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white '''오픈서베이'''}}}}}} [br] {{{#white '''Opensurvey'''}}} || ||<-2> [[파일:Opensurvey_Logotype.png|width=100%]] [br] || || '''설립''' ||[[2011년]] || || '''대표''' ||황희영|| || '''본사'''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84길 13 KR타워 || || '''링크''' ||[[https://opensurvey.io/|공식 홈페이지]] || || '''SNS''' ||[[https://blog.opensurvey.co.kr/|[[파일:Opensurvey_CommunicationSymbol.png|width=22]]]] [[https://www.youtube.com/@ops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post.naver.com/opensurvey/|[[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 "데이터의 새로운 미래" 오픈서베이(Opensurvey)는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을 운영하는 [[B2B]] [[스타트업]]이다. 2012년 모바일 설문조사 앱 서비스로 시작해 현재 전문적인 데이터 플랫폼으로 서비스를 확장했다. 여론 조사 기관, 전화 설문 조사 업체로 오해하기도 하지만, IT 기술 기반의 프로덕트 회사다.[* 코리아리서치나 한국갤럽과 같은 여론조사 기관이 인적 서비스를 중심으로 여론조사를 수행하는 회사라고 한다면, 설문 프로덕트 회사는 타입폼이나 퀄트릭스처럼 설문조사를 할 수 있는 툴/프로그램을 개발해서 제공하는 회사라서 그 성격이 엄연히 다르다.] == 트렌드 리포트 == 오픈서베이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리포트. 회사에서 업무를 하거나, 대학에서 과제를 하며 참고 자료를 찾다가 트렌드 리포트를 접하는 사람들이 많다. [* 10년째 발간하다 보니 대학생 때 리포트를 쓰면서 알게 됐다가 회사원이 되어 고객으로 오는 경우도 있다고.] 실제로 대학 과제, 논문 등에 인용되는 경우도 많고, 기업이나 미디어에서 트렌드 리포트를 인용해 기사를 내서 오픈서베이 트렌드 리포트가 언급되는 기사도 많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230103200017?input=1195m|관련기사]] 2022년 12월 기준 오픈서베이 트렌드 리포트 뉴스레터 구독자 수는 7만 8,981명이다. [* [[https://docs.opensurvey.co.kr/tr2022/2022_trend-report_summary.html|출처]]] 사실상 시장 및 소비자 정보가 필요한 대한민국 직장인이라면 대부분 보고 있는 리포트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오픈서베이를 트렌드 리포트를 제작하는 회사로 알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은 리서치와 데이터로 돈을 버는 회사다. 오픈서베이 트렌드 리포트는 소비자가 먹고 소비하고 시간을 보내는 방식을 알 수 있는 자료다. 2013년부터 발간하기 시작했다. 크게 Eat, Buy, Play 세 가지 테마를 두고 리포트가 격주로 발행된다. Z세대, 소셜미디어·검색 포털, 뷰티, 온라인 식료품 구매, 배달 서비스 등의 주제가 대표적이다.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blog.opensurvey.co.kr/category/trendreport/|#]] == 오베이 == [[파일:ovey-logo.svg]] [[앱테크]] 앱으로 알려진 모바일 설문 응답 참여 서비스.[* [[https://youtu.be/PmnmRVIPqY8|체험기]]] 앱에 가입하면 오베이 패널이 되어 설문에 응답할 수 있다. 설문은 대부분 제품, 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묻는 내용이 많다. 오픈서베이는 이 앱을 통해 소비자 의견 데이터를 수집하는 셈이다. 의견 제공의 보상으로 오베이머니를 제공한다. 설문의 길이나 난이도에 따라 보상이 다르며, 객관식 문항 중심의 간단한 조사는 보상금이 몇백 원 수준인데 인터뷰나 현장 조사 등 난이도가 높은 조사는 1회 참여 시 보상금으로 몇만 원을 받을 수도 있다. [* 좌담회나 특정 미션을 수행하는 복잡한 설문은 5만 원 이상의 높은 보상이 걸리기도 한다] 오베이머니는 기프티쇼 구매, 상품권 또는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오베이머니 1원은 현금 1원의 가치를 갖는다. 앱 푸시로 설문이 전달되는데 참여 패널이 꽤 많아서 늦게 접속하면 인원 초과로 참여할 수 없다. [* 앱 푸시가 오면 30분~1시간 이내에 접속하는 것을 추천한다.] || '''다운로드'''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idincu.ovey.android|[[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height=20]]]] | [[https://apps.apple.com/kr/app/id483557574|[[파일:App Store 아이콘.svg|height=20]]]] || == 오픈클래스 == 오픈서베이가 매월 진행하는 무료 강의이다. [[https://contents.opensurvey.co.kr/openclass-subscribe|#]] 데이터 리터러시를 주제로 온라인에서 주로 진행된다. 데이터를 활용할 기회를 만들고 싶거나 데이터 활용 역량을 강화하고 싶으면 누구나 신청해서 들을 수 있다.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기본 개념, 데이터 분석 방법 등을 대표가 직접 강의한다. [* 황희영 대표는 오픈서베이 고객사 담당자로 함께 일하다가 데이터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오픈서베이 대표 자리를 맡았다고 한다 [[https://blog.opensurvey.co.kr/team/interview-03/|출처]]][* 대표 인터뷰: [[https://www.etnews.com/20220914000229|전자신문: [人사이트]황희영 오픈서베이 대표 "21세기형 데이터 수집·분석 서비스 제공하겠다"]]] 오픈서베이 유튜브 채널에서 과거 오픈클래스 영상을 다시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opsv/playlists?view=50&sort=dd&shelf_id=1|*]] * 관련 보도자료: [[https://zdnet.co.kr/view/?no=20221117100434|지디넷 코리아: 오픈서베이, 데이터 활용 역량 키우는 '오픈클래스' 시작]] == 프로덕트 == === 오픈서베이(Opensurvey) === 오픈서베이가 개발한 설문 플랫폼이다. 