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로게이머/커리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올리버 바하)] [목차] == 개요 == [[올리버 바하|애드미럴]]의 선수 경력을 정리한 문서이다. == 상세 == === 2017-2019년 === ||<-6> '''The Last MeMe Benders''' || || 2017.04.07 || 12강 || MängudeÖÖ '17 오버워치 퀄리파이어 || 1:2 ||PINK BOIZ || * You Kay? * 2019.05.19 - [[조탁]]컵 오버워치 커뮤니티 토너먼트 유럽 #29 (우승) * Rejects * 2019.05.25 - MB 유러피안 인터네셔널 (8강) === 2020년 === ||<-6> '''Munich eSports''' || || 2022.02.20 || 우승 ||플래시 옵스 실험모드 크리에이터 컵 2 EMEA || 3:2 ||Kebabwinkel || === 2021년 === ||<-6> '''Munich eSports''' || || 2022.02.20 || 우승 ||플래시 옵스 실험모드 크리에이터 컵 2 EMEA || 3:2 ||Kebabwinkel || === 2022년 === ||<-6> '''Munich eSports''' || || 2022.02.20 || 우승 ||플래시 옵스 실험모드 크리에이터 컵 2 EMEA || 3:2 ||Kebabwinkel || ||<-6> '''[[런던 스핏파이어|{{{#fff 런던 스핏파이어}}}]]''' || || 2022.07.21 || 12강 ||[[2022 오버워치 리그/미드시즌 매드니스|오버워치 리그 2022시즌 미드시즌 매드니스 ]] || 2:3 ||[[플로리다 메이헴]] || || 2022.09.11 || 6강 ||[[2022 오버워치 리그/서머 쇼다운|오버워치 리그 2022시즌 서머쇼다운 -서부 ]] || 2:3 ||[[플로리다 메이헴]] || || 2022.10.16 || 8위 ||[[2022 오버워치 리그|오버워치 리그 2022시즌 정규시즌]] || 14/10 ||''풀 리그'' || || 2022.11.04 || 6강 ||[[2022 오버워치 리그/플레이오프|오버워치 리그 2022시즌 플레이오프]] || 1:3 ||[[항저우 스파크]] || ||<-6> '''[[런던 스핏파이어/기타 대회 #s-2.3.1|{{{#fff 01 Esports}}}]]''' || || 2022.12.10 || 우승 ||[[런던 스핏파이어/기타 대회 #사우디 e리그 2022 시즌2|사우디 e리그 2022 시즌2]] || 4:2 ||[[Twisted Mind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런던 스핏파이어/2022 시즌)]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런던 스핏파이어/기타 대회, 문단=2.3)] === 2023년 === ||<-6> '''[[런던 스핏파이어|{{{#fff 런던 스핏파이어}}}]]''' || || 2023.04.08 || 8강 ||[[2023 오버워치 리그|오버워치 리그 2023시즌 프로암]] || 0:3 ||[[플로리다 메이헴]] || || 2023.09.04 || 8위 ||[[2023 오버워치 리그|오버워치 리그 2023시즌 정규시즌 -서부]][* 리그 역사상 최초로 서부와 동부의 경기 수가 달라 종합 순위를 매길 수 없다. 동부 순위와 서부 순위를 따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 || 7/9 ||''풀 리그'' || || 2023.10.01 || 6강 ||[[2023 오버워치 리그/플레이오프|오버워치 리그 2023시즌 플레이오프]] || 1:3 ||[[보스턴 업라이징]] || ||<-6> '''[[런던 스핏파이어/기타 대회 #RC2018|{{{#fff RC2018}}}]]''' || || 2023.12.15 || 6강 ||[[런던 스핏파이어/기타 대회 #플래시 옵스 홀리데이 쇼다운|플래시 옵스 홀리데이 쇼다운 EMEA]] || 1:3 ||AWW YEAH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런던 스핏파이어/2023 시즌)]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런던 