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e스포츠]]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 ---- ||<-4> [[파일:wildriftesports.png|width=300]] || || '''{{{#FFF 운영주체}}}''' ||<-3> [[라이엇 게임즈|[[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svg|width=110]]]] || || '''{{{#FFF 글로벌 총괄}}}''' ||<-3> '''레오 파리아(Leo Faria)''' || || {{{#FFF '''컬러'''}}} ||<-3> {{{+5 {{{#7734FE ■}}} {{{#000 ■}}}}}} || || '''{{{#FFF 국제 대회}}}''' ||<-3> 와일드 리프트 리그-아시아 || ||<-4> [[https://wildrift.leagueoflegend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6]]]] | [[https://www.youtube.com/c/wildriftesport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WildRiftEsport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8]]]]|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wildriftesports, 크기=18)] | [[https://www.instagram.com/wildriftesports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8]]]]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IhMEyxDlJU)]}}} || || {{{+1 {{{#FFF '''The Wild is Waiting | 와일드한 시작이 기다립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의 [[e스포츠]] 대회에 관한 문서. == 역사 == === 2020년~2022년: 태동기 === 2020년 말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가 출시되고 몇 개월 뒤인 2021년 와일드 리프트를 기반으로 한 e스포츠 대회가 세계 각국에서 열리기 시작했고, 이 지역 대회를 기반으로 [[Wild Rift: Horizon Cup]] 등 국제 대회도 열렸다. 대한민국에서는 [[왕자영요]] 국내 리그 KRKPL이 폐지되면서 왕자영요 프로게이머들이 와일드 리프트로 대거 전향해 활동하고 있다. 2022년 1월 8일, [[라이엇 게임즈]]가 2022 시즌의 시작과 함께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의 e스포츠 출범을 알리며 첫 번째 공식 시즌을 발표하였다. [[LoL e스포츠]]와 마찬가지로 지역 리그와 국제 대회로 구성되는데, 지역 리그는 총 8개 지역으로 대한민국(WCK), 중국(WRL), 일본(WJC), 동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WCS), 유럽 및 아프리카(WREC), 북미(WNS), 라틴 아메리카(WOL), 그리고 브라질(WBR)이다. 지역 리그는 1월부터 5월까지 열리고, 여름에는 와일드 리프트의 첫 번째 공식 국제 대회인 [[와일드 리프트 아이콘스 글로벌 챔피언십]]이 열린다. 대회에는 총 24팀이 진출하며 각 지역 리그에서 승리한 8팀은 즉시 그룹 스테이지에 진출하고 16팀은 플레이-인 스테이지를 진행하고 그 중 8팀이 그룹 스테이지로 진출한다. 이후 넉아웃 스테이지를 진행하여 와일드 리프트 e스포츠 챔피언을 가린다. === 2023년~: 암흑기 === 2023년부터 와일드 리프트 e스포츠는 아시아 지역으로 축소 운영되며 중국 WRL 출신 12팀과 그 외 아시아 지역 8팀이 참가하는 단일 리그로 개편되었다. 이 때문에 리그가 사라지는 미국, 라틴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에서는 심히 분노했다.[[https://wildriftesports.com/ko-kr/news/next-steps-for-wild-rift-esports/|#]] 다만 공식 리그가 없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이들 지역에서는 사설 대회를 만드는 것을 허용했다. 당연히 대한민국 팀들도 속절없이 해체되었다. [[T1/와일드 리프트|T1]]은 이미 와일드 리프트에서 손을 뗐고, 리빌딩을 선언했던 [[Team GP/와일드 리프트|Team GP]]는 재정난까지 겹쳐져 재창단을 포기했으며, 연말에는 [[Liiv SANDBOX/와일드 리프트|Liiv SANDBOX]]가 모기업의 경영난으로 인해 해체되었다. 