쉽게 말하면 구글 설문지처럼 설문을 설계하고 원하는 응답 대상자에게 설문을 보낼 수 있다.구글 폼과의 차이점은 객관식, 주관식, 척도형, 사진, 다이어리 등 문항 타입이 다양하며, 응답 로직을 복잡하게 설정할 수 있다. ====# 관련 기술 #==== TAS(Targeting and Sampling) 시스템: 원하는 사람에게만 설문 응답을 요청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을 키우는 1인 가구, 주 3회 이상 새벽 배송으로 식료품을 구매하는 서울 거주 소비자, 최근 한 달 이내 특정 브랜드 제품 구매자 등에게만 설문을 보낼 수 있다. === 오픈애널리틱스(OpenAnalytics) === 설문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는 툴이다. 웹사이트 행동 데이터를 구글 애널리틱스로 분석하는 것처럼, 오픈애널리틱스는 설문으로 수집한 인식 데이터를 분석한다. ====# 기능 소개 #==== * 결과 요약: 첫 응답이 수집되는 순간부터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보인다. 막대그래프나 워드클라우드 등의 형태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교차분석: 원하는 분석 단위를 설정해 응답을 분석하는 기능이다. 연령별, 성별, 지역별 등 다양한 기준으로 응답 데이터를 쪼개보며 보다 심도있게 분석할 수 있다. * 보고서: 결과 데이터를 Excel, CSV, PDF, 이미지 등 여러 포맷에 맞게 제공하며, PPT 보고서 다운로드 기능도 있다. 실무자 입장에서는 따로 보고용 자료를 안 만들어도 되므로 제일 편리한 기능이다. ====# 관련 기술 #==== StatInsight™: 고유 알고리즘을 활용해 데이터의 의미를 자연어 형태로 나타내는 기술로 보고서 탭에서만 제공된다. 쉽게 말해 나열된 많은 숫자를 분석하면 어떤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 사람의 말로 설명해준다.[* 분석 단위를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따라 StatInsight™ 문장이 달라진다.] === 피드백(Feedback.io) === [[피드백]]은 고객 경험 관리를 위한 B2B SaaS(Software as a Service) 솔루션,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다 [[https://feedback.io/|#]]. 만족도 조사 등 고객과 사용자, 임직원 경험을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다. === 오베이(Ovey) === 앞서 서술한 모바일 설문 기반의 데이터 수집 앱. == 비즈니스 == === 리서치 비즈니스 === IT 기술을 바탕으로 리서치 전문가가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B2B 비즈니스. 웹에서 간편하게 설문을 만들 수 있고, 모바일 앱 오베이를 통해 패널 응답을 수집해서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Market map 조사, U&A(Usage&Attitude) 조사, 브랜드 인덱스 조사, 컨셉 평가, HUT(Home use test), 해외 리서치, 고객 자문단, [[UX]] 리서치 등 주요 비즈니스 이슈별로 활용할 수 있는 소비자 조사 솔루션을 제공한다. === 데이터 비즈니스 === 식음료, 소비재, 뷰티, IT 등 다양한 업계에서 필요한 소비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식단, 쇼핑 채널 등의 트렌드 변화를 거시적 관점에서 보는 데 도움을 준다. 트렌드 리포트[* 트렌드 리포트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제공되는데, 조사 결과 로우 데이터는 유료로 판매한다.], 푸드 다이어리 데이터[* 국내 유일의 식생활 데이터베이스라고 함], 카드 결제 기록 데이터, Eat/Buy 리포트, 뷰티 카테고리 리포트 등이 있다. == 오픈서베이 팀 == 많은 스타트업처럼 성장, 도전 등이 주요 키워드로 보인다. 내부에서는 구성원을 ‘오니언(Onian)’이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구성원 마스코트로 애칭과 비슷한 어감인 [[양파]](오니언) 캐릭터가 있다. 푸릇푸릇 주니어 오니와 세상 풍파를 겪어본 표정의 적양파 시니어 어니. 가끔 오픈서베이 팀에 대한 콘텐츠에서 찾아볼 수 있다. [[https://blog.opensurvey.co.kr/category/team/|#]] [[파일:오니&어니.png|width=200]] [youtube(eWSVVjpbzcc)] [youtube(NPh2_VvX3mo)] == 히스토리 == === 주요 연혁 === || '''2011년''' ||㈜아이디인큐 법인 설립[br]모바일 설문 서비스 ‘오픈서베이’, ‘오베이’ 론칭|| || '''2018년''' ||㈜오픈서베이로 사명 변경 || || '''2020년''' ||설문 결과 분석 서비스 ‘오픈애널리틱스’ 론칭 || || '''2022년''' ||고객 경험 관리 서비스 ‘Feedback.io’ 론칭 || === 종료 서비스 === ====# 큐럼블(Qrumble) #==== 기업 서포터즈, 챌린지 등을 위해 개발된 데이터 수집 플랫폼. ‘큐’, ‘럼블’ 캐릭터[* [[파일:큐&럼블.png|width=200]]]와 함께 22년 3월 앱을 출시했으나 내부 계획에 따라 2022년 12월 19일부로 서비스를 종료했다. == 외부 링크 == * [[https://www.etnews.com/20220914000229|미디어 인터뷰 기사]] [[분류:IT 관련 기업]][[분류:스타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