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FFF 오토 올렌도르프의 주요직책}}}'''|| ||<#FFF,#191919><:>{{{#!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슈츠슈타펠/장성급 지휘관)]}}}|| ||||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올렌도르프1.jpg|width=100%]]}}}|||| ||<#666> {{{#FFF 이름}}} ||<(>'''Otto Ohlendorf'''[br] 오토 올렌도르프|| ||<#666> {{{#FFF 출생}}} ||<(>[[1907년]] [[2월 4일]], [[독일 제국]] 호엔에겔센 || ||<#666> {{{#FFF 사망}}} ||<(>[[1951년]] [[6월 7일]], [[서독]] 란츠베르크 형무소 || ||<#666> {{{#FFF 복무}}} ||<(>[[슈츠슈타펠]] (1925년 ~ 1945년) || ||<#666> {{{#FFF 최종계급}}} ||<(>[[슈츠슈타펠]] '''[[아인자츠그루펜]] D''' [[중장]] (집단지도자) [br] [[질서경찰]] [[중장]] || ||<#666> {{{#FFF 주요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치 독일]]의 정치인, [[아인자츠그루펜]]의 사령관이다. == 초기 행적 == [[독일 제국]]의 [[하노버]] 호엔에겔센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올렌도르프는 [[1917년]]에 힐데스하임의 인문학교에 입학해 [[1928년]]에 졸업 후 [[괴팅겐 대학교]]에 입학하여 법학과 경제학을 전공하여 [[1931년]]에 졸업했다. == [[나치당]] 입당 == 정치에 관심이 많았던 올렌도르프는 16세에 [[독일 국가인민당]]에 입당하기도 했는데 <[[부르주아]]>정당에 싫증을 느껴 [[마르크스주의]]에 관심을 가지기도 했다. 하지만 [[나치당]]의 [[국가사회주의]] 이념에 빠져든 올렌도르프는 [[1925년]]에 18세의 나이로 [[나치당]]에 입당했다. 올렌도르프는 당시 소규모였던 나치당 조직에서 신문배달과 집회연설 등을 보좌하면서 [[나치 친위대]]에 가입했다. [[1931년]]에는 괴팅겐 대학교수였던 경제학자 예센 교수의 추천으로 이탈리아의 파비아 대학에 1년간 유학했다. 그러나 올렌도르프는 이탈리아의 파시즘 운동에는 공감하지 않아 후에 [[뉘른베르크 재판]]시 [[파시즘]]과 [[나치즘]]은 다르다고 역설했다. 히틀러 내각의 탄생 후인 [[1933년]]에 올렌도르프는 힐데스하임의 지방재판소에서 견습시보가 되었는데 [[10월]]에는 예센 교수의 킬 경제학 연구소에 들어가 조수가 되었다. 하지만 예센 교수와 올렌도르프는 킬의 나치당 조직문제로 격렬히 맞서 [[1934년]]에 연구소를 떠나 결혼 후 5명의 자식을 두었다. [[1935년]]에 [[베를린 대학교]]의 경제학 연구소 주임연구원으로 일하게 된 올렌도르프는 [[1936년]] [[5월]]에 친위대 정보부에 들어가 경제부 부장이 되었다. 올렌도르프는 중산층의 보호와 독일 경제산업과 관련하여 일했지만 친위대에서는 한계를 느껴 [[1938년]] [[6월]]에 국가상업단 소장으로 부임해 국가경제정책을 연구했는데 [[1939년]] [[9월]]에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추천으로 국가보안본부 제3국[* 국내산업부]국장으로 임명되어 나치정권의 경제정책 수장으로 일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1941년]] [[6월]]부터 [[1942년]] [[7월]]까지 올렌도르프는 [[동부전선]]에서 부임하여 제11군의 특무부대인 '''[[아인자츠그루펜]] D부대'''의 사령관으로 취임했다. 여기서 그는 [[소련]] 점령지의 주민과 유대인을 정치의 적들이라고 규정한 후 남부 [[우크라이나]]에서 9만명 이상의 민간인 학살을 주도했다. [[1942년]] [[7월]]에 독일로 돌아온 올덴도르프는 다시 국가보안본부 제3국 국장이 되었는데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가 암살되면서 [[하인리히 힘러]]가 국가보안본부를 직접 관장하게 되자 올렌도르프는 친위대 소장으로 진급함과 동시에 국가상업정책 추진자로 임명되었다. [[1943년]] [[11월]]에 올렌도르프는 국가재무성의 차관대리로 임명되고 [[8월]]엔 내무상을 겸임하며 치안유지임무도 부여받았다. == 전후 재판과 최후 == || [[파일:올렌도르프2.png|width=100%]] || || 재판에 회부된 올렌도르프 || 1944년에 친위대 중장으로 승진한 올렌도르프는 전후 1945년 5월 23일에 [[플렌스부르크 정부|되니츠 정권]]에서 연합군에게 체포되어 [[뉘른베르크 특수작전집단 재판]]에서 [[아인자츠그루펜]] 사령관으로 재직 당시 9만명의 학살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는 상관의 명령에 따랐을 뿐이라며 혐의를 부정했지만 결국 1948년 4월 10일에 사형판결이 내려져 1951년 6월 7일에 란츠베르크 형무소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분류:1907년 출생]][[분류:1951년 사망]][[분류:힐데스하임 군 출신 인물]][[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의 정치인]][[분류:나치당원]][[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질서경찰/인물]][[분류:교수형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