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A상 최우수 3세 수말)] [include(틀:JRA 경주마 랭킹 연도별 1위)] ||<-3>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펙 호스.jpg|width=100%]]}}} || ||<-2> 이름 || オペックホース[br]OPEC Horse || ||<-2> 출생 || [[1977년]] [[3월 5일]] || ||<-2> 죽음 || [[2005년]] [[10월 31일]] (28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밤색 (栗毛, 쿠리게) || ||<-2> 아비 || 리맨드 (Remand) || ||<-2> 어미 || 호스 조 (ホースジョー) || ||<-2> 생산자 || 무카와 목장 || ||<-2> 마주 || 주식회사 호스산업 || ||<-2> 조교사 || 사토 이사무 (릿토) || ||<-2> 성적 || 41전 4승 || ||<-2> 총상금 || 1억 6938만 6600엔 || ||<-2> 주요 우승 || [[도쿄 우준]](1980)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77103379/|[[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097743|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경주마이자 종마다. 더비 이전과 더비 이후가 완전히 다른 말이 되어버린, 일본 경마 역사에서도 보기 힘든 미스터리를 남긴 말이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Remand[br]{{{-2 1965}}}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2>Alcide[br]{{{-2 1955}}}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Alycidon|| ||Chenille|| ||<|2>Admonish[br]{{{-2 1958}}}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Palestine|| ||Warning|| ||<|4>호스 조[br]{{{-2 ホースジョー}}}[br]{{{-2 1965}}} ||<|2>Tudor Period[br]{{{-2 1957}}}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Owen Tudor|| ||Cornice|| ||<|2>스텝 호스[br]{{{-2 ステツプホース}}}[br]{{{-2 1973}}}||쿠모노 하나[br]{{{-2 クモノハナ}}}|| ||스텝 라이트[br]{{{-2 ステツプライト}}}|| ||<-3>* [[하이페리온(말)|Hyperion]] 5×4 9.375%[br]* Fairway= Pharos 5×5 6.25% [br]* Son-in-Law M5×M5 6.25%|| == 상세 == === 데뷔부터 킷카상 까지 === 탄생 당시 일본에서 화제가 되고 있던 [[석유 수출국 기구]]의 이름을 따서 오펙 호스라고 지어진 이 말은 첫 신마전에선 3착으로 패배했지만 이후 2연승을 올리고 3살(현 2살) 최강자전인 한신 3세 스테이크에선 4착을 하지만 충분히 실력은 보여준 터라 진영 측에선 이 말에 상당한 기대를 걸게 된다. 휴양을 걸쳐 4살(현 3살) 시즌에 들어서는 기수를 당시 최강 기수였던 고하라 히로유키(郷原洋行)로 교체, 마이니치 배에서는 5착으로 패퇴하지만 이어진 유채꽃 상에선 중마장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10마신 이상의 대차승을 거둔다. 최후방에서 다른 말들을 전부 제치는 스피드나 10마신차 이상의 대승을 거두는 퍼포먼스 등으로 중상 우승 한번 없는 이 말이 대번에 클래식 유력주자로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도전한 클래식 3관 제 1전인 사츠키상에선 역시 중마장 상태가 되어버려 오펙 호스에게 유리한가 싶었지만, 하필이면 이 경기엔 중전차 별명을 얻었던 더트, 중마장의 강자 하와이안 이미지가 출전을 했던 것이 문제가 되버렸다. 1번 인기마였던 토쇼 갓이 골절로 중간에 탈락하는 와중에 최종코너에서 선두에 선 하와이안 이미지를 포착한 오펙 호스는 격렬한 몸싸움을 걸어가며 견제에 들어갔지만, 잔디 경주를 위해 감량을 했다고는 하나 중전차란 별명을 얻은 하와이안 이미지[* 최대 570kg을 기록했던 적이 있었고, 사츠키상 도전 당시에는 약 510~520kg 사이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에게 몸싸움을 걸다보니 결국 제풀에 지쳐버린 오펙 호스가 먼저 밀려나며 결국 2착으로 패배하고 만다. === 더비 호스 탄생 === 이어진 오픈전에서도 2착을 기록하지만 [[도쿄 우준|일본 더비]]에선 "하와이안 이미지야 어차피 중마장이나 불량마장에서나 강한 더트마일 뿐, 양마장 상태인 이번 더비에선 충분히 승산이 있다"[* 실제로 강선행으로 선두그룹에서 버티다 결국 역분사하며 참패했기에 적절한 판단이었다.]