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쾨펜의 기후 구분)] [include(틀:온대기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Koppen_classification_worldmap_Cw.png|width=100%]]}}} || || 온대 하우 기후의 분포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Subtropical Monsoon Climate''', Temperate Dry-Winter Climate 온대 하우 기후([[溫]][[帶]][[夏]][[雨]][[氣]][[候]])는 온대기후의 일종으로, 온대 겨울 건조 기후로도 부른다. [[기호]]는 '''Cw.'''[* Cwa만 해당한다. Cf 기후와 달리 저지대에서는 연교차가 크거나 여름이 더운 a 기후만 나타나며 위도가 올라가면 [[냉대 동계 건조 기후|Dw 기후]]로 넘어간다. Cwb, Cwc 기후는 고도가 높아야만 나타나는 아열대 [[고산기후]]이다.] 비가 많이 내리고 쌀농사가 잘 된다는 점에서는 [[온난 습윤 기후|Cfa]] 기후와 비슷하지만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게 갈린다는 점이 다르다.[* 대한민국에서 예를 들자면, [[광주광역시|광주]]와 [[대구광역시|대구]]는 연중 기온 패턴은 비슷한 편이지만 온난 습윤 기후인 광주는 겨울 강수가 꽤 있는 편이고 온대 하우 기후인 대구는 겨울철 맑고 쨍한 날이 많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요인 때문에 두 도시의 기후구가 다르다.] 겨울 강수량이 여름의 1/10 미만인 기후[* 정확히는 11월~3월의 강수량이 5~9월의 강수량보다 압도적으로 적다.]로 [[냉대 동계 건조 기후]]와 어느정도 비슷한 특징을 공유하는 기후이기도 하다. 다만 냉대동계건조기후와의 핵심적인 구분 기준은 바로 '''최한월 평균 기온'''으로, 겨울을 제외한 다른 계절의 양상이 거의 똑같다고 두 기후를 혼동하는 것은 [[더닝 크루거 효과|기후에 대해 애매한 양의 지식을 갖추고 있을 경우 발생하는 오개념 중 하나이다.]] 대체로 연 강수량 자체는 대륙 서안의 [[서안 해양성 기후|해양성 기후]]나 [[지중해성 기후]]보다 매우 많은 편이며 온난 습윤 기후와 비슷한 특징이다. 한국에서는 [[대구광역시|대구]], [[구미시|구미]], [[경산시|경산]] 등을 포함한 [[경상북도]] 남부 내륙 지역, [[고성군(경상남도)|고성]] 이서 - [[함안군|함안]] 이북에 있는 [[경상남도]] 서북부 내륙 지역과 서부 해안 지역, [[전라남도]] 동부 [[여수시|여수]] - [[순천시|순천]] - [[광양시|광양]]에 해당하는 해안 지역에서 나타난다. 서울과 경기도 서남부를 비롯한 중부 지방의 경우 -3도 기준을 사용할 경우 온대 하우 기후로 분류되기에 병용되는 경향이 있지만, 2010년대 이후의 대부분의 학계에서는 0도 기준을 사용하기 때문에 중부 지방은 [[냉대 동계 건조 기후]]로 분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https://www.nature.com/articles/sdata2018214|#1]][[https://en.m.wikipedia.org/wiki/K%C3%B6ppen_climate_classification|#2]] 대한민국에서 흔히 '''대륙성 기후'''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냉대 동계 건조 기후와 함께 이 기후를 말하는 것이며, 세계적으로는 온난 습윤 기후처럼 [[아열대기후]]까지 포함해서 Humid subtropical climate라고 일컫는다. 일조량은 매우 고른 편이고, 체감적으로는 대륙 서안과 정반대로 겨울에 집중되어 있다는 느낌까지 받을 수 있다. 이는 냉대 동계 건조 기후도 마찬가지이다. == 분포 지역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wa Guadalajara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wa Huambo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wa Pretoria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wa LusakaKOR.png|width=100%]]}}} || || {{{#ffffff [[멕시코]] [[과달라하라]]의 기후 그래프}}}[* 