 '''스킬계수'''}}} {{{-3 ★/★★/★★★/《★》}}} ||<-2> '''스킬범위''' || ||<-9> 광역 공격력 강화[br]광역 공속 '''{{{#959EA2 10%}}}''' 증가 ||<-4> 0.7/0.8/0.95/1.05 ||<-2> 3 x 3 칸 || || || || || || || || || || || || || || || || || I. 개요 '''전투종결자''' 오토 브롤 체스 최강의 버퍼로 요약되는 고급 등급 최고 OP 야라다. 스킬계수 자체는 동종의 버퍼인 토드나 에드윈에 비해 특출날 것이 없지만, 그놈의 '''{{{#959EA2 고정 10% 공속 버프}}}'''가 그 둘을 월등히 뛰어넘는 성능을 갖게 해준다. 버프를 받는 모든 아군의 공속이 기본공속x0.1씩 줄어들면서 스킬 쿨마다 점점 더 빨라지는 동시에 공격력까지 중첩되며, 빨라진 공속으로 인해 스킬쿨까지 줄어들게 되므로 수치적용의 산술급수적인 계산 이상으로 버프를 받은 유닛 다수의 DPS가 기하급수로 강해진다는 말이 된다. 자신이 술사이기에 3{{{#c79231 주술사}}} 버프를 챙기기 쉬운데, 3술사 버프로 강화수치가 늘어나면 1~2번만 스킬쿨이 돌아가도 갑자기 녹아내리는 상대 유닛들을 목격할 수 있다. 때문에 각각의 라운드를 끝내는 종결자인 것은 기본이고, 아무리 {{{#3f8228 식물}}}이나 {{{#f5c187 수호자}}} 및 {{{#fbe886 성직자}}} 등으로 좀비 조합을 꾸리더라도 무한정 올라가는 DPS에는 버틸 수가 없기 때문에 배틀 자체를 끝내는 핵심키라고 설명할 수 있다. I. 활용 마나 부스트를 챙기는 방법도 한 가지 더 있는데, 나머지 {{{#8b5335 부족}}} 동료들의 레벨을 야라 레벨의 7~80% 이하로 유지하면서 야라의 성급만 나머지 부족 동료보다 한 단계 높게 운영할 경우, 최상급 부족버프 대상들[* 대략 한소-실비아-션롱-아르테미스-스마우그-타나토스-붓쳐-라리엘-네로-클리오-... 정도 순서다. 더 자세한 것은 부족 진영 항목 참조.]이 등장하기 전까지 야라가 부족버프를 받으면서 미친듯이 스킬쿨을 돌릴 수 있게 된다. 특히 나머지 학살자, 수호자, 전사로 구성된 부족 동료들을 크게 활용하지 않는다면 적극 추천할 만한 레벨업 전략이다. 다만, 배치 시 사거리를 고려하여 진영이 꼬이지 않도록 요령을 습득하는 것이 요구된다. 자칫 잘못 꼬이면 버프는 버프대로 날리고 야라가 의문사하는 패배플래그를 세워버릴 수 있다. A. 조합 시너지 스킬 기반 유틸리티로서 마나 부스트를 필요로 하는 정도를 제외하고 특출난 조합 시너지가 있다고 보긴 어렵다. 오히려 조심해야 할 비추 조합은 앞서 언급된 {{{#b6b6b6 토드}}}와 {{{#98c842 에드윈}}} 등의 버퍼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 의외로 시너지가 나지 않는다. 버프에 의해 오른 DPS를 활용할 제대로 된 딜러들이 빠지고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됨으로써 오히려 DPS가 낮아지는 효과를 부르는 것. 쉽게 말해 과잉버프이자 비효율적인 파티구성이 되어버린다. A. 카운터 사거리도 짧고 광역딜러도 아닌 관계로 침묵에 그다지 쉽게 노출되지 않지만 상대에 {{{#c339f6 아르테미스}}}가 있다면 껄끄러운 정도이다. 의외로 버퍼 계열들의 최대 천적은 다름아닌 4{{{#a3f3f4 비행사}}} 조합. 스킬쿨 한 번을 못 돌리고 파티가 서서히 쓰러져가는 꼴을 구경할 수 있다. I. 마법아이템 ||<-15> '''명칭''' || ||<-15> 영혼의 드림캐쳐[br]Anima Dreamcatcher || ||<-2> '''변화유형''' ||<-5> Active 스킬 능력 추가[br]On Next '''n''' Hit ||<-3> '''생성 특수효과''' ||<-5> 추가피해[br]흡혈 || ||<-2> '''등급별''' ||<-2> {{{-3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추가 스킬계수'''}}}}}} ||<-11> '''상세''' || ||<-2> {{{#b6b6b6 일반}}} ||<-2> ||<-11>다음 공격 {{{#6a615d 2회}}} 마다 추가피해 및 흡혈 || ||<-2> {{{#98c842 고급}}} ||<-2> 0.1 ||<-11> || ||<-2> {{{#58a8f8 희귀}}} ||<-2> 0.1 ||<-11> || ||<-2> {{{#c339f6 에픽}}} ||<-2> 0.1 ||<-11> || ||<-2> {{{#efcd45 전설}}} ||<-2> 0.1 ||<-11>다음 공격 {{{#6a615d 3회}}} 마다 추가피해 및 흡혈 || ||<-2> {{{#e8392c 유물}}} ||<-2> 0.1 ||<-11> || ||<-2> {{{#cbb6fa 신성}}} ||<-2> 0.1 ||<-11>스킬 대상 '''{{{#6a615d 모든 아군}}}'''(!)으로 확장 || ||<-4> '''{{{#cbb6fa 신성}}} ★★★ 스킬예시''' ||<-11> {{{#6a615d 모든 아군}}} 공속 {{{#959EA2 10%}}} 증가[br]스킬파워x0.95 공격력 증가[br]다음 {{{#6a615d 3회}}} 공격에 스킬파워x{{{#6a615d 1.55}}} 추가피해 및 흡혈 || || || || || || || || || || || || || || || || || 후반까지는 아예 힐 없이 가도 될 정도의 상당한 흡혈량이 추가된다. 여기에, 추가피해가 한시적이라고는 하나 막상 {{{#efcd45 전설}}} 등급을 넘어서면 3회 때리고 다시 스킬 발동할 정도가 되기 때문에 사실상 고정 추가피해로 봐도 무방하다. {{{#cbb6fa 신성}}}에 이르면 인접 버프가 아니라 파티 전체 버프로 바뀌며, 이 시점에서 야라는 아무리 낮게 잡아줘도 전설 영웅들 이상의 하드캐리력을 보유하게 된다. 