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G 옵티머스 플래그십)] || [[파일:Opt4X_1.jpg|width=100%]] || || [[http://www.lg.com/uk/mobile-phones/lg-P880-optimus-4x-hd|{{{#ffffff 영국 LG전자 LG-P880 공식 사이트}}}]] || '''LG Optimus 4X HD / LG-P880''' [목차] == 개요 == [[LG전자]]가 2012년 2월, [[MWC]] 2012에서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세계 최초로 쿼드코어 CPU를 탑재하고 출시된 스마트폰이다.''' == 사양 == === Optimus 4X HD === ||[[SoC|프로세서]]||[[NVIDIA Tegra]] 3 T30 [[SoC]]. [[ARM Cortex-A9]] MP'''4''' 1.5 GHz [[CPU]], [[NVIDIA]] ULP GeForce 520 MHz [[GPU]] || ||[[메모리]]||1 GB LPDDR2 SDRAM, 16 GB 내장 메모리, micro SDXC (규격 상 2 TB, 64 GB 공식 지원) || ||[[디스플레이|디스]][br][[디스플레이|플레이]]||4.7인치 [[해상도/목록|HD]](1280 x 720) RGB 서브픽셀 방식의 IPS True HD TFT-LCD[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네트워크]]||[[4G|HSPA+]] 21Mbps, [[WCDMA|HSDPA & HSUPA & UMTS]], [[GSM|GSM & EDGE]]|| ||근접통신||[[Wi-Fi]] 1/2/3/4, [[블루투스]] 4.0+HS, [[NFC]] || ||[[카메라]]||전면 130만 화소, 후면 8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배터리]]||Li-lon 2100 ~ 2150 mAh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4.0 (Icecream Sandwich) → 4.1 (Jelly Bean)[br][[옵티머스 UI]] 3.0([[LG UX]] 1.0) || ||규격||68.1 x 132.4 x 8.9 mm, 141 g ||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 ||기타||[[FM#s-2]] [[라디오]] 지원 || === Optimus LTE II === [[옵티머스 LTE II]] 문서 참조. 옵티머스 4X HD의 '''4G LTE 지원 파생 모델'''이자 국내 출시 모델이라서 한국인에게는 파생작이 아니다. == 상세 == 2012년 2월, [[MWC]] 2012에서 공개된 [[LG전자]]의 2012년 플래그십 [[스마트폰]]으로, [[옵티머스 2X]]의 정식 후속작이다. 전반적으로 [[LG전자]]가 기존에 출시한 [[옵티머스 Z]] 등 각진 형태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사양은 우선 AP로 [[NVIDIA Tegra|엔비디아 Tegra]] 3 T30을 사용한다. [[ARM Cortex-A9]] 쿼드코어 [[CPU]]에 저전력 컴패니언 코어가 싱글코어로 추가되었으며 [[엔비디아]] 모바일 GeForce 그래픽을 사용한다. '''이는 상용으로 발매된 스마트폰 중에서는 세계 최초로 쿼드코어 CPU를 탑재한 것이다.'''[* 세계 최초로 쿼드코어를 탑재한 스마트폰은 [[HTC]] Edge지만, 출시되지 못했다. 다만 출시된 건 얘가 맞다.] [[NVIDIA Tegra|엔비디아 Tegra]] 3 T30의 [[CPU]] 구성이 특이하기 때문에 쿼드코어 [[CPU]]가 아닌 펜타코어 [[CPU]]로 마케팅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RAM은 LPDDR2 SDRAM 방식이며 1 GB다. 내장 메모리는 16 GB 단일 모델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4.7인치 HD 720p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IPS True HD TFT-LCD이다. 3G [[WCDMA]] 규격 중 HSPA+ 다운로드 최대 21 Mbps까지 지원한다. 특히 해당 규격은 [[4G]] 기술로도 인정을 받기도 했다. 배터리 용량은 착탈식 2150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2100 mAh이다. 후면 [[카메라]]는 8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으며 전면 [[카메라]]는 13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 샌드위치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 추가 기능 및 주변기기 == == 출시 == 2012년 6월, 독일을 시작으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061010510267727|유럽 시장에 출시]]되었다. 