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평양시의 랜드마크)] ||<-3>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양시|{{{#white 평양시}}}]]의 [[음식점|{{{#white 음식점}}}]]'''}}}[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_White.svg|height=60]]]]||'''{{{+1 옥류관[br]玉流館}}}[br]{{{-2 Okryu Restaurant}}}'''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ongilnews.com/99591_29115_153.jpg|width=100%]]}}} || ||<-3> {{{-1 '''▲ 옥류관의 외부 모습'''}}}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minjog21.com/4136_11777_2530.jpg|width=100%]]}}} || ||<-3> {{{-1 '''▲ 옥류관의 내부 모습'''}}} || ||<-2> '''개장''' ||[[1960년]] [[8월 13일]] || ||<-2> '''규모''' ||{{{-2 대지면적}}} 6,000㎡[br]{{{-2 층수}}} 2개층[br]{{{-2 수용능력}}} 본관 1,000석 / 별관 1,200석 || ||<|3> '''간[br]부''' || '''{{{-1 지배인}}}''' ||문경호[*2021년] || || '''{{{-3 초급당비서}}}''' ||조성심[*2021년] || || '''{{{-1 기사장}}}''' ||라숙경[*2021년] || ||<-2> '''상위 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봉사총국|인민봉사총국]][br][[평양시 인민위원회]] 봉사관리국 || ||<-2>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9.028835%2c125.758498&zoom=16, 타입=satellite,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40001; color: white" '''옥류관'''}}} {{{-2 ([[평양시]] [[중구역]] 경상동)}}}[* [[대한민국]] [[이북5도]] 기준으로 보면, [[평안남도]] [[평양시]] 신창동에 해당한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음식점]]이며, 북한의 대외 무역 기관인 조선옥류무역에서 운영한다. [[평양시]] [[중구역]] 경상동에 있다. '[[평양시|평양]]에 옥류관이, [[함흥시|함흥]]에 [[신흥관]]이 있다'고 말할 정도로 [[냉면]]으로 명성이 높다. 한편 평양의 젊은 층은 [[청류관]]을 선호한다. == 특징 == [[대동강|대동강변]]의 [[옥류교]] 근처에 위치한 음식점이다. 이 식당 이름도 옥류교에서 따온 것이다. 한옥 양식 지붕이 얹힌 철근콘크리트 2층 건물인데 본관과 2동의 별관으로 구성된다. 전체 면적은 약 6천 ㎡, 수용능력은 본관 1천 석, 별관 1200석이다. [[김일성]]이 지시하여 만들어서 1960년 8월 13일 개업했다. 북한에서 대표적으로 명성이 높은 고급 식당으로, 국가적인 행사의 연회장소로도 널리 애용된다. 외국 국빈이나 관광객들, 평양시민들, 평양으로 수학여행온 학생이나 포상휴가를 받은 지방 노동자들도 평양에 오면 옥류관에 들러서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1980년과 2000년 등 2차례에 걸쳐 국기훈장 제1급을 수훈받았고 2011년 [[김일성훈장]]을 수훈받았다. 참고로 하루 냉면 판매량은 [[조선중앙텔레비죤]]에서 방영된 <평양냉면의 원조를 찾아서>에 따르면 1만 그릇 이상이라고 한다. 2000년 [[2000 남북정상회담|남북정상회담]]에서 [[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이 이 식당에서 식사를 했었고, 2007년 [[2007 남북정상회담|남북정상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도 이곳에서 식사를 했으며,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2018 제3차 정상회담]] 때도 [[문재인]] 대통령이 2일차 오찬을 여기에서 가졌다. [[중국]] [[베이징]], [[아랍 에미리트]] [[아부다비]] 등에 분점이 있으며, [[금강산]] 관광특구에 분점을 연 적이 있다. [[1999년]]에 [[서울특별시]] [[역삼동(강남구)|역삼동]]에 북한 옥류관과 독점계약을 맺었다고 주장하는 '평양 옥류관 서울점'이 대대적인 홍보와 함께 오픈한 적이 있었으나, 북한 옥류관 측에서 계약한 적이 없다는 입장을 밝힌 후 소리 소문 없이 폐업했다.