단일 대상 딜링 능력을 기준으로 22년6월 현재 최강으로 평가되는 영웅은 {{{#efcd45 한소}}}와 마법아이템을 갖춘 {{{#58a8f8 라리엘}}} 정도를 꼽을 수 있는데, 마법템 야라는 스킬 1~2회에 가감없이 '''"파티 전체를 라리엘과 한소로 바꿔준다."''' === {{{#58a8f8 희귀 등급}}} === || '''영웅''' || 진영 || 직종 || 공격형태[br]사거리 || 스킬발동 || 스킬형태[br]스킬개요 || 스킬 대상[br]사거리 & 범위 || || '''구이스카르다'''[* Guiscarda '''귀스칼다'''] || {{{#81d346 짐승}}} || {{{#a3f3f4 비행사}}} || 근접[br]1 || 액티브 || 3연 강화 평타[br]평타시 회복 3회 || 공격 대상[br]1 & 1유닛 || || '''그라오울리'''[* Graoully '''그라울리''' 정도가 맞다.] || {{{#a8211a 악마}}} || {{{#f5c187 수호자}}} || 근접[br]1 || 액티브 || 도발[br]회복 || 자신 및 인접 위치[br]1 & 8칸 || || '''라리엘''' || {{{#f2a7d1 엘프}}} || {{{#4884f5 궁수}}} || 원거리[br]4/5 || 액티브 || 스킬피해 투사체 || 현재 전투력 가장 높은 적[br]8 & 1유닛 || || '''부르봉'''[* Bourbon '''버번''' 불어 원형이 부르봉] || {{{#81d346 짐승}}} || {{{#c79231 주술사}}} || 근접[br]1 || 액티브 || 광역 스킬피해[br]방어력 절취 중첩 || 인접 위치 [br]1 & 8칸 || || '''블레어''' || {{{#8e5ff6 방랑자}}} || {{{#fbe886 성직자}}} || 원거리[br]3/4 || 액티브 || 4연쇄 회복 투사체 || 체력 최저 아군으로부터 연쇄[br]8 || || '''빈치''' || {{{#ee7a2f 드워프}}} || {{{#e1413f 전사}}} || 근접[br]1 || 액티브 || 소환물[br][[낙뢰]]발생기[* 마나가 있으며, 빠르게 차올라 스킬 시전] 설치 || 단일대상[* 빈치와 제우스만 사용하는 낙뢰는 사거리 개념 없이 유닛 대상으로 시전][br]랜덤 위치 || || '''아즈라엘''' || {{{#cfcfcf 언데드}}} || {{{#ea6437 학살자}}} || 근접[br]1 || 패시브 || 모든 평타에[br]흡혈 || 공격 대상[br]1 & 1유닛 || || '''안젤리아''' || {{{#eed246 제국}}} || {{{#ea6437 학살자}}} || 근접[br]1 || 액티브 || 스킬피해[* ][br]단일대상 [[궤도 폭격|계기폭격]] || 공격 대상[br]1 & 1유닛 || || '''알리''' || {{{#8b5335 부족}}} || {{{#e1413f 전사}}} || 근접[br]1 || 액티브 || 광역 스킬피해[br]2초간 회피 || 자신 및 인접 위치[br]1 & 8칸 || || '''알타이르''' || {{{#60ce70 파충류}}} || {{{#57bcbc 도둑}}} || 근접[br]1 || 액티브 || 광역 스킬피해[br]2초간 은신 || 자신 및 인접 위치[br]1 & 8칸 || || '''이마르''' || {{{#3644ca 원소}}} || {{{#eb49de 마법사}}} || 근접[br]1 || 액티브 || 광역 동결[br]보호막 || 자신 및 인접 위치[br]1 & 8칸 || || '''인그리드''' || {{{#eed246 제국}}} || {{{#c79231 주술사}}} || 근접[br]1 || 액티브 || 광역 스킬피해[br]2초간 무적 || 자신 및 인접 위치[br]1 & 8칸 || || '''하즈레드''' || {{{#cfcfcf 언데드}}} || {{{#a8249c 흑마법사}}} || 원거리[br]2/3 || 액티브 || 소환수[br]데다이트[* Deadite] || 인접 위치[br]데다이트 근접 공격 || || '''호메르'''[* Homer '''호머'''] || {{{#3f8228 식물}}} || {{{#4884f5 궁수}}} || 원거리[br]8[* 필드 전체를 커버하므로 호머 위치 고정] || 액티브 || 소환수[br]시들링[* Seedling;미니호머][* 본체와 동일하게 위치 고정] || 인접 위치[br]시들링 사거리 8 || ==== {{{#58a8f8 라리엘}}} ==== ||<-2> '''진영''' ||<-2> '''클래스''' ||<-2> '''공격''' ||<-4> '''사거리''' {{{-3 ★/★★/★★★/《★》}}} ||<-2> '''공격속도''' ||<-3> '''방어 / 마저''' || ||<-2> {{{#f2a7d1 엘프}}} ||<-2> {{{#4884f5 궁수}}} ||<-2> 원거리 ||<-4> 4/5/5/5 ||<-2> 1.3 ||<-3> 0 / 10 || ||<-4> '''스킬명''' ||<-4> '''스킬유형''' ||<-5> '''대상''' ||<-2> {{{-2 '''스킬사거리'''}}} || ||<-4> 명중[br]Bullseye ||<-4> Active[br]On Next Hit ||<-5> 현재 가장 위험한 적 한 명[* 기준 불명. 실상 전투력 기준이 아니다. 오히려 부족 버프 우선권과 유사한 것으로 추정.] ||<-2> {{{#959EA2 8}}} || ||<-9> '''스킬 특수효과''' ||<-4> {{{-1 '''스킬계수'''}}} {{{-3 ★/★★/★★★/《★》}}} ||<-2> '''스킬범위''' || ||<-9> 단일 대상 스킬피해 투사체 ||<-4> 7.7/11/13.5/14.2 ||<-2> 1유닛 || || || || || || || || || || || || || || || || || I. 