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와시츠.jpg]] {{{+1 [ruby(和室, ruby=わしつ)]}}} [목차] == 개요 == 현대 [[일본]]의 [[주택]]에 있는 전통식 [[방]]. 주로 화양절충식 주택에서 서양식 방인 양실(洋室)과 따로 구분 짓기 위하여 부르는 말이다. 한국어로는 화실이라고 읽는다. [[거실]]이나 [[안방]]으로 주로 쓰이며, 거실이 양실인 경우에는 안방 내지 [[응접실]]로 쓰인다. [[한국]]의 주택은 따로 전통식으로 꾸민 방이 없는 반면, [[일본]]은 웬만하면 집에 와시츠를 꼭 하나는 두려고 한다. 그래서 양실을 [[거실]]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따로 집안에 와시츠가 있는 경우가 많다. 일본인들은 와시츠에서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한다. == 구성 == * '''[[다다미]]'''([ruby(畳,ruby=たたみ)]) 와시츠의 바닥에 까는 볏집 소재의 [[바닥재]]. * '''도코노마'''([ruby(床,ruby=とこ)]の[ruby(間, ruby=ま)]) [[족자]]나 [[화병]]을 놓기 위해 방 한 켠에 따로 마련된 장식용 공간. 벽을 뚫어 움푹 들어가 있으며, 단을 높였다. 도코노마가 있는 쪽이 상석이므로, 보통 집안의 어른이 도코노마를 등지고 앉으며, 손님이 오면 그 자리를 손님에게 양보하고 집 주인이 도코노마를 바라보는 아랫자리에 앉는다. * '''[[오시이레]]'''([ruby(押入,ruby=おしい)]れ) 일본식 [[붙박이장]]으로, 장지문을 달고 그 안을 수납공간으로 사용한다. 보통의 와시츠에서는 도코노마 옆에 마련된다. * '''[[코타츠]]'''([ruby(炬燵,ruby=こたつ)]) 방의 가운데에 놓는 난방기구가 갖추어진 [[탁자]]. * '''[[부쓰단]]'''([ruby(仏壇,ruby=ぶつだん)]) 가정용 [[불단]]으로, [[장롱]]처럼 생겼다. 안에 작은 [[불상]]이나 [[조상]]의 [[위패]]를 놓는다. 도코노마에다 놓기도 하고, 도코노마와는 따로 놓기도 한다. 다만, 모든 집이 부쓰단을 구비하고 있는 건 아니다. [[분류:일본의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