2023년 1월 [[광동 프릭스/와일드 리프트|광동 프릭스]]마저 해체되면서 대한민국 와일드 리프트 프로게임단은 [[Rolster Y]]만 남게 되었다. 그리고 해체된 이들은 은퇴할 이들은 은퇴하고 아직 젊은 선수들은 병역의무를 1년 6개월동안 이행하며, 와일드 리프트가 다시 떠오르는 때를 기약한다.[* 이들이 전부 전역 및 소집해제를 하는 때는 최장 [[2025년]]이 될 예정이다.] ==== 왜 몰락했는가? ==== * [[와일드 리프트 마이너 갤러리]]에서 말한 원인 [[https://m.dcinside.com/board/lolol/246574|#]] * [[T1/와일드 리프트|T1]] 전 코치 Jun의 인터뷰 [[https://m.dcinside.com/board/lolol/247115|#]] 가장 큰 원인은 '''밸런스 실패'''라 사실상 결론 지어지고 있다. 실제로 와일드 리프트 e스포츠가 출범한 직후에는 나름 관심도가 적지 않았으나, 매번 대회에서는 바텀이 오직 [[비원딜]] 혹은 스킬형 원딜인 [[바루스]], [[애쉬(리그 오브 레전드)|애쉬]]만 사용하는 와중에 이를 견제하려는 움직임이 매우 미온적이고[* 공속 관련 룬을 내지 않겠다는 약속도 정통 원딜이 심각하게 안좋아지자 약속을 깨고 출시했지만 상황이 전혀 나아지지 않았고 해결책도 고작 폭풍갈퀴 아이템의 조합식 변경 외에는 이렇다 할 해결 방안을 내지 못했다.] '''오히려 장려'''하는 바람에 바텀이 라인 지우개와 포킹만 하는 메타로 경직되었다.[* 가장 비원딜이 공공연하게 사용된 본가의 시즌 8 중반 패치에서도 이 정도의 파급력은 아니었으며, 그래도 그때는 [[자야(리그 오브 레전드)|자야]], [[카이사]] 등의 일부 스킬 기반의 치명타 원딜이 조금이나마 살아있었고 결국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해당 시즌 롤드컵]]에 와서는 패치가 일부 수정되어 당시 대회 우승 원딜인 [[위원보|JackeyLove]]를 상징하는 두 원거리 딜러 챔피언이 카이사와 자야가 되었다. 카이사는 월즈 우승 스킨, 자야는 [[Take Over]] 뮤비에서 재키러브를 대표하는 챔피언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현 와일드 리프트 프로 메타에서는 방관 바루스, 세나 등을 제외하면 정통 치명타 원딜은 '''루시안을 제외하고는 말 그대로 멸종했다.''' 그마저도 ICONS 대회 기준 루시안 빌드가 몰락-블클 빌드가 반 이상이고 승률도 14승 26패, 밴률 60%로 사실상 밴만 많이 당하지 사실상 패귀픽에 가까웠는지라 논쟁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는 수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혀 패치로 이를 살려낼 생각이 없는듯한 상황.] 이 때문에 라인만 지우고 다니는 바텀을 보며 라인전부터 싸워 나설 이유가 없는 탑 입장에서도 굳이 빡센 라인전을 할 이유가 없기에 탑도 눕고 결국 미드, 정글 의존도를 높여서 다양한 상황없이 나오는 챔피언만 나오고, 단편적인 오브젝트 운영만 보여주고 끝나는 모습을 '''2년 동안''' 보여줘 재미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 실제로 LCK를 진행 안 할때 볼게 없어진 LCK 시청자들을 죄다 이쪽으로 보내고, 울프, 플레임 등 일부 스트리머 까지 동원하여 방송하는 극약 처방을 해야 그나마 시청률을 챙길 수 있으며, 그마저도 도박하는 사람들이 대다수 이다. 또한, 채팅창의 반응들도 LCK 챌린저스나 아카데미보다도 안좋다.] 사실상 게임 자체의 어쩔 수 없는 문제에 가깝다. 기존 롤의 운영 방식을 모바일 AOS로 옮겨지면서, 평균 40분 게임에 맞추어진 시스템을 10~20분 게임으로 맞추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문제점이 터지기 시작한다. [* 사실상 짧은 플레이 타임에 나오는 전령 딜 또한 PC 버전과 다르게 4골이 까이면서, 엄청난 격차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미드 다이브 이후, 전령 2포탑 철거와 같은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 이외에도 포지션의 문제도 자주 거론되는데 사실상 바텀을 제외한 나머지 라인에서는 챔프가 고정[* 4.2 패치 이후, 정글링 보다 로밍으로 전라인을 터트리는 '''정글 트위치''', 원딜 아이템 상향 이후, 해외에서도 잠시동안 OP픽이었던 2~3 코어 부터 엄청난 딜을 뽐내며 한타를 파괴하는 '''미드 진''', 체력회복과 무난한 딜탱으로 로밍을 통한 지원을 진행하는 '''미드 가렌''', 패시브 변경으로 인해 솔라이너로 활용이 가능하며, 기가 막힌 한타력과 이동기로 사용되는 '''정글 닐라''' 등등 ]되어있지 않기에, 스왑픽에 스왑픽, 바텀 탑 스왑 전략 등이 자주 발생한다. 