개요 '''최강의 스나이퍼''' 22년6월 현재, 단일 대상 딜링 능력으로는 등급의 한계를 뛰어넘어 ''''그'''' {{{#efcd45 한소}}}와 함께 수위를 다투는 엘프 궁수 라리엘이다. 한소를 제외하고 다른 강력한 근접 평타 딜러들과 비교했을 때 공속은 밀리고, 평타 데미지 자체는 비슷한 수준이지만, 보다시피 정신나간 스킬계수로 발사되는 저격 스킬이 모든 것을 커버하면서 최상급 킬캐치 능력을 자랑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마법 아이템을 갖추기 전까지는 의외로 DPS 자체는 높지 않다. 특히나 22년5월 패치 이전에는 스킬 발동에 선딜이 무지하게 길어서[* 과장 좀 보태서 거의 발동에 1초 쯤 걸리는 수준이었다. 현재는 즉발형으로 조금 나아진 상태] 기껏 스킬에너지 채워놓고 쏘지도 못하고 나가떨어지는 경우도 다반사였다. 현재는 그나마 평캔 수준의 즉발성 선딜로 줄어들면서 DPS가 훨씬 좋아진 상태.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딜 측면에서 강점을 가지는 영웅은 아니다. 다시 강조하지만 라리엘의 성능은 체력, 방어력, 마저 등의 버프를 받고 있는 {{{#efcd45 붓쳐}}}나 {{{#c339f6 리코}}} 정도의 최상위 탱커들조차 동성장이라는 가정 하에 스킬 단 한 방으로 잡아낼 수 있는 '''[[저격수|스나이핑 능력]]'''에 모두 담겨져 있다. I. 활용 스킬계수를 간단히 살펴보면 알 수 있지만, 라리엘이 가장 강력한 시점은 2성일 때다. 이 때에 한해 타 영웅의 추종을 불허하는 단일 대상 스킬 데미지로, 동성장 시 순수 스킬 데미지와 체력/방어/마저를 계산했을 때 '''스킬 1격에 저격 불가능한 2성 이하 영웅이 아예 없다'''. 다만, 게임 특성상 같은 영웅을 상대할 수밖에 없으므로 반대로 생각해보면 사기적인 스킬계수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밸런스를 유지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먼저 3성을 만들거나, 체력/방어/마저 계열 버프를 덕지덕지 두르게 되면 비록 실피일지라도 버티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 그리고 저격 스킬에 성능이 몰빵된 특성상 하나를 보내지 못하면 DPS에서 밀리기 때문에 해당 라운드에서 불리한 구도가 펼쳐지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 된다. A. 조합 시너지 i. {{{#8b5335 부족}}} i. {{{#98c842 야라}}} i. {{{#eb49de 마법사}}} i. {{{#c79231 주술사}}} {{{#f2a7d1 엘프}}}와 {{{#4884f5 궁수}}} 조합의 필수인 것은 당연하므로 이외 조합에 있어, i의 경우 부족버프 수혜자로 중후반까지 하드캐리를 담당할 수 있다. 심지어 {{{#58a8f8 알리}}}, {{{#c339f6 네로}}}, {{{#c339f6 클리오}}}를 넘어서는 희귀 등급 최강의 부족버프 우선권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라리엘이 잘 성장한 하드캐리 판에서는 다른 영웅이 부족버프를 뺏지 않도록 영웅 픽에 조심할 필요가 있다. 부족 버프 우선권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 참조. 다만 이 경우도, 자연스럽게 조합하게 될 {{{#c339f6 실비아}}}가 나오는 순간 우선권을 줘야 하기 때문에 아예 끝까지 밀고 나갈 수 있는 전술은 아니다. 부족버프를 줄 수 없을 경우 야라의 공속 버프는 차선책이며, 저격 스킬에 대한 iii과 iv의 시너지를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다. A. 카운터 i. {{{#58a8f8 라리엘}}} i. {{{#c339f6 클리오}}} i. {{{#a3f3f4 비행사}}} i. 아라크네 당연하게도 라리엘 스스로가 저격 대상일 확률도 높아서 미러전이 나올 경우 어떤 방법으로든 스킬을 먼저 쏘는 쪽이 라운드를 가져갈 가능성이 높다. 또한 버퍼 계열들과 마찬가지로, 공속은 느리고 평타 한 방, 한 방 및 스킬 한 방에 DPS가 결정되는 특성상 4비행사 조합에게 극히 취약하다. 후술하겠지만 비슷한 계열의 {{{#c339f6 아르테미스}}}와 함께 후반 4비행사 조합을 만나면 정말 아무것도 안 하고 가만히 있는 고구마 그녀들을 만날 수 있다. I. 마법아이템 ||<-15> '''명칭''' || ||<-15> 나이팅게일 휘파람 활[br]Nightingale Whistle Bow || ||<-2> '''변화유형''' ||<-5> Passive 스킬 추가[br]3타 > 모든 평타 확률 ||<-3> '''생성 특수효과''' ||<-5> 추가피해[br]마나 충전 || ||<-2> '''등급별''' ||<-2> {{{-3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추가 스킬계수'''}}}}}} ||<-11> '''상세''' || ||<-2> {{{#b6b6b6 일반}}} ||<-2> -5.4 ||<-11>{{{#6a615d 3번째}}} 공격 마다 추가피해 || ||<-2> {{{#98c842 고급}}} ||<-2> 0.5 ||<-11> || ||<-2> {{{#58a8f8 희귀}}} ||<-2> 0.5 ||<-11> || ||<-2> {{{#c339f6 에픽}}} ||<-2> 0.5 ||<-11> || ||<-2> {{{#efcd45 전설}}} ||<-2> ||<-11>{{{#6a615d 3번째}}} 공격 마다 {{{#6a615d 30}}}에너지 회복 || ||<-2> {{{#e8392c 유물}}} ||<-2> 0.5 ||<-11> || ||<-2> {{{#cbb6fa 신성}}} ||<-2> ||<-11>모든 평타 {{{#959EA2 60%}}} 확률로 추가 피해 및 {{{#6a615d 40}}}에너지 회복|| ||<-4> '''{{{#cbb6fa 신성}}} ★★★ 스킬예시''' ||<-11> Active 현재 가장 위험한 적 1에[br]스킬파워x13.5의 스킬피해 사격[br]Passive 모든 평타 {{{#959EA2 60%}}} 확률로[br]스킬파워x10.1의 추가피해 및 {{{#6a615d 40}}} 마나 충전 || || || || || || || || || || || || || || || || || === {{{#c339f6 에픽 등급}}} === || '''영웅''' || 진영 || 직종 || 공격형태[br]사거리 || 스킬발동 || 스킬형태[br]스킬개요 || 스킬 대상[br]사거리 & 범위 || || '''네로''' || {{{#8e5ff6 방랑자}}} || {{{#eb49de 마법사}}} || 원거리[br]3/4 || 액티브 || 소환수[br]노벨(!) || 인접 위치[br]노벨 항목 참조 || || '''리코''' || {{{#3f8228 식물}}} || {{{#f5c187 수호자}}} || 근접[br]1 || 액티브 || 광역 스킬피해[br]광역 힐 || 자신 및 인접 위치[br]1 & 8칸 || || '''모드레드''' || {{{#a8211a 악마}}} || {{{#e1413f 전사}}} || 근접[br]1 || 액티브 || 3초간 물방마방 50증가[br]광역 스킬피해 || 자신 및 인접 위치[br]1 & 8칸 || ||<|2> '''스마우그''' ||<|2> {{{#cfcfcf 언데드}}} ||<|2> {{{#a3f3f4 비행사}}} ||<|2> 근접[br]1 || 액티브[br]On Next Hit || 광역 스킬피해 ||<|2> 공격 대상 및 대상 인접 위치[br]1 & 8칸 || || 패시브 || 자신을 공격하는 유닛 마나번 || || '''실비아''' || {{{#f2a7d1 엘프}}} || {{{#57bcbc 도둑}}} || 원거리[br]4/5 || 액티브 || 광역 스킬피해 투사체[br]광역 마나번 || 공격 대상 및 대상 인접 위치[br]4/5 & 9칸 || || '''아르테미스''' || {{{#eed246 제국}}} || {{{#4884f5 궁수}}} || 원거리[br]3/4 || 액티브 || 광역 스킬피해 투사체[br]광역 일시침묵[* 스킬발동 저지 측면에서 도발과 유사하다.] || 공격 대상 및 대상 인접 위치[br]3/4 & 9칸 || || '''코르마크'''[* Cormac 코맥] || {{{#ee7a2f 드워프}}} || {{{#c79231 주술사}}} || 근접[br]1 || 액티브 || 소환물 '''힘의 토템'''[br]토템 인접 초당 광역 스킬피해 || 설치규칙 불명[br]1 & 8칸 || ||<|2> '''클리오''' ||<|2> {{{#a8211a 악마}}} ||<|2> {{{#eb49de 마법사}}} ||<|2> 원거리[br]4/5 || 액티브 || 스킬피해 투사체[br]1.5초 기절 ||<|2> 현재 전투력 가장 높은 적[br]8 & 1유닛 || || 패시브 || 막타 시 풀마나[* 즉, 궁쿨 초기화] || || '''타우루스''' || {{{#81d346 짐승}}} || {{{#f5c187 수호자}}} || 근접[br]1 || 액티브[br]On Next Hit || 광역 스킬피해[br]광역 기절 || 공격 대상 및 대상 인접 위치[br]1 & 8칸 || || '''토르툴루스''' || {{{#60ce70 파충류}}} || {{{#fbe886 성직자}}} || 원거리[br]3 || 액티브 || 광역 힐 || 자신중심 반경 4[br]9x9칸[* 즉 사실상 세로로는 모든 범위, 가로로는 가운데 2줄에 위치할 경우 경우 모든 맵을 커버한다는 얘기다.] || {{{#efcd45 전설}}} 등급과 함께 {{{#cbb6fa 신성}}} 장비 착용이 가능한 하한 등급으로서, 즉 기본 능력치에 비해 장비빨을 잘 받는 고성능 영웅들로 설명할 수 있겠다. 여러 영웅 중 손에 꼽을 정도인 아래 등급의 OP급 영웅들에 비해, 본격적으로 {{{#c339f6 에픽}}}영웅부터 성장시켰을 경우 전반적으로 어떤 에픽이든 충분히 하드캐리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막상 전략적인 레벨업 선택에서 많은 경우 배제되기도 쉬운 등급이다.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이, 코인은 전설에 육박하는 4코인을 먹으면서 확실한 상위호환이 전설 등급에 존재한다면 레벨업뿐만 아니라 심지어 배틀 중에도 합성하여 확실하게 성장시키는 것이 고민되는 일이기 때문. 같은 논리로 바로 아래 등급인 {{{#58a8f8 희귀}}}영웅들의 가성비가 또한 우수하기 때문에 위아래로 치이는 등급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그렇기 때문에 진영이나 클래스에 따라 에픽 등급의 영웅이 최종 등급일 경우 확실한 성장 및 활용 대상이 된다는 점 또한 분명하다. ==== {{{#c339f6 아르테미스}}} ==== ||<-2> '''진영''' ||<-2> '''클래스''' ||<-2> '''공격''' ||<-4> '''사거리''' {{{-3 ★/★★/★★★/《★》}}} ||<-2> '''공격속도''' ||<-3> '''방어 / 마저''' || ||<-2> {{{#eed246 제국}}} ||<-2> {{{#4884f5 궁수}}} ||<-2> 원거리 ||<-4> 3/4/4/4 ||<-2> 1.6 ||<-3> 5 / 20 || ||<-4> '''스킬명''' ||<-4> '''스킬유형''' ||<-5> '''대상''' ||<-2> {{{-2 '''스킬사거리'''}}} || ||<-4> 여신의 분노[br]Wrath of the Goddess ||<-4> Active ||<-5> 공격대상 및 대상 인접 8칸 ||<-2> 3/4/4/4 || ||<-9> '''스킬 특수효과''' ||<-4> {{{-1 '''스킬계수'''}}} {{{-3 ★/★★/★★★/《★》}}} ||<-2> '''스킬범위''' || ||<-9> 광역 스킬피해[br]'''{{{#959EA2 3초}}}''' 광역 스킬사용 저지[* 도발과 같은 효과이나 원거리 유닛인 관계로 어그로를 끌어 타겟팅까지 바꾸진 않는다.] ||<-4> 1.75/1.85/1.95/1.95 ||<-2> 3 x 3 칸 || || || || || || || || || || || || || || || || || === {{{#efcd45 전설 등급}}} === || '''영웅''' || 진영 || 직종 || 공격형태[br]사거리 || 스킬발동 || 스킬형태[br]스킬개요 || 스킬 대상[br]사거리 & 범위 || || '''메리''' || {{{#eed246 제국}}} || {{{#fbe886 성직자}}} || 원거리[br]3 || 액티브 || 광역 힐[br]광역 스킬피해 || 자신중심 반경 2[br]5x5칸 || || '''붓쳐'''[* Butcher 도살자(백정)] || {{{#cfcfcf 언데드}}} || {{{#f5c187 수호자}}} || 근접[br]1 || 액티브 || 광역 스킬피해[br]광역 체력절취 || 자신 및 인접 위치[br]1 & 8칸 || || '''션롱'''[* Shenlong 셴롱 즉, 발음상 우리 한자 신룡(神龍)에 해당하는 북경어 발음이 잘못 음차되어 있다.] || {{{#60ce70 파충류}}} || {{{#a3f3f4 비행사}}} || 원거리[br]3/4 || 액티브[br]Active to Passive || 드래곤 변신[* 변신 중 무적, 변신 후 증가된 체력 완전회복][br]모든 평타 스킬피해 동반[br]근접 광역딜로 전환 || 자신 / 공격대상[br]1 & 8칸 || || '''제우스''' || {{{#ee7a2f 드워프}}} || {{{#eb49de 마법사}}} || 원거리[br]4/5 || 액티브 || 광역 스킬피해[br]적 전체[* 소환수, 소환물 포함] [[낙뢰]]: 0.75초 기절 || 적 전체 개별[* 즉, 이론상 타격범위는 최대 31유닛] || || '''타나토스''' || {{{#a8211a 악마}}} || {{{#ea6437 학살자}}} || 근접[br]1 || 액티브 || 클론 소환[br]본체 포함 최대 3명[* 다만, 클론이므로 본체가 따로 없이 완전히 동일한 개체이기에 그중 누가 다시 소환하든 같은 타나토스가 소환된다.] || 자신 인접 위치[br]1 || || '''텐구스''' || {{{#81d346 짐승}}} || {{{#a8249c 흑마법사}}} || 원거리[br]3/4 || 액티브 || 광역 스킬피해 '''2회'''[br]1초 기절 '''2회'''[* 2틱 사이 딜레이가 존재한다. 텐구스의 치명적인 약점.] || 공격대상중심 반경 1[br]3x3칸 || || '''한소'''[* 유래는 당연히 [[핫토리 한조|닌자의 대명사]]] || {{{#8e5ff6 방랑자}}}|| {{{#e1413f 전사}}} || 근접[br]1 || 액티브 || 광역 공격력강화 중첩[br]2초간 '''광역''' 은신 || 자신 및 인접 위치[br]1 & 8칸 || '''최종결전병기''' 최고등급으로서 장비빨부터가 쩔어주니 기본 능력치들도 어마어마 하면서, 문자 그대로 '''단독으로 전황 자체를 뒤집을 수 있는''' 사기적인 스킬로 무장했다 보니, 사용하는 경우든 상대하게 되는 경우든 절로 최종결전병기들이라는 평가가 나올 수밖에 없다. 한 마디로 [[하드캐리]] 머신들. 물론, 그렇다고 전설등급만 믿으면 역으로 전설등급이 제대로 활약하기 전에 봉인당하거나 하는 식으로 잘려버려서 어이없이 패배할 수도 있다. 영웅 등장 확률 자체가 쨋든 운빨의 영역이기에 열에 한 게임은 전설이 죽자고 나오지 않는 판도 있을 수밖에 없는데, 이 때 몇 가지 대응방법이 분명히 있다. 마나번이라든가, 3식4힐 좀비조합이라든가... 요컨대 최종결전병기이긴 하지만, 전술된 대응법을 역으로 당할 경우 그만큼 코인 소모도는 높으면서 캐리력이 상쇄되기 때문에 무작정 전설만 보고 운영하다가는 일찌감치 패배할 수도 있다. ==== {{{#efcd45 메리}}} ==== ||<-2> '''진영''' ||<-2> '''클래스''' ||<-2> '''공격''' ||<-4> '''사거리''' {{{-3 ★/★★/★★★/《★》}}} ||<-2> '''공격속도''' ||<-3> '''방어 / 마저''' || ||<-2> {{{#eed246 제국}}} ||<-2> {{{#fbe886 성직자}}} ||<-2> 원거리 ||<-4> {{{#959EA2 3}}} ||<-2> 1.2 ||<-3> 5 / 40 || ||<-4> '''스킬명''' ||<-4> '''스킬유형''' ||<-5> '''대상''' ||<-2> {{{-2 '''스킬사거리'''}}} || ||<-4> [[성전]][br]Holy Crusade ||<-4> Active ||<-5> 자신 포함 반경 2칸 ||<-2> {{{#959EA2 2}}} || ||<-9> '''스킬 특수효과''' ||<-4> {{{-1 '''스킬계수'''}}} {{{-3 ★/★★/★★★/《★》}}} ||<-2> '''스킬범위''' || ||<-9> 광역 스킬피해[br]광역 회복 ||<-4> 1.1/1.25/1.5/1.65 ||<-2> 5 x 5 칸 || || || || || || || || || || || || || || || || || ==== {{{#efcd45 제우스}}} ==== ||<-2> '''진영''' ||<-2> '''클래스''' ||<-2> '''공격''' ||<-4> '''사거리''' {{{-3 ★/★★/★★★/《★》}}} ||<-2> '''공격속도''' ||<-3> '''방어 / 마저''' || ||<-2> {{{#ee7a2f 드워프}}} ||<-2> {{{#eb49de 마법사}}} ||<-2> 원거리 ||<-4> 4/5/5/5 ||<-2> 1.2 ||<-3> 0 / 45 || ||<-4> '''스킬명''' ||<-4> '''스킬유형''' ||<-5> '''대상''' ||<-2> {{{-2 '''스킬사거리'''}}} || ||<-4> [[뇌신]][br]Thunderer ||<-4> Active ||<-5> 적 전체 개별 ||<-2> {{{#959EA2 8}}}[* 사실상 사거리 개념이 없다.] || ||<-9> '''스킬 특수효과''' ||<-4> {{{-1 '''스킬계수'''}}} {{{-3 ★/★★/★★★/《★》}}} ||<-2> '''스킬범위''' || ||<-9> 광역 스킬피해[br]'''{{{#959EA2 0.75초}}}''' 광역 기절 ||<-4> 1.2/1.35/1.5/1.55 ||<-2> 31유닛 || || || || || || || || || || || || || || || || || I. 개요 '''필드지우개''' 스킬은 '''맵 전체'''의 적을 공격하고 0.75초간 기절시키는 '뇌신'. 상기된 스킬피해량 공식이 출시 이후 세 번이나 '''너프'''만 진행된 것인데도, 아직도 어이털리는 화력을 자랑한다.[* 초창기에는 아예 1성 제우스가 뜨는 순간 배틀이 끝나는 수준이었다...] 잘 큰 제우스를 적으로 만나면, 제우스가 스킬을 발동한 순간 필드가 청소되어 있는 꼴을 구경할 수 있을 정도. I. 활용 드워프 진영이므로 1.5초 무적 효과[* 4드 시 2초]를 받고 있을 확률도 높은데다 의외로 전투력 및 DPS 자체는 높지 않은 관계로 어지간히 위치가 잘못되지 않은 이상 학살자의 공격대상이 될 확률도 낮아서 빠르게 잘리는 일도 거의 없다. 게다가 광역 딜링능력을 지닌 영웅 중에서 유일한 마법사이기에 법사 하나만 더해줘도 마법사 클래스 버프인 마나 부스트를 누릴 수 있다. 사실 드워프 진영보너스같은 소소한 장점들은 차치하고 제우스의 핵심은 술사버프와 함께라면 스킬이 발동하는 순간 필드가 쓸려나가는 정신나간 데미지이며, 두 번째가 맵 전체 스턴이다. 4~6법 이상을 갖춘다면 술사 없이도 그냥 무한 번개-스턴 반복을 시전할 수도 있다. 가끔, 3성 제우스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2성 제우스와 1성 제우스가 필드든 대기석이든 같이 있을 경우가 있는데, 경우에 따라 3성 제우스보다 각각의 1,2성 제우스를 동시에 필드에 사용하는 것이 훨씬 좋을 때도 있다. 상대에게, 하술될 카운터인 마방이나 힐 또는 흡혈 등이 빵빵하게 갖춰졌을 경우인데, 이 경우 데미지 보다는 둘 사이 사거리에 의한 마나 충전 속도 차이를 이용, 스턴을 더 자주 먹이는 것이 상대 힐과 흡혈 방해의 측면에서 월등히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마나부스트 때문에 법사가 최소 한 명은 더 있어야 하니, 다른 조합을 어느 정도 포기하고 3법사 이상을 사용하게 된다.] A. 조합 시너지 i. {{{#eb49de 마법사}}} i. {{{#c79231 주술사}}} i. {{{#eed246 제국}}} i. {{{#cfcfcf 언데드}}} 다만, 스킬이 너무나 절대적인 효과를 자랑하다 보니 마나부스트가 동일할 경우 스킬 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긴 하다. 즉, 법사로서 유리한 것이 사실이지만 다른 광역계열 영웅과 마찬가지로 마나부스트가 '''필수'''인 것이나 다름 없다. iii과 iv의 경우 모든 광역 딜러들이 선호하는 체력 디버프 효과들이기에 혹 제우스가 고작 1성에 머무르더라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게 하며, 잘 큰 제우스라면 확정적으로 지우개를 시전할 수 있는 조합들이다. 특히 각각 {{{#b6b6b6 마릴린}}}과 {{{#98c842 사다코}}}라는 법사를 하나씩 포함하고 있으므로 마나부스트를 챙기기도 용이하다. A. 카운터 i. {{{#fbe886 성직자}}} i. {{{#f2a7d1 엘프}}} i. {{{#98c842 사다코}}} 카운터는 모든 액티브스킬의 천적인 '''침묵'''기 또는 엘프 진영 보너스를 이용한 '''마나번''', 성직자 직업 버프를 통한 '''마방'''증가 정도가 있다. 침묵의 경우 근접에만 해당하는 티타니아나 일시 저지하는 그라오울리, 아르테미스보다는 언데드 마법사 '''사다코의 소환수'''가 대표적이다. 일단 한 방 맞아줘야 한다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사망시 자신을 죽인 적에게 영속 침묵을 거는 사다코의 소환수는 2발째 뇌신은 확실히 막아주기 때문에 뇌신 연타로 게임이 터지는 건 막아줄 수 있다. 엘프 마나번에 대해서는 엘프 진영 정보 참조. 가장 확실한 것은 제우스의 성급에 맞춰서 성직자를 다수 보유하는 것이다. 다만 3성 이상으로 빵빵하게 성장한 제우스는 카운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는 게 맞다. 충분히 잘 성장한 4성직자 이상으로 마방을 엄청나게 올려두지 않는 한[* 4성직자를 갖춘다 함은 파티 전체 DPS를 심각하게 포기한다는 얘기다. 물론, HPS가 높겠지만 역으로 4전사 조합이나 4학살자 조합의 무시무시한 단체 연속 누킹에 HPS가 밀리기 십상이라는 [[가위바위보]] 상성을 잊지 말자. 게다가 예컨대 3식4힐 식의 좀비 조합의 경우, 50라운드까지 게임이 안 끝나는 불상사도 생긴다. 