[[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4271624001|관련기사]] 이후 2000년에 옥류관 서울분점이 정식으로 추진된 적도 있던 듯하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14&aid=0000829762|관련기사]] == 메뉴 == {{{#!wiki style="text-align:center" ||[[파일:external/i0.wp.com/079.jpg|width=100%]] [[파일:external/i2.wp.com/088.jpg|width=100%]] [[파일:external/i1.wp.com/098.jpg|width=100%]][br]옥류관 메뉴||}}} 해당 사진은 재미교포가 방북 중에 찍은 사진. 메뉴 중 '녹두지짐'은 한국의 [[녹두]] [[빈대떡]]과 유사한 전이며 '게사니 구이'는 [[거위]]고기 구이를 뜻한다. '쉬움떡'은 북한식 [[술떡]]이다. '철갑상어힘줄탕'은 [[철갑상어]] [[샥스핀]] 수프, '닭알공기찜'은 [[계란찜]]이다. [[평양냉면]]과 [[평양온반]]이 주요 요리이며 고기쟁반국수, [[숭엇국|대동강숭어국]], 소갈비국밥, 평양어죽, 녹두지짐, 전골 등으로도 유명하다. 2010년부터는 [[김정일]]의 지시로 메뉴가 더욱 다양해져서, 특별요리 전문관에서 [[피자]]와 [[파스타]] 등 서양음식들을 맛볼 수 있다고 한다. 베이징에 있는 옥류관은 평양냉면이 주된 상품이 아니다. 더덕 구이 등 일품요리를 주식으로 하고 냉면은 후식으로 제공한다. == 비판 == '인민을 위한 봉사기관'으로 모든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식당이라는 북한 당국의 홍보와 달리 북한 내부의 특권층과 외국인 관광객만을 위한 식당이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일반 주민들에게는 문턱이 너무 높은 곳이라는 것. 옥류관은 외국인용 가격과 국정가격(일반인용 가격)으로 나뉘는데, 외국인 관광객 또는 당 고위간부, 부유층들은 비싼 외국인용 가격을 내고 이용하고, 일반인들은 평양시의 각 구역 인민위원회, 공장, 기업을 대상으로 배급되는 음식예비표(식권)을 가지고 와서 일반인용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식권이 옥류관 직원들과 각 기관 간부들이 빼돌려 장사꾼들에게 팔아치우고 남은 소량만 배급되는 경우가 많다. 실제 주민들이나 평양에 올라온 지방민들은 높은 가격을 주고 암표를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유명 음식점 앞에서 버젓이 암표 장사를 하는 경우도 많다고.[[https://www.rfa.org/korean/in_focus/food_international_org/rationticket-05022018094247.html|기사1]][[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190501/95339551/1|기사2]] 2021년 들어서는 옥류관의 음식값이 대폭 인상되어 더욱 일반 주민들이 이용하기 힘든 곳이 되어 비판받고 있다고 한다.[[https://www.rfa.org/korean/in_focus/ne-jp-09082021091308.html|기사]] == 기타 == * 옥류관 자리는 조선시대 평양성 냉면가(냉면거리)가 있던 터이다. * 2018년 4월에 [[남북평화 협력기원 남측예술단 평양공연|방북한 남측 문화공연단]]이 여기에서 점심을 먹었고, 한국 언론들이 옥류관 내부 모습을 방송하였다. *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의 저녁 만찬 메뉴 중에 옥류관이 있었다. 