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북한의 일반철도 노선)] 甕津線 / Ongjin Line == 개요 == 북한에서 해옹선을 개칭하고 표준궤로 [[개궤]]한 노선 토해선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철도]]는 [[황해도]]지역의 [[경의선]]([[평부선]]) 인근 지역과 떨어져 있는 지역에 협궤철도를 부설하는 계획을 수립할 때 지어진 노선이다. 주요 경유지는 [[해주시]], [[벽성군]], [[강령군]] ([[신강령역]]), [[옹진군(황해도)|옹진군]]이다. 북한 치하에서 취야리, 국봉리등이 벽성읍이 되면서 취야역이 벽성역이 되고, 국봉역은 폐역됐다. 이 노선에서는 항구로 가는 철도가 분기하고 있다. [[왕신역]]에서는 해주항으로 가는 정도선이 분기한다. 정도(鼎島)는 해주 남단의 섬이었는데 육지화되었다. 사실 원래 해주항으로 가는 철도는 옹진선에서 분기하지 않았는데 해주 시내 구간이 이설되면서 지선이 된 것. 또 [[신강령역]]에서는 부포항으로 가는 [[부포선]]이 분기한다. 부포선은 신강령역에서 옹진까지 본선보다 길다. 옹진반도 구간은 38선 아래에 있어서 미군정때 국유화된 사철이기도 하다. 하지만 [[토해선]]은 남한 내에서 의미 있는 구간이 있던 것과 달리 신강령역에서 옹진역까지 짧은 구간이었기 때문에 전쟁후 [[동해북부선]]처럼 실질적인 운행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 역 목록 == 1944년 3월 29일자 조선총독부 관보 기준 || ㎞ || 역명 || 한자 || 환승노선 || 소재지 || || 0.0|| 해 주 ||海 州 || [[황해청년선|황해선]] ||<|2><#DCDCDC> 해주시 || || 3.4|| 서해주 ||西海州 || || || 7.1|| 문 정 ||文 井 || ||<|2>벽성군 서석면 || || 10.8|| 서 석 ||西 席 || || || 15.6|| 취 야 ||翠 野 || ||<|3><#DCDCDC>벽성군 가좌면 || || 18.6|| 국 봉 ||菊 峰 || || || 23.6|| 자 양 ||紫 陽 || || || 26.5|| 장 둔 ||長 屯 || ||<|1>벽성군 월록면 || || 31.2|| 신강령 ||新康翎 || [[부포선]] ||<|1><#DCDCDC>옹진군 부민면 || || 37.0|| 냉 정 ||冷 井 || ||<|2>옹진군 옹진읍 || || 40.4|| 옹 진 ||甕 津 || || 현재의 역 목록(2012년 기준) * [[해주청년역]] * [[왕신역]] * [[서해주역]] * [[문정역(옹진선)]] * [[서석역]] * [[벽성역]] * [[자양역]] * [[신강령역]] * [[랭정역]] * [[옹진역]] [[분류:옹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