내가 버티는 건 좋은데, 상대를 녹일 딜도 없기 때문이다.], 첫 번째 번개가 치는 순간 필드가 거의 무조건 지워지기 때문에 일단 사다코가 카운터에서 탈락해버리며, 진영의 후방에 있는 제우스를 맞출 수 있는 원거리 침묵기 유닛이 있다 해도, 그 유닛이 제우스가 스킬을 쏘기 전에 제우스에게 침묵을 걸어주느냐는 또 다른 문제이기 때문에 확실한 카운터가 되지 못한다는 문제도 있다. 엘프의 마나번은 꽤 유용하기는 하지만, 한 라운드 내내 스킬을 전혀 쓰지 못할 정도로 완봉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보니 한 번은 번개가 떨어질 테고, 그러면 쓸려나간다. 그나마 유일하게 효과가 흔들리지 않는 건 성직자 진영보너스를 통한 마방증가+다수의 힐러를 이용한 회복능력으로 버티기이긴 한데, 3성 제우스에 필요한 20코인 이내에 진영보너스와 힐러를 모두 갖추는 쪽이 훨씬 더 어려우며, 어찌저찌 마방을 갖춰도 성급이 낮은 영웅이 1격에 날아가버리는 결과는 변함이 없다. 결국 상대 필드에 제우스가 나오면 부디 성급이 성장하지 않기를 빌면서 평소 잘 쓰지 않더라도 울며 겨자먹기로 성직자들을 부랴부랴 영입해야 하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 I. 마법아이템 ||<-15> '''명칭''' || ||<-15> 망치 묠니르[br]Mjolnir Hammer || ||<-2> '''변화유형''' ||<-5> Passive 스킬 추가 ||<-3> '''생성 특수효과''' ||<-5> '''침묵에 면역'''[br]평타마다 [[체인 라이트닝|연속 번개]] 확률 시전[br]적중 시 기절 || ||<-2> '''등급별''' ||<-2> {{{-3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추가 스킬계수'''}}}}}} ||<-11> '''상세''' || ||<-2> {{{#b6b6b6 일반}}} ||<-2> -0.5 ||<-11>침묵에 면역 부여[br]공격 시 {{{#6a615d 20%}}} 확률로 적 {{{#6a615d 2명}}}에게 연속 번개 시전 || ||<-2> {{{#98c842 고급}}} ||<-2> 0.2 ||<-11> || ||<-2> {{{#58a8f8 희귀}}} ||<-2> ||<-11>공격 시 {{{#6a615d 25%}}} 확률로 적 2명에게 연속 번개 시전 || ||<-2> {{{#c339f6 에픽}}} ||<-2> 0.3 ||<-11> || ||<-2> {{{#efcd45 전설}}} ||<-2> ||<-11>연속 번개 적중 시 {{{#6a615d 0.5초}}} 기절 || ||<-2> {{{#e8392c 유물}}} ||<-2> ||<-11>공격 시 {{{#6a615d 30%}}} 확률로 적 2명에게 연속 번개 시전 및 적중 시 {{{#6a615d 1초}}} 기절 || ||<-2> {{{#cbb6fa 신성}}} ||<-2> ||<-11>적 {{{#6a615d 3명}}}에게 연속 번개 시전 || ||<-4> '''{{{#cbb6fa 신성}}} ★★★ 스킬예시''' ||<-11> '''침묵에 면역'''[br]Active 스킬파워x1.5 데미지로 적 전체에 낙뢰 및 {{{#959EA2 0.75초}}} 기절[br]Passive 평타 시 {{{#6a615d 30%}}} 확률로 적 {{{#6a615d 3명}}}에게[br]스킬파워x1.5 데미지 및 {{{#6a615d 1초}}} 기절의 연속 번개 시전 || || || || || || || || || || || || || || || || || 마법아이템은 묠니르. 그 [[묠니르]]다.[* [[북구 신화]]의 [[토르]]와 [[그리스 신화]] 및 [[로마 신화]]의 [[제우스]], 혹은 [[주피터]]는 종종 동일시되는 경우도 있었다.] 마법아이템이 높은 확률로 해당 영웅을 OP급으로 올려놓지만, 제우스의 경우 할 말을 잃게 만드는데, 부가 지속효과는 차치하고 무려 '''"침묵에 면역"'''이 된다. 게다가 패시브로 평타마다 20/-/25/-/-/30%/-의 확률로 [[체인 라이트닝]]을 발동하는데, 이 데미지가 무기 레벨이 낮은 처음엔 깎인 스킬계수로 계산되다가 {{{#c339f6 에픽}}} 등급에 이르면 원래 뇌신 낙뢰 데미지와 일치하게 되며, 스턴은 {{{#e8392c 유물}}} 등급 이후로 더 길게 걸어서, 높은 확률로 DPS와 공격적 유틸리티조차 X사기 반열에 올라선다. {{{#cbb6fa 신성}}}으로 업그레이드 시 체인 라이트닝은 2연쇄에서 3연쇄로 늘어난다. 아직 상대로 나오는 AI 봇들에게 마법아이템이 적용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다행일 정도... ==== {{{#efcd45 텐구스}}} ==== ||<-2> '''진영''' ||<-2> '''클래스''' ||<-2> '''공격''' ||<-4> '''사거리''' {{{-3 ★/★★/★★★/《★》}}} ||<-2> '''공격속도''' ||<-3> '''방어 / 마저''' || ||<-2> {{{#81d346 짐승}}} ||<-2> {{{#a8249c 흑마법사}}} ||<-2> 원거리 ||<-4> 3/4/4/4 ||<-2> 1.3 ||<-3> 0 / 100 || ||<-4> '''스킬명''' ||<-4> '''스킬유형''' ||<-5> '''대상''' ||<-2> {{{-2 '''스킬사거리'''}}} || ||<-4> 저주의 비[br]Cursed Rain ||<-4> Active ||<-5> 공격대상 및 대상 인접 8칸 ||<-2> 3/4/4/4 || ||<-9> '''스킬 특수효과''' ||<-4> {{{-1 '''스킬계수'''}}} {{{-3 ★/★★/★★★/《★》}}} ||<-2> '''스킬범위''' || ||<-9> 광역 스킬피해 {{{#959EA2 2회}}}[br]'''{{{#959EA2 1초}}}''' 광역 기절 {{{#959EA2 2회}}} ||<-4> 