라며 '태양의 왕자' [[몬테 프린스]]에 이은 2번 인기를 받아 도전하게 된다. [youtube(qmuLvprUNjk)] 더비 본전에서는 '히노마루 특공대' [[사쿠라 신게키]]가 대도주를 감행하는 와중에 4위 위치에서 기회를 노리는 몬테 프린스를 마크하며 5위 위치에서 경기를 진행하는 와중에 [[앰버 샤다이]] 역시 기회를 노리는 상황이 이어진다. 그리고 최종 코너에서 드디어 유력마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의외로 사쿠라 신게키가 처지지 않고 버티는 바람에 몬테 프린스가 이를 제치기 위해 스퍼트를 살짝 일찍 걸었고 베테랑 기수 고하라는 틈을 노리다 최적의 타이밍에 스퍼트를 걸어 격렬한 데드히트 끝에 목차이로 몬테 프린스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한다. 기수인 고하라는 일주일 전 사망한 마주 카쿠타씨에게 좋은 선물이 되었다며 "솔직히 이 말로 몬테 프린스랑 붙으라면, 몇번을 붙더라도 이길 자신은 없다. 하지만 그 더비에서만은 달랐다. 아침부터 '오늘 레이스는 이렇게 진행될 거다. 그렇다면 난 이런 식으로 운영을 해야겠다'라는 계획이 모두 서 있었고 그대로 해서 이겼다"라고 인터뷰 했다. 어쨌든 이 경기로 기수는 물론 조교사 측에서도 최초의 더비 우승마 배출이었으며 조교사 입장에선 16년 만에 8대경주 우승마를 배출한 것이 되었다. 이 시점까지 9전 4승에 2착 2회, 그리고 그 2착 중 1회는 중마장에서의 사츠키상 2착이라는 어디에 내놔도 부끄럽지 않은 성적을 올리며 세대를 대표하는 말 중 한마리로 우뚝 서게 된다. 그런데... === 이유를 알 수 없는 갑작스런 몰락 === 더비 후라면 당연히 킷카상이기에 일단 휴양을 취했던 오펙 호스는 몸풀기용 대회라고 생각했던 오픈전에서 이미 한번 압승을 해 줬던 인터 스매시에게 1.8초나 뒤지며 6착으로 패배하며 처음으로 게시판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게 된다. 더비 우승을 뽀록 취급하는 건 아니었지만, 오픈전에서의 폼을 보니 휴양 후 아직 컨디션이 제대로 올라오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 경마 팬들은 킷카상에서 오펙 호스를 7번 인기에 두게 되는데 실제로는 그보다 못한 10착 대패를 당한다. 아무래도 휴양이 부족했던거라 생각한 진영측에선 다시한번 아리마 기념 전까지 휴양을 하지만, 이후로도 도통 회복이 되질 않으며 패배를 쌓아간다. 한 때 지방경마로의 이적까지 생각했지만 "현대 경마에서 더비마를 몇번 못 이겼다고 지방으로 보내는 건 너무 잔혹한 처사"라는 이유로 반려되고, 이대로는 더비마인데도 종마가 되지 못하겠다 판단한 조교사가 장애물 경주마로의 전환까지 고려해서 실제로 조교까지 이뤄진다. 이 조교에서 오펙 호스는 대단히 뛰어난 적성을 보이며 장애물 경주마로서의 가능성을 내비치지만, 이 역시 "장애물 경주란게 평지경주에 못 나간 반푼이들이 모이는 경기(당시의 일반적인 견해가 진짜로 이랬다)인데 그런곳에 더비마를 내 보내겠다고?"라는 비난이 살도해서 결국 이를 못 견딘 새 마주가 장애물 경주마로서도 포기하며 어떻게든 중앙경마에서 승리 기록을 올리기 위해 건투를 해 보지만... 이후 오펙 호스는 '''더비 이후 통산 32전 전패'''라는 전무 후무한 기록을 세워버리고 만다. 이전까진 코마츠 히카리(1959년생, 1962년 더비 우승마)가 14연패를 했던 것이 최대였고 그나마도 15전 째에 승리함으로서 기록을 멈춘 것인데 오펙 호스는 말 그대로 은퇴할 때 까지 단 한번도 이기지 못했다. 물론 참패만 한 것은 아니고 2착도 몇 번 하고 게시판에도 몇 번 이름을 올리는 등 회복세를 보인 적도 있지만 결국 승리를 못 하는 모습을 보였다. 담당 조교사는 "더비에서 혼신의 힘을 다 해서 [[새하얗게 불태워 버렸어|기력이 다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긴 하는데, 나도 수십년 경마 경력에서 이런 경우는 처음이라 도통 이유를 모르겠다"라며 고개를 내 저었다고 한다. == 은퇴 후 == 그래도 명색이 더비마인지라 종마가 되긴 되었는데, 4년간 딱 15마리의 암말과 교배했다고 한다. 