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옹정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5.354182 127.295676,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Ongjeong || || [[한자]] ||<-2> 甕井 || || [[간체자]] ||<-2> 瓮井 || || [[가나(문자)|가나]] ||<-2> [ruby(甕井, ruby=オンジョン)] || ||<-3> '''주소''' || ||<-3>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입암리 1297-4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br]([[전주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 ||<-3> '''운영 기관''' || || [[전라선]] ||<-2> [[한국철도공사]] || ||<-3> '''개업일''' || || [[전라선]] ||<-2> 1959년 7월 11일 || ||<-3> '''철도거리표''' || || [[익산역|{{{#!html
익산 방면}}}]][[주생역|주 생]][br]← 3.0 ㎞ || '''[[전라선]]'''[br]옹 정 || [[여수엑스포역|{{{#!html
여수엑스포 방면}}}]][[금지역|금 지]][br]3.1 ㎞ → || [[파일:옹정역.jpg]]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선]]의 철도역.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입암리 소재. == 역 정보 == 역명은 이 역 근처에 항아리처럼 생긴 [[우물]]이 있다고 해서 독우물이라고 불리던 것을 [[한자]]화한 것. 甕. 독 '''옹'''이라고 읽는다. [[역세권]]이 역세권이다보니 수요를 채울 수가 없어 [[2004년]] [[7월 15일]]부로 여객영업은 중지했지만 동년 [[8월 5일]]에 [[전라선]] 이설과 함께 역사도 이전되었다. 지금의 간이역이 실제로 쓰인 적은 없는 셈.(12년도에 근처 금지동초등학교의 여수엑스포 현장 학습때 잠깐 쓰였다.) --예산낭비-- 현재는 전라선 KTX의 고속주행을 위해[* 풍압 때문에] 역사가 철거된 상태이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승강장 역시 폐쇄된 상태다. [[봉덕역]]의 승강장과 같이 승강장 대기실이 놓여 있었다. 역 구내에 3퍼밀의 구배가 있다. == 역 주변 정보 == 역 주변의 옹정리는 [[김주열]] 열사의 고향으로, 김주열의 모교인 금지동초등학교가 인근에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전라선의 역 목록)] [[분류:195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전라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남원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