열대 사바나 기후 (Aw)와의 점이지대에 위치해 있다.] || {{{#ffffff [[앙골라]] 우암부의 기후 그래프}}}[* 사바나 기후(Aw), 아열대 고산기후(Cwb) 사이에 '''끼어있는''' 곳이다.] || {{{#ffffff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토리아]]의 기후 그래프}}} || {{{#ffffff [[잠비아]] [[루사카]]의 기후 그래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wa Sialkot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wa Chengdu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wa Hongkong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wa BusanKOR.png|width=100%]]}}} || || {{{#ffffff [[파키스탄]] [[시알코트]]의 기후 그래프}}} || {{{#ffffff [[중국]] [[청두]]의 기후 그래프}}} || {{{#ffffff [[홍콩]]의 기후 그래프}}}[* 중학교 교육 과정에서 Cw하면 가장 먼저 등장하는 대표 그래프였는데, 최근 들어 건조한 달의 강수량도 제법 늘었다. 이로 인하여 가까운 미래에 Cfa로 바뀔 수도 있는 상황. 여담이지만 옆 동네인 [[하노이]]는 이미 '''Cfa 범위 안으로 들어갔다!'''] || {{{#ffffff [[대한민국]] [[부산광역시|부산]]의 기후 그래프}}}[* 홍콩과 마찬가지로 Cfa와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 최근 겨울에는 비 없이 넘어가는 달도 존재하여 Cfa와 Cwa를 왔다갔다하는 지역이다.] || 바다보다는 대륙과 [[계절풍]]의 영향을 더 지대하게 받는 경우 이 기후가 형성된다. 기후 구분상 온대 하우 기후를 보이는 지역의 범위는 [[온난 습윤 기후]]에 비해 매우 좁고, 온대 하우 기후 고유 특징을 보이는 지역들은 최근 월강수량 변화로 인하여 그 성질이 희미해져 가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주변 기후와의 점이 지대에 놓이게 되는 지역들이 많다. * [[대한민국]] '''[[경상도]] 남부 내륙[* [[경상북도]] 남부 내륙 지역, [[경상남도]] 서북부 내륙 지역], [[전라남도]] 동부, [[황해도]] 옹진군 지역'''이 여기에 해당된다.[* -3도 기준에서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충청도]] 내륙, [[경상북도]] 내륙 대부분이 온대하우기후가 된다.] * [[중국]] [[산둥성]], [[허베이성]] 남부 지역을 비롯한 [[화북]] 지역, [[쓰촨성|쓰촨 분지]], [[광둥성|광동성]] 해안가, [[윈난성]][* 성도인 쿤밍시는 아열대 고산 기후이다.]. * [[인도차이나 반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북부 지역. 한반도, 중국 화북 지역이 [[냉대 동계 건조 기후]]와 접한 온대하우기후의 북방한계선이라면 여기는 [[사바나 기후]]와의 점이지대인 남방 한계선에 가깝다. * [[인도]] [[파트나]], [[러크나우]]를 포함한 북부 지역, [[메갈라야|마우신람/체라푼지]][* 최근 최난월 기온 22.5도로, 이곳으로 편입되었다.], * [[일본]] [[간토]] 내륙지역([[군마현]], [[도치기현]] 등) * [[남아메리카]] [[브라질]] [[벨루오리존치]], [[아르헨티나]] [[코르도바]] * [[아프리카]] [[잠비아]] [[루사카]],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 [[프리토리아]] 인근 고지대 내륙 지방 == 기후 특색 ==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사바나 기후]]의 온대 버전이다. 실제로도 [[사바나 기후]] 혹은 [[열대 몬순 기후]]와 형성 원리는 비슷하나 위도가 높아서 계절 차이가 생기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은 빙하기 때 강수량이 적은 '''사바나 기후'''였다고 추측된다.] 여름에는 습한 기단과 지역풍의 영향으로 한국에서 흔히 [[장마]]라고 일컫는 월 강수량 250mm를 넘는 폭우가 집중되며 [[열대성 저기압|태풍]]까지 자주 북상하므로 [[홍수]]나 [[산사태]]가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습도도 증가한다. 