더비마 쯤 되면 못해도 50두 이상은 되는것이 보통인데 더비 이후의 연패가 얼마나 평가를 떨어트렸는지 잘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그래도 첫 산구인 베스턴 댄디가 홋카이도 경마 2관을 달성하고 평가가 조금 오르긴 했지만, 이 시기에는 [[댄싱 브레이브]]나 [[토니 빈]]등이 일본에서 종마로 활약을 시작하던 때라 결국은 이들의 인기에 밀려 결국은 비인기마로 남게 되었다. == 기타 == * 더비 이전까지는 클래식 유력마로 꼽히다가 더비 이후 갑자기 똥말이 되어버린 극과 극의 모습 때문에 '''최약의 더비마 순위'''[* 더비 우승은 했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성적 자체가 저평가 되는 말로, 주로 [[위너즈 서클]]이나 [[아그네스 플라이트]]가 꼽힌다.]를 꼽던 '''글러먹은 더비마 순위'''[* 더비 외에는 별로 성적이 좋지 않은 말, 특히 더비 후에 패를 많이 쌓아갔던 말들로 [[원 앤 온리]]가 대표적이다.]를 꼽던간에 무조건 '''오펙 호스는 1순위로 이름이 거론'''된다. * 여담이지만, 오펙 호스와 함께 최약의 더비마 순위에 꼽히는 아그네스 플라이트는 아그네스 레이디의 외손자, 즉 오펙 호스와 같은 리먼드의 피가 섞인 말이다. 덕분에 "오펙 호스가 아니라 리먼드가 문제 있는 것 아니냐"라는 드립이 나오기도 한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그레이드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79년 {{{-1 (3세, 현 2세)}}} || || 10.6 || [[주쿄 경마장|주쿄]] ||<-2> 신마 || 잔디 1200m || 3 || 3착 ||<|4> 니시바시 토요지 || 호스멘 야마토 || || 10.13 || [[주쿄 경마장|주쿄]] ||<-2> 신마 || 잔디 1200m || 1 || '''{{{#red 1착}}}''' || (츠키노 UFO) || || 11.4 || [[한신 경마장|한신]] ||<-2> 오픈 || 잔디 1400m || 4 || '''{{{#red 1착}}}''' || (다이린 록) || || 12.9 || [[한신 경마장|한신]] ||<-2>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한신 3세 스테이크스]] || 잔디 1600m || 3 || 4착 || 라 퐁테스 || ||<-10> 1980년 {{{-1 (4세, 현 3세)}}} || || 3.2 || [[한신 경마장|한신]] ||<-2> [[마이니치배]] || 잔디 2000m || 3 || 5착 || 니시바시 토요지 || 레드 재규어 || || 3.3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노하나(菜の花)상 || 800만 || 잔디 1800m || 1 || '''{{{#red 1착}}}''' ||<|4> 고하라 히로유키 || (인터게렛) || || 4.13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2> [[사츠키상]] || 잔디 2000m || 3 || 2착 || 하와이안 이미지 || || 5.1 || [[도쿄 경마장|도쿄]] ||<-2> 오픈 || 잔디 1800m || 1 || 2착 || 타츠미 프린스 || || 5.25 || [[도쿄 경마장|도쿄]] ||<-2> [[도쿄 우준]](일본 더비) || 잔디 2400m || 2 || '''{{{#red 1착}}}''' || ([[몬테 프린스]]) || || 10.25 || [[한신 경마장|한신]] ||<-2> 오픈 || 잔디 1900m || 3 || 6착 || 우메노 신이치 || 인터 스매시 || || 11.9 || [[교토 경마장|교토]] ||<-2> [[킷카상]] || 잔디 3000m || 7 || 10착 || 고하라 히로유키 || 노스 거스트 || ||<-10> 1981년 {{{-1 (5세, 현 4세)}}} || || 3.8 || [[한신 경마장|한신]] ||<-2> [[요미우리 마일러즈 컵]] || 잔디 1600m || 8 || 4착 || 시미즈 에이지 || [[카츠라노 하이세이코]] || || 3.28 || [[한신 경마장|한신]] ||<-2> 오픈 || 잔디 1800m || 2 || 2착 ||<|2> 고하라 히로유키 || 볼드 에이칸 || || 4.29 || [[교토 경마장|교토]] ||<-2> [[천황상|천황상(봄)]] || 잔디 3200m || 3 || 12착 || [[카츠라노 하이세이코]] || || 6.7 || [[한신 경마장|한신]] ||<-2> [[타카라즈카 기념]] || 잔디 2200m || 6 || 6착 || 시미즈 에이지 || 카츠 알 || || 6.28 || [[주쿄 경마장|주쿄]] ||<-2> [[타카마츠노미야 기념|타카마츠노미야배]] || 잔디 2000m || 3 || 4착 || 무라모토 요시유키 || [[하기노 탑 레이디|하기노 탑 레이디]] || || 9.13 || [[한신 경마장|한신]] ||<-2> [[챌린지 컵]] || 잔디 2000m || 1 || 2착 || 타지마 료호 || 라 퐁테스 || || 10.4 || [[도쿄 경마장|도쿄]] ||<-2> [[마이니치 왕관]] || 잔디 2000m || 2 || 7착 || 고하라 히로유키 || 주지 애로우 || || 11.22 || [[교토 경마장|교토]] ||<-2> [[케이한배]] || 잔디 2000m || 1 || 11착 || 무라모토 요시유키 || 노트 다이버 || || 12.2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2> [[아리마 기념]] || 잔디 2500m || 10 || 4착 || 고하라 히로유키 || [[앰버 샤다이]] || ||<-10> 1982년 {{{-1 (6세, 현 5세)}}} || || 3.14 || [[한신 경마장|한신]] ||<-2> [[요미우리 마일러즈 컵]] || 잔디 1600m || 3 || 3착 || 니시바시 토요지 || 카즈시게 || || 4.4 || [[한신 경마장|한신]] ||<-2> [[오사카배|산케이 오사카배]] || 잔디 2000m || 2 || 9착 ||<|2> 타지마 료호 || [[산에이 솔론]] || || 4.29 || [[교토 경마장|교토]] ||<-2> [[천황상|천황상(봄)]] || 잔디 3200m || 6 || 7착 || [[몬테 프린스]] || || 10.3 || [[교토 경마장|교토]] ||<-2> 오픈 || 잔디 2000m || 1 || 4착 || 히가시다 유키오 || 노트 다이버 || || 12.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2> [[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 || 잔디 1800m || 4 || 9착 ||<|2> 고하라 히로유키 || 토쇼 갓 || || 12.26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2> [[아리마 기념]] || 잔디 2500m || 12 || 9착 || [[히카리 듀얼]] || ||<-10> 1983년 {{{-1 (7세, 현 6세)}}} || || 1.23 || [[교토 경마장|교토]] ||<-2> [[닛케이 신춘배]] || 잔디 2400m || 7 || 7착 || 쿠보타 토시히코 || 오버 레인보우 || || 2.6 || [[주쿄 경마장|주쿄]] ||<-2> [[주쿄 기념]] || 잔디 2000m || 2 || 13착 || 쿠보타 토시히코 || 애로우 보헤미안 || || 3.13 || [[한신 경마장|한신]] ||<-2> [[요미우리 마일러즈 컵]] || 잔디 1600m || 4 || 3착 ||<|5> 니시바시 토요지 || 롱 히엔 || || 4.1 || [[한신 경마장|한신]] ||<-2> 오픈 || 잔디 1900m || 1 || 8착 || 스위트 로망 || || 4.29 || [[교토 경마장|교토]] ||<-2> [[천황상|천황상(봄)]] || 잔디 3200m || 13 || 8착 || [[앰버 샤다이]] || || 6.5 || [[한신 경마장|한신]] ||<-2> [[타카라즈카 기념]] || 잔디 2200m || 11 || 9착 || [[하기노 카무이 오]] || || 12.4 || [[한신 경마장|한신]] ||<-2> 오픈 || 잔디 1900m || 4 || 8착 || 뱀브턴 케이트 || ||<-10> 1984년 {{{-1 (8세, 현 7세)}}} || || 1.5 || [[교토 경마장|교토]] || [[교토 금배|금배(서)]] || GIII || 잔디 2000m || 15 || 5착 ||<|8> 니시바시 토요지 || 롱 그레이스 || || 1.22 || [[교토 경마장|교토]] || [[닛케이 신춘배]] || GII || 더트 2600m || 7 || 5착 || 에리모 롤러 || || 2.5 || [[주쿄 경마장|주쿄]] || [[주쿄 기념]] || GIII || 잔디 2000m || 8 || 7착 || 하시 로디 || || 2.26 || [[한신 경마장|한신]] || [[요미우리 마일러즈 컵]] || GII || 잔디 1600m || 6 || 8착 || 롤러 킹 || || 3.11 || [[한신 경마장|한신]] || [[나루오 기념]] || GII || 잔디 2500m || 13 || 6착 || 하시 로디 || || 9.16 || [[한신 경마장|한신]] || [[챌린지 컵]] || GIII || 잔디 2000m || 11 || 12착 || [[니혼 필로 위너]] || || 11.25 || [[교토 경마장|교토]] || 토파즈 스테이크스 || OP || 잔디 2000m || 9 || 8착 || 롱 리더 || || 12.9 || [[주쿄 경마장|주쿄]] || [[토카이 스테이크스|윈터 스테이크스]] || GIII || 더트 2200m || 10 || 12착 || 안드레 아몬 ||}}} [include(틀:일본 더비)]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77년 출생/경주마]][[분류:2005년 죽은 동물]][[분류:블랜드포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