옥류관 본점에서 직접 재료와 제면기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 가져다 놓고 만든 냉면을 곧바로 배달해서 만찬상에 올렸다. * [[탈북자]] 출신 [[기자]] [[주성하]]는 [[김일성종합대학]]에 다닐 때 같은 학급 사람의 여자친구가 옥류관에 근무해서 굉장히 좋아하고 자주 먹어봤다고 하는데, 그가 먹어본 한국의 냉면 중에서는 부산 남포동의 원산면옥([[http://kko.to/1mfgAetDM|#]])이 옥류관 냉면과 가장 비슷하다고 한다.[* 옥류관과 맛이 비슷하다는 것이지, 남쪽 사람들 입맛에 맞다는 건 아니다. 당장 원산면옥 리뷰만 봐도 '냉면맛이 심심하다.', '노맛이다.' 하는 혹평이 많다. ] 최근에는 [[마곡역]] 근처에 있는 안영자면옥의 맛이 옥류관 스타일이라고 하는 글을 올린 적 있는데, 여기 오너가 [[한식대첩 시즌2]]에 북한 대표로 참가하였고 인민무력부 산하 외화식당 조리사 출신이다. * 북한 내에서는 옥류관 냉면에 버금갈 만한 경쟁 식당으로 '[[고려호텔]] 지하식당'과 '청류관'이 꼽힌다고 한다. 입맛에 따라 '옥류관파' 와 '고려호텔파'로 나뉜다고.[[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42386|관련기사]] * [[JTBC]]에서 2018년에 방영한 남북공동제작 다큐멘터리 '두 도시 이야기' 에 옥류관을 상세히 조명했다. 옥류관에서 냉면만큼이나 인기있는 메뉴로 고기쟁반국수가 소개된다. 발전소 등 직장에서 배급표를 받아 옥류관에 단체손님으로 온 서민들의 인터뷰도 등장한다. * 한국에 분점이 들어선다면 [[고양시]]에 위치하게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관측된다. 2018년 10월 고양시가 옥류관 분점 유치를 추진한다고 밝힌 뒤로 동년 11월 리종혁 아태평화위 위원장이 방남했을 때 고양시 킨텍스 인근 예정부지를 살펴봤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남북, 북미 관계가 경색되면서 무기한 연기되어 2023년 현재까지 진척이 없는 상태. * 2021년 8월 18일 복수의 언론에서 대전분점을 추진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는데, 북한과 연계하는 건 레시피 제공과 [[대동강맥주]] 수입 뿐이고 나머지는 자체적으로 한국 아태협이 옥류관을 모방하여 음식점을 운영하는 것이라고 한다. 게다가 북한 레시피도 변용해서 쓴다고 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4414023|#]] *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분점은 옥류관의 첫 해외 분점인데 다름 아닌 한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왕징]]에 위치[* 실제로 바로 옆은 북한 사람들의 거주지역이다.]하고 있어 현지 한국인들도 꽤 찾는 맛집이다. 저녁 8시에 방문하면 북측 직원들의 공연을 볼 수 있다. 탈북자들이 가장 많이 가는 루트 중 하나인 동남아 루트의 최종 지역인 태국 방콕에도 옥류관 분점이 있다. * 2020년 6월 13일, 남북관계가 경색국면이 되면서 북한 선전매체는 이곳의 주방장 오수봉이 "평양에서 [[2018 제3차 남북정상회담|이름난 국수를 처먹을 때]]는 무슨 큰일이나 칠 것처럼 요사를 떨고 돌아가서는 지금까지 전혀 한 일도 없다.", "이제 당장이라도 달려나가 그 더러운 똥개무리들과 그것들의 망나니짓을 묵인하며 한 짝이 되여 돌아친 자들을 몽땅 잡아다가 우리 주방의 구이로에 처넣고 싶은 심정"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을 비난하는 발언을 보도했다. * [[코로나19]]로 인해 베이징 일부가 봉쇄되면서 옥류관 분점도 매장 영업을 중지했고 배달로 영업을 이어갔는데, 황당하게도 치킨이나 떡볶이 같은 배달 특화 음식을 팔았다.[[https://www.youtube.com/watch?v=LcWV19fdvS8|#]] * 하노이에 있는 북한식당인 고려식당에서도 평양 냉면과 더불어 옥류관 냉면도 판매하고 있다. * [[북한 유튜브 채널]]의 유튜버 유미도 다녀갔다. 쟁반고기국수와 수족관에서 헤엄치는 [[철갑상어]]를 볼 수 있었다. [[https://www.news1.kr/articles/?4969314|기사]] == 관련 문서 == * [[북한]] * [[평양시]] [[분류:북한의 음식점]][[분류:중구역]][[분류:1960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