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학 미식축구]][[분류:오하이오 주립대학교]] [include(틀:빅텐컨퍼런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4px-2013_Ohio_State_Buckeyes_logo.svg.png]] || ||<:><#BB0000> '''{{{#ffffff 오하이오 스테이트 버카이스 }}}''' || ||<:><#666666> '''{{{#ffffff Ohio State Buckeyes }}}''' || [목차] == 개요 ==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의 스포츠팀이며 [[Big-10]] 컨퍼런스 소속이다. == 미식축구 == [[오하이오 스테이트 버카이즈/미식축구|별도의 문서]]로 분리하였다. == 농구 == 1930년대 이후로 매 10년마다 1회 이상 NCAA 토너먼트에 항상 참가했던 유일한 두 팀[* 나머지 한 팀은 [[빌라노바 대학교]]다.] 중 하나. 가장 큰 라이벌은 [[FBS|대학풋볼]]에서도 그렇듯이 [[미시간 대학교]]다. NCAA 토너먼트 결승전에는 5번이나 진출했지만, 우승한 건 단 한 번뿐이다. === 주요 감독 === ||[[파일:external/library.osu.edu/1939_harold_olsen72dpi.jpg|width=150]]||5대 감독 해롤드 올센 (1922~1946 재임. 1953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준우승 (1939)|| ||[[파일:external/static.wixstatic.com/b07826_3232b747ee3348edb9f4c215d12e8069.jpg|width=150]]||8대 감독 프레드 테일러 (1958~1976 재임. 2002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우승 (1960)|| ||[[파일:external/www.enonohiosports.com/bb86.jpg|width=150]]||9대 감독 엘든 밀러 (1976~1986 재임. 현재 생존.) - NCAA 토너먼트 16강 진출 2회 (1980, 83), NIT 우승 (1986)|| ||[[파일:external/www.elevenwarriors.com/RandyAyers.jpg.pagespeed.ce.EHWRvuMMKx.jpg|width=150]]||11대 감독 랜디 아이어스 (1989~1997 재임. 현재 [[뉴올리언스 펠리컨스]] 어시스턴트 코치로 재직중.) - NCAA 토너먼트 8강 진출 (1992)|| ||[[파일:external/i.usatoday.net/emersonx-inset-community.jpg|width=150]]||12대 감독 짐 오브라이언 (1997~2004 재임. 현재 생존.) - ~~NCAA 토너먼트 4강 진출 (1999)~~[* 세르비아 농구선수 Aleksandar Radojević 스카우트/유학 과정에서 뒷돈 거래로 인해 1998~2002년까지의 4시즌 기록 말소.]|| ||[[파일:external/i.usatoday.net/mattax-large.jpg|width=150]]||13대 감독 태드 마타 (2004~2017 재임.) - NCAA 토너먼트 준우승 (2007), NIT 우승 (2008)|| === 주요 선수 === ||[[파일:external/i.cdn.turner.com/jerry-lucas-608.jpg|width=150]]||제리 루카스|| ||[[파일:external/www.nba.com/havliceck_bio_200_300.jpg|width=150]]||[[존 하블리첵]]|| ||[[파일:external/www.nba.com/jim_jackson_050518_220.jpg|width=150]]||'트리플 J' 짐 잭슨|| ||[[파일:external/cdn3.hiphopsince1987.com/greg-oden-heat.jpg|width=150]]||[[그렉 오든]]||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f01d43fb23c64d4f6dcfa9d90b5f4179.jpg|width=150]]||[[대쿠안 쿡]]|| ||[[파일:LA 클리퍼스 시절의 바이런 뮬렌스.jpg|width=150]]||[[바이런 멀린스]]|| ||[[파일:설린저2020-21.png|width=150]]||[[제러드 설린저]]|| == 야구 == === 주요 감독 === ||[[http://sabr.org/sites/default/files/images/KarowMartin.jpg.pagespeed.ce.jS7s2BPEa6.jpg]]||8대 감독 마티 캐로우 (1951~1975 재임. 1986년 작고.) - 칼리지 월드시리즈 우승 (1966)|| ||[[파일:external/theozone.net/12318.jpg|width=150]]||10대 감독 밥 토드 (1988~2010 재임. 현재 생존.) - NCAA 야구 토너먼트 16강 진출 2회 (1999, 2003)|| === 주요 선수 === ||[[파일:external/csashows.com/frank-howard.jpg|width=150]]||[[프랭크 하워드]]|| ||[[파일:external/www.ootpdevelopments.com/122589d1210789774-gambo-t_wil1-photo-johnny_edwards1970.jpg|width=150]]||조니 에드워즈|| ||[[파일:external/media.cleveland.com/intribe-swisherjpg-67633c01d4382104.jpg|width=150]]||[[닉 스위셔]]|| ||[[파일:루친스키2020프로필.jpg|width=150]]||[[드류 루친스키]]|| == 아이스하키 == [[파일:external/theozone.net/14985.jpg]] 7대 감독 존 마켈 (1994~2010 재임. 현재 생존.) - NCAA 하키 토너먼트 4강 진출 (1998) 하키에서는 [[밴쿠버 커넉스]]의 주전이었던 라이언 케슬러가 대표적인 동문이다. == 주요 라이벌 == * [[미시간 대학교]] - 미시간 대학교와의 rivalry는 미국 스포츠계를 망라하여 최고의 rivalry 중의 하나. 운동 뿐만 아니라 각종 이벤트에서도 '너만큼은 꼭 이긴다'라는 마인드 가 강하다. 대학 진학 시, 보통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학교를 택하지만 오하이오 주 학생이 미시간 주로(또는 그 반대) 진학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트레이 버크]]. 버크는 콜럼버스에서 고등학교까지 다닌 후 대학 진학은 미시간으로 했다. 참고로 고등학교 은사가 [[제러드 설린저]]의 아버지인 사치 설린저이며, 제러드 설린저와는 고교 1년 선후배 관계이자 매우 친한 사이다.] * [[일리노이 대학교]] - Ilibuck * ~~[[노스웨스턴 대학교]]~~ * 칼리지풋볼 [[FBS/Big-10]] Conference의 공공의 적으로 취급받는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위스콘신 대학교]]와도 으르렁. ~~묘하게 라이벌들이 많은 느낌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오하이오 주립대학교, version=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