스핏파이어/기타 대회, 문단=3.1)] === 2024년 === ||<-6> '''[[SrPeakCheck|{{{#fff SrPeakCheck}}}]]''' || || 2024.01.21 || 우승 ||[[Spacestation Gaming/오버워치/2024 시즌/오프시즌 #CGL 고츠 토너먼트|CGL 고츠 토너먼트 유럽]] || 4:1 ||[[Spacestation Gaming/오버워치/2024 시즌/오프시즌 #저먼 크루세이더즈|German Crusaders]] || ||<-6> '''[[일리노이 주립대학교|{{{#fff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 Redbird Esports}}}]]''' || || 2024.01.22 || 준우승 ||[[Spacestation Gaming/오버워치/2024 시즌/오프시즌 #CGL 고츠 토너먼트|CGL 고츠 토너먼트 북미]] || 0:4 ||TBD || || 2024.02.18 || 우승 ||라이드 오브 더 발키리즈 2 다바인 디비전 || 3:1 ||Moon Gorillas || || 2024.02.26 || 우승 ||미드웨스트 이스포츠 인터네셔널 || 3:0 ||[[신시내티 대학교]] || ||<-6> '''[[틀:LeftRightGnight|{{{#fff LeftRightGnight}}}]]''' || || 2024.03.17 || 12강 ||[[2024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EMEA 스테이지 1|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2024시즌 EMEA 스테이지 1]] || 0:3 ||Quick Esports || '''[[Spacestation Gaming/오버워치/2024 시즌/오프시즌 #CGL 고츠 토너먼트|CGL 고츠 토너먼트]]''' 애드미럴은 CGL 토너먼트 유럽과 북미 양쪽 모두에 참가했다. 유럽에서는 Sr피크체크 소속으로 준우승을, 북미에서는 레드버드 이스포츠 소속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유럽 경기 영상[* [[https://www.youtube.com/live/LOuS6AL0eZc?si=TBgdhn-_CzDSII4_|#1]] [[https://www.youtube.com/live/tyrGS1FdpAo?si=PLM8mbxJ34cvijjN|#2]] [[https://www.youtube.com/live/25ruazvNV3w?si=7d6E9MDCqwljAX-t|#3]]] 북미 경기 영상[* [[https://www.youtube.com/live/CeHrkYa2UTw?si=A0DIYiaMZLZ_x1XD|#1]] [[https://www.youtube.com/live/SdPr6nn4_ho?si=7EAd8fNGASpubgPY|#2]] [[https://www.youtube.com/live/0HCspODeJVM?si=EcZY2YFgfPn72zT3|#3]] ] ==== OWCS 2024시즌 EMEA 스테이지1 ==== [include(틀:LeftRightGnight)] 레프트라이트굿나이트의 로스터는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로스터를 기반으로 채워졌다. 따라서 애드미럴과 레탈 외에는 메이저 팀에서 뛰어본 적 없는 무명 선수 위주 팀인 것이 약점이었다. 특히 탱커진이 약점이 되었는데, 아리엘이 포커싱으로 퍼블 당하는 그림이 자주 나왔다. 마지막 경기인 퀵이스포츠 전에서 그 특징이 더 도드라졌다. 아리엘은 거의 모든 한타에서 퍼블 당하고 궁사이클이 계속 밀리면서 불리한 상황이 반복되는 악순환 속에서 애드미럴은 혼자 고군분투했다. 꾸역꾸역 비트 사이클을 따라잡고 같같은 후비트를 통해 반격의 틀을 다지는 등 좋은 모습을 보였다. 특히 마지막 세트에서는 상대의 러쉬를 버티지 못할 뻔 했지만 볼륨업으로 팀원 모두를 살리고 변수킬을 내고 비트 사이클을 오히려 주도하는 등 온몸 비틀기 캐리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결국 팀 체급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0:3 패배를 당하며 스테이지1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