그 외에도 와일드 리프트 부서 내의 합이 잘 맞지 않아 운영이 매끄럽지 못했다 의견도 존재하며, 2년 동안 리그를 운영하면서 [[페이커]], [[문호준]] 등의 스타 플레이어 발굴에도 실패하면서 흥행 실패에 한몫했다는 의견도 있다.[* 그나마 스타 플레이어에 가까웠던 선수가 롤스터 Y의 원딜 [[최우석(프로게이머)|루나]]와 광동 프릭스의 정글 [[김대현(2003)|제키]]가 있었으나 리그 축소의 영향으로 인해 언급이 줄어들고 말았다.] 게다가 [[왕자영요]]도 글로벌 버전 아너 오브 킹즈의 정식 런칭에 앞서 모바일 게임 대회 역대 최고의 상금[* 세계 대회 KIC 2022의 총 상금이 아이콘스보다 5배나 많고, 본선 16강에만 올라가도 3억이 넘는 상금이 주어진다.]으로 대회에 뛰어들고, [[모바일 레전드]]는 여전히 동남아 모바일 AOS계를 장악하며, 설상가상으로 같은 라이엇 게임인 [[발로란트]]의 예상을 뛰어넘는 흥행[* 당장 봐도 [[2022 와일드 리프트 아이콘스 글로벌 챔피언십]]의 트위치 뷰어쉽이 전 세계 시청자 수 4만명에 그친데 반해서 비슷한 시기에 개최된 국제 대회인 [[발로란트 2022 챔피언스 이스탄불]]은 '''한국에서만 4만명'''이고 전 세계 기준으로는 최고 '''70만명'''까지 달성했다. 흥행의 차이가 엿보이는 부분.]으로 인해 관심이 급격하게 기울면서 와일드 리프트 e스포츠의 미래는 암울해질 수 있다. ==== 대책 ==== 이러한 와일드리프트 e스포츠가 겪는 질곡의 세월을 끝내기 위해 라이엇 측에서도 아래와 같은 대책을 세웠다. 챔피언 출시: 제리, 트위치, 닐라, 시비르, 스웨인, 자이라 출시 원거리 딜러용 아이템 추가: 도미닉경의 인사, 불멸의 철갑궁, 징수의 총등 원거리 딜러 버프: 4.2패치 사거리 증가 이러한 대책이 효과가 있었는지 새로운 E스포츠 대회인 [[2023 Wild Rift League Asia Season 1]]는 2023년 2월 10일부터 예선을 진행해 2023년 4월에 개막하였다. 또한, 2023년 9~10월 부터 WRL 시즌 2가 열린다는 이야기가 나돌았고, 드디어 2023년 11월 부터 2024년 1월까지 [[2023 Wild Rift League Asia Season 2]]가 공식적으로 열렸다. 좋은 분위기가 계속되자 2024년에 세계 대회를 다시 할 예정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 대회 == === 국제 대회 === * [[와일드 리프트 아이콘스 글로벌 챔피언십]] === 지역 리그 === [include(틀:와일드 리프트 e스포츠 지역 리그)] LoL e스포츠의 지역 분류를 따르는 편이며, LEC(유럽)+LCL(독립국가연합)+TCL(터키)은 WREC 지역으로, LCO(오세아니아)+PCS(대만, 홍콩 및 동남아시아)+VCS(베트남)는 WCS 지역으로 묶였다. == 프로게임단 == === 대한민국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프로게임단/대한민국)] == 기타 리그 및 대회 == * [[와낳대]] * 제1차 클럽 대항전 * 와일드리프트 라이징 스타: 유튜버 [[로렘입숨(유튜버)|로렘입숨]]이 개최한 대회이다. 현재 2회까지 진행했다. * 와리와리 대난투: 2021년 7~8월 동안 진행한 2500만원이 걸린 대회로, [[와낳대]]의 후속격 대회이다. * 와일드 리프트 라이벌즈: 과거에 PC버전의 국제대회인 [[리프트 라이벌즈]]를 모방한 한국과 중국의 지역대전이다. 2021년은 중국의 승리로 끝났다. 총 상금은 승리한 팀이 2200만원을 가져갔고, 패배한 팀은 1100만원을 가져갔다. * [[와일드 리프트 마이너 갤러리#s-4.2|와일드 리프트 갤러리 컵]]: 와일드 리프트 마이너 갤러리에서 시작된 아마추어 대회로 현재 시즌 6까지 진행되었지만 모종의 사건을 이유로 와맆갤과는 갈라서게 되었다. * SEA icon: 동남아시아 지역리그이다.2021년 2월부터 시작한 대회이며, 동남아시아 특성상 모바일 게임의 활성화가 두드러져서 총 54개의 팀으로 규모가 크다고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2021년 10월 3일 결승전에서 걸그룹 [[aespa]]와 콜라보 공연했던 대회로 알려져 있다.[[https://twitter.com/wildriftPHL/status/1442821398750134276?s=19|#]] 이후 각 지역에서 올라온 21개의 팀이 동남아시아 챔피언십의 승자가 되기위해 경쟁을 하고 이중 상위 2팀만이 11월에 호라이즌 컵에 동남아시아 지역 대표로 진출할 기회를 획득한다. * Origin: 유럽 지역리그 * Wild Tour: 브라질 지역리그 * Spark Invitationa l: 중국 지역리그 * [[Wild Rift: Horizon Cup]] * Wild Circuit: 비시즌 지역대회 * Asia: 한, 일, 동남아가 겨루는 대회 * EMEA * Brazil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 version=1025, paragraph=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