그리고 [[폭염]]도 심하다. 반대로 겨울에는 [[시베리아]]와 중국에서 불어오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며 매우 건조하기 때문에 맑은 날이 많고 일교차[* 영하 8도까지 떨어졌다 다시 영상 8도까지 오르는 어마무시한 일교차를 보인다.]가 크다. 따라서 추울수록 [[가뭄]]과 [[산불]]이 빈발하기 쉬우며 사막 및 스텝 기후대와 인접해 있는 경우 [[황사|모래폭풍]]과 [[미세먼지]] 등에 노출될 확률도 높다. [[지중해성 기후]]와 정반대로 [[열대 몬순 기후]](여름)와 추운 사막 기후(겨울)[* 한국의 겨울 습도는 한낮에 최저 20%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 정도면 거의 중국 내륙 지역의 사막과 동급이다.]가 섞인 형태. 이는 [[냉대 동계 건조 기후]]도 마찬가지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대륙풍으로 인해 겨울에 강수량이 한자릿수가 되거나 아예 0이 되어 버리는 경우도 많으며 실제로도 겨울이나 봄에는 물을 구하기 매우 힘들어진다. 이런 기후 조건상 자연재해를 막기 위한 국토나 하천 정비가 자주 이루어진다.[* [[청계천]]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치수 사업 등은 조선시대에도 존재했다. 조선시대 이전에도 치수 사업은 중요한 국정 업무였다.] 한반도만 해도 고대로부터 [[장마]]철이나 우기에 온 빗물을 가뒀다가 쓰는 [[저수지]] 문화가 발달되어 있으며 산사태를 막는 옹벽도 발달되어 왔다. 하천의 경우 하상계수가 매우 크므로 범람을 막기 위해 콘크리트로 된 제방을 높이 쌓고 일정 구간마다 보를 세워 수량이 줄어드는 것을 막으며 넓은 둔치를 항상 두는 3중 구조로 정비된다. 남부 지방에서조차 [[온돌]]이 쓰이는 원인도 바로 겨울 일교차 때문이다. 논에 물이 적당히 말라붙으므로 밭처럼 쓸 수 있으며 이 때문에 겨울~초여름에 걸쳐 [[보리]]나 [[밀]]과의 부분적 이모작이 가능한 것이 특징.[* 그래서 전통적으로 밀, 보리는 여름 곡식이라는 이미지가 강했었다. 실제로도 장마철 특유의 날씨와 겹쳐져서 [[전(한국 요리)|부침개]]가 가장 많이 팔리는 시기이기도 하다.] 겨울에는 [[비닐하우스]]를 치고 과일을 재배하기도 한다. 다만 일조량이 풍부한 계절은 1월이 아닌 5월~6월 초[* 1월에도 햇빛이 강렬하게 느껴지긴 하나 일조량 자체보다는 태양의 입사각도가 낮은 탓이 크다.]이므로 이 때에 나오는 과일들(오디, 딸기, 산딸기 등)이 가장 맛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러나 한겨울에 하우스로 기르는 과일이 제철보다 더 맛있다는 이야기도 있다.[[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5/01/2015050101834.html|#]] 다만 온대 하우 기후와 온난 습윤 기후의 구분은 여름철 강수량과 겨울철 강수량의 비율에 의해 결정되므로, 겨울철 강수량이 어느 정도 있어도 여름철 강수량이 무지하게 많으면 단지 비율상으로 1/10에 미달해 온난 습윤 기후가 아닌 온대 하우 기후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 [[홍콩]]을 비롯한 중국 남부 해안 지대가 바로 이런 케이스. 온난 습윤 기후처럼 조엽수림이 잘 나타나며 토양은 주로 적색토가 나타난다. 이는 여름의 강우로 인해 염기의 용탈이 심해져 붉게 변하기 때문이다. 단, 열대 사바나기후와 달리 건기에 해당하는 겨울이 무척 추우므로 알칼리성인 라테라이트와 달리 산성을 띄며 영양분은 남아있는 편이다. 온난 습윤 기후와 마찬가지로 여름이 끈적거리고 습해서 [[에어컨]]이 필수이지만 [[온난 습윤 기후|Cfa]], [[냉대 동계 건조 기후|Dwa/Dwb]] 기후에 비하면 겨울 날씨가 나쁘지 않고 햇빛이 많다는 건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냉대 동계 건조 기후|Dw 기후]]와 달리 겨울 기온 자체는 그렇게 낮지 않으므로 옷만 잘 입어주면 햇빛 아래에서 포근한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단, 한파 기간에는 얄짤 없다.] == 같이 보기 == * [[온대기후]] * [[아열대기후]] [[분류:기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