0.75/0.95/1.2/1.3 ||<-2> 3 x 3 칸 || || || || || || || || || || || || || || || || || == 진영 == == 클래스 == == 컨텐츠 == === 주간 === ==== 던전 ==== === 격주 주간 === ==== 시간의 균열 ==== === 상시 === ==== 여정 ==== == 이벤트 == === 주간 === ==== 진영 전쟁 ==== === 격주 주간 === ==== 힘의 숨결 ==== ==== 대장장이의 선물 ==== ==== 행운의 룰렛 ==== ==== 장인의 두루마리 ==== ==== 비밀의 후원자 ==== ==== 경이의 상단 ==== === 격주간 === ==== "전쟁군주"의 길 & 너그러운 잔치 ==== === 월간 === ==== 체스패스 ==== == 대장간 == '''{{{#b6b6b6 일반}}}''' |||| 모험가세트[br]공격력+2.5%[br]체력+2.5% || || 모험가 모자 || 체력+///42/47[br]스킬파워+///8/9 || || 모험가 재킷 || 체력+///84/95 || || 모험가 정강이받이 || 체력+///42/47[br]공격력+///8/9 || || 모험가 -악세- || 스킬파워+////19 || || 모험가 -무기- || 공격력+////19 || || 모험가 -반지- || 스킬파워+///8/9[br]공격력+///8/9 || '''{{{#98c842 고급}}}''' 일반40고급30 || 세트효과 |||| 사냥꾼세트[br]공격력+5.3%[br]스킬파워+5.3% |||| 도둑 세트[br]체력+3.5%[br]방어력+4 || || 머리 || 사냥꾼 모자 || 체력+58/68/77//94[br]스킬파워+12/14/15//19 || 도둑 가면 || 70/82/93//체력+308[br]스킬파워+12/14/15// || || 몸통 || 사냥꾼 코트 || 체력+116/135/154//188 || 도둑 튜닉 || 체력+140/163/186/206/ || || 다리 || 사냥꾼 부츠 || 체력+58/68///94[br]공격력+14/16///23 || 도둑 신발 || 체력+70/82/93/103/[br]공격력+12/14/15/17/ || || 장식 || 사냥꾼 시계 || 스킬파워+23/27/31//38 || 도둑의 펜던트 || 스킬파워+23/27/31// || || 무기 || 사냥꾼 석궁 || 공격력+28/33/37/41/46 || 도둑 단검 || 공격력+23/27/31/34/ || || 반지 || 사냥꾼 반지 || 스킬파워+12//15//19[br]공격력+14//19//23 || 도둑 반지 || 스킬파워+12/14/15//[br]공격력+12/14/15// || '''{{{#58a8f8 희귀}}}''' 일반40고급30 || 세트효과 |||| 분노 세트[br]공격력+5.7%[br]스킬파워+5.7% |||| 콜로서스 세트[br]체력+3.5%[br]방어력+4[br]마법저항력+1 || || 몸통 || 분노 망토 || 체력+263//// || || //// || || 무기 || || || 콜로서스 클리버 || 공격력+53//// || '''{{{#c339f6 에픽}}}''' 일반100고급70희귀45 || 세트효과 |||| 주술사 세트[br]공격력+6%[br]스킬파워+6% |||| 기사세트[br]체력+3.7%[br]방어력+4[br]마법저항력+1 || || 머리 || 주술사 정장모자 || 체력+260[br]스킬파워+52 || 기사 타륜 || 체력+308[br]스킬파워+52 || || 몸통 || 주술사 카프탄 || 체력+521 || 기사 보호구 || 체력+616 || || 다리 || 주술사 신발 || 체력+260[br]공격력+62 || 기사 부츠 || 체력+308[br]공격력+52 || || 장식 || 주술사 꼭두각시 || 스킬파워+104 || 기사의 메달리온 || 스킬파워+104 || || 무기 || 주술사 지팡이 || 공격력+123 || 기사 검 || 공격력+104 || || 반지 || 주술사 반지 || 스킬파워+52[br]공격력+62 || 기사 반지 || 스킬파워+52[br]공격력+52 || '''{{{#efcd45 전설}}}''' - 일반210고급120희귀80에픽55 || 세트효과 |||| 자연세트[br]공격력+6.3%[br]스킬파워+6.3% |||| 티몰레온세트[br]체력+3.7%[br]방어력+4[br]마법저항력+2 || || 머리 || 자연 케이프 || 체력+440[br]스킬파워+88 || 티몰레온 헬멧 || 체력+516[br]스킬파워+88 || || 몸통 || 자연 망토 || 체력+880 || 티몰레온 흉갑 || 체력+1031 || || 다리 || 자연 부츠 || 체력+440[br]공격력+103 || 티몰레온 무릎받이 || 체력+516[br]공격력+88 || || 장식 || 자연 참 || 스킬파워+176 || 티몰레온 토큰 || 스킬파워+176 || || 무기 || 자연 활 || 공격력+206 || 티몰레온 검 || 공격력+176 || || 반지 || 자연 반지 || 스킬파워+88[br]공격력+103 || 티몰레온 반지 || 스킬파워+88[br]공격력+88 || '''{{{#e8392c 유물}}}''' |||| 황제세트[br]체력+3.7%[br]방어력+4[br]마법저항력+3 || || 황제 왕관 || 체력+836[br]스킬파워+144 || || 황제 보호구 || 체력+1672 || || 황제 사바톤 || 체력+836[br]공격력+144 || || 황제 메달리온 || 스킬파워+288 || || 황제 망치 || 공격력+288 || || 황제 반지 || 스킬파워+144[br]공격력+144 || '''{{{#cbb6fa 신성}}}''' == 여담 == [[분류:오토배틀러]][[분류:체스 게임]][[분류:모바일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