한국에는 2012년 2분기 내로 4G [[LTE]]를 지원하는 모델로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무산되었고, 대신 파생 모델 형태로 [[옵티머스 LTE II]]가 출시되었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OS 업그레이드 === ==== 4.1 젤리빈 ==== 2012년 플래그십 스마트폰 중 하나이지만, 안드로이드 4.1 젤리빈 업그레이드가 2013년 1월 기준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NVIDIA Tegra|엔비디아 Tegra]] 3 T30을 사용한다지만 [[HTC]]의 [[HTC ONE-X|ONE-X]]가 안드로이드 4.1 젤리빈 업그레이드를 실시한 것을 고려할 때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다만, 한국 출시가 되지 않았다보니 한국 내에서의 의견은 별로 없는 편이다. 2013년 4월 5일, 안드로이드 4.1 젤리빈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http://www.smartphenom.com/2013/04/jelly-bean-lg-update.html?utm_source=feedburner&utm_medium=feed&utm_campaign=Feed:+smartphenom/tJBs+(smartphenom)&m=1|#]] 최초 펌웨어 버전은 4.1.2이다. 또한, 안드로이드 4.1 젤리빈 업그레이드 실시 시기와 거의 동 시기에 [[http://www.phonearena.com/news/LG-Optimus-4X-HDs-bootloader-finaly-opens_id40705|'''부트로더가 언락''']]되었다. ~~뭐요?!~~ 그러나, 안드로이드 4.2 젤리빈 이상으로 OS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지 못하고 2012년 플래그십 스마트폰 임에도 빠르게 소프트웨어 지원이 종료되었다. ~~역시 테그라는 커널최척화가...~~ 한국에 출시된 파생모델인 [[옵티머스 LTE II]] 역시 4.1 이상으로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지 않았다. == 논란 및 문제점 == === 4G LTE 모델 미출시 문제 === 3G [[WCDMA]]에서 4G [[LTE]]로 넘어가는 과도기 시점에서 공개되어 한국 등 4G [[LTE]]를 요구하는 국가 및 시장에는 거기에 맞춰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결과적으로 출시되지 못했고 파생 모델 형태로 [[옵티머스 LTE II]]가 대신 출시되었다. 우선, 한국 시장에는 [[LG전자]]가 '[[옵티머스 LTE II]]는 대용량 RAM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되었고, 지금 시기에 출시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입장을 밝혔었다. 하지만, 이건 표면적인 이유일 뿐이고 정확히는 기업 간의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출시가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4G [[LTE]]를 지원하면서 3G [[WCDMA]] 및 2G [[GSM]] 그리고 [[CDMA]] 계열 이동통신을 전부 지원하는 통신 모뎀 솔루션을 가진 공급사는 2012년 상반기 기준, [[퀄컴]]이 유일했다. [[퀄컴]]은 이를 자사의 모바일 AP인 [[퀄컴 스냅드래곤]] 시리즈에 끼워팔기 시작했고, [[퀄컴 스냅드래곤]]과 같이 사용하지 않는다면 최신 통신 모뎀 솔루션의 공급을 거부했다. 비슷한 처지에 놓여있던 [[삼성전자]]의 [[갤럭시 S III]]는 당장 급한 미국 시장과 일본 시장에는 [[삼성 엑시노스]] 4412에서 [[퀄컴 스냅드래곤]] S4 Plus MSM8960로 모바일 AP를 변경해 출시했고, 한국 시장에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통신 모뎀 솔루션을 사용해 대처했다.[* 그나마도 [[CDMA]] 계열 이동통신는 지원하지 않아서 [[LG U+]] 모델은 VIA 텔레콤의 [[CDMA]] 계열 이동통신 지원 통신 모뎀 솔루션을 또 하나 더 박아야했다.] 자체적인 통신 모뎀 솔루션 개발 능력이 전무했던 [[LG전자]]는 [[NVIDIA Tegra|엔비디아 Tegra]] 3 T30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4G [[LTE]]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에 제약이 생겼고[* 무식한 방법을 사용했다면 가능했다. [[NVIDIA Tegra|엔비디아 Tegra]] 3 T30에 3G [[WCDMA]] 및 2G [[GSM]] 지원 통신 모뎀 솔루션을 박고 4G [[LTE]] 지원 통신 모뎀 솔루션을 별도로 박으면 된다. 하지만, 이 경우 전력 소모에서 큰 디메리트를 가지게 되어 안하는 것만 못하게 된다.] 결국 [[퀄컴 스냅드래곤]] S4 Plus MSM8960으로 모바일 AP를 변경하고 정식 발매명 역시 쿼드코어 [[CPU]]를 의미하는 '4X'를 사용할 수는 없으니 변경을 한 [[옵티머스 LTE II]]를 준비할 수 밖에 없었다.--그럼 4x를 자급제로 팔면 되잖아-- 여담으로, [[퀄컴]]은 2012년 중순부터 자신들의 최우선 고객인 [[삼성전자]]와 [[Apple|애플]]에 대해서만 한정적으로 최신 통신 모뎀 솔루션 공급을 재개했다. 따라서, [[삼성전자]]의 [[갤럭시 S III]] 유럽판, 글로벌 LTE 모델의 일본형인 갤럭시 S III α[* 일본에는 스냅드래곤 S4 Plus 모델이 NTT 도코모용으로는 갤럭시 S III, KDDI용으로는 갤럭시 S III Progre로 출시되었고 엑시노스 4412 모델이 NTT 도코모를 통해 갤럭시 S III α로 출시되었다.], 국제판 LTE 모델인 GT-I9305와 [[갤럭시 노트 II]], [[Apple|애플]]의 [[아이폰 5]]에는 [[퀄컴 스냅드래곤]] S4 Plus MSM8960에 내장된 최신 통신 모뎀 솔루션인 퀄컴 고비 MDM9x15가 정상적으로 탑재되었다. [[분류:LG 옵티머스]][[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