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구 관련 인물(NPB)]] [include(틀:주니치 드래곤즈/간략(투수))] ---- ||
'''{{{#ffffff 와쿠이 히데아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1라운드 지명선수)] ---- ||<-2>
[[파일:2008세이부.png|width=90]][br]'''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08년 일본시리즈|{{{#ffffff 2008}}}]]''' || ---- ||<-2>
[[파일:2008아시아시리즈챔피언.png|width=90]][br]'''아시아시리즈''' '''우승반지''' || || '''[[아시아시리즈|{{{#ffffff 2008}}}]]'''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f8f2d, #3fb1e5)"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09년 일본프로야구 사와무라 상}}}'''}}} || || [[이와쿠마 히사시]] [br]([[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 '''와쿠이 히데아키 [br]([[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 [[마에다 켄타]] [br]([[히로시마 도요 카프]]) || ---- ||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30]]]] [br] '''[[2008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white 2008 퍼시픽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 ---- ||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br] '''[[일본프로야구|{{{#ffffff 2007, 2009, 2015, 2020년 퍼시픽 리그 다승왕}}}]]''' || ---- ||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br] '''[[골든글러브(일본프로야구)#s-3.1|{{{#ffffff 2009~2010, 2015~2016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골든 글러브}}}]]''' || ---- ||<-5> '''{{{#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16번}}}''' || || 시오자키 테츠야[br](1990~2004) || {{{+1 →}}} || '''와쿠이 히데아키[br](2005~2008)''' || {{{+1 →}}} || [[이시이 가즈히사]][br](2009~2013) || ||<-5> '''{{{#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18번}}}''' || || [[마쓰자카 다이스케]][br](1999~2006) || {{{+1 →}}} || '''{{{#fff 와쿠이 히데아키[br](2009~2013)}}}''' || {{{+1 →}}} || [[타와타 신사부로]][br](2015~2020) || ||<-5> '''{{{#fff [[치바 롯데 마린즈|'''{{{#ffffff 치바 롯데 마린즈}}}''']] 등번호 16번}}}''' || || 유헤이 나카우시로[br](2012~2013) || {{{+1 →}}} || '''{{{#000 와쿠이 히데아키[br](2014~2018)}}}''' || {{{+1 →}}} || [[타네이치 아츠키]][br](2020~) || ||<-5> '''{{{#fff [[치바 롯데 마린즈|'''{{{#ffffff 치바 롯데 마린즈}}}''']] 등번호 18번}}}''' || || [[후지오카 타카히로]][br](2012~2018) || {{{+1 →}}} || '''{{{#000 와쿠이 히데아키[br](2019)}}}''' || {{{+1 →}}} || [[후타키 코타]][br](2020~) || ||<-5> '''{{{#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번호 16번}}}''' || || 모리 유다이[br](2013~2019) || {{{+1 →}}} || '''{{{#ffcc00 와쿠이 히데아키}}}[br]{{{#ffcc00 (2020~2022)}}}''' || {{{+1 →}}} || [[이시이 가즈히사]][br](2023~) || ||<-5>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ffffff 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20번}}}''' || || 노무라 료스케[br](2015~2017) || {{{+1 →}}} || '''{{{#ffffff 와쿠이 히데아키}}}[br]{{{#ffffff (2023~)}}}'''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中日涌井.jpg|width=100%]]}}} || ||<-2> '''주니치 드래곤즈 No.20''' || ||<-2> {{{#ffffff '''{{{+2 와쿠이 히데아키}}}[br] 涌井秀章 | Hideaki Wakui'''}}} || || '''생년월일''' ||[[1986년]] [[6월 21일]] ([age(1986-06-2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출신지''' ||[[치바현]] [[마츠도시]]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체격''' ||185cm 86kg || || '''출신교''' ||요코하마 고등학교(横浜高等学校) || || '''프로입단''' ||2004년 드래프트 1순위 || || '''소속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2005~2013)''' [br]'''[[치바 롯데 마린즈]] (2014~2019)''' [br][[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20~2022) [br] [[주니치 드래곤즈]] (2023~)|| || '''SNS''' ||[[https://www.instagram.com/wakui_hideaki/|인스타그램]] || || '''등장곡''' ||[[SixTONES]] - [[Imitation Rain]] || || '''연봉''' ||2022 / ¥110,000,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프로야구]]의 前 세이부 라이온즈, [[치바 롯데 마린즈]],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現 [[주니치 드래곤즈]] 소속의 선발 투수다.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선수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와쿠이주니치.jpg|width=100%]]}}} || || '''{{{#ffffff 와쿠이 히데아키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통합 선수 경력: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e9afe 16%, #143d69 21%, 41%, #9e751f 46%, 70%, #600000 75%, 87%, #003570 92%)" '''[[NPB|[[파일:NPB 로고.svg|width=60]]]]'''}}} ||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3.1|'''{{{#FFFFFF 2005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3.2|'''{{{#FFFFFF 2006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3.3|'''{{{#FFFFFF 2007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3.4|'''{{{#FFFFFF 2008년}}}''']] ||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3.5|'''{{{#FFFFFF 2009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3.6|'''{{{#FFFFFF 2010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3.7|'''{{{#FFFFFF 2011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3.8|'''{{{#FFFFFF 2012년}}}''']] ||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3.9|'''{{{#FFFFFF 2013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4.1|'''{{{#FFFFFF 2014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4.2|'''{{{#ffffff 2015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4.3|'''{{{#ffffff 2016년}}}''']] ||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4.4|'''{{{#ffffff 2017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4.5|'''{{{#ffffff 2018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4.6|'''{{{#ffffff 2019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5.1|'''{{{#ffcc00 2020년}}}''']] ||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5.2|'''{{{#ffcc00 2021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5.3|'''{{{#ffcc00 2022년}}}''']] || [[와쿠이 히데아키/선수 경력#s-6.1|'''{{{#ffffff 2023년}}}''']] || || }}}}}}}}} ||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와쿠이투구폼.gif |width=100%]]}}} || ||<#275CAC> '''정면에서 본 투구폼''' || [youtube(irfy5Ui1qLM)] 세이부 시절 스리쿼터 폼에서 나오는 평균 구속 142 km/h, 최고 구속 151 km/h 의 패스트볼을 가지고 있었다. 보통 140 km/h 정도에만 머물러 있지만 2012년에는 마무리로 기용되었을 때에는 평균 구속 약 144 km/h를 기록했다. 나이가 40줄에 가까워 지는 2022년부터는 소화하는 이닝이 줄어들었지만, 구속을 더욱 끌어 올려 평균 146km/h, 최고 152km/h를 기록하고 있다. 공의 릴리스 포인트가 좋고 밸런스가 잡힌 폼에서 날카로운 속구와 다양한 변화구를 던지는 정통파 우완투수이며, 거기다 평소 러닝을 많이 한 덕분에 하체의 힘도 강해 9회에도 140 km/h를 넘기며 구속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 지구력을 가지고 있다. 변화구는 슬라이더, 커브, 포크볼, 체인지업, 슈트라 불리는 투심성 회전공 등을 던지며 “어느 구종이라도 스트라이크를 잡을 수 있어 승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타자에게서는 상대하기가 대단히 어렵다”라고 말하는 반면 “삼진을 잡을 수 있는 결정구가 없기 때문에 한 경기의 투구 수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 외 2011년 견제사 양대리그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투구외적인 주자견제능력, 투수 수비력도 뛰어나며, 변화구가 먹통이 되었을 때 레퍼토리를 수정하는 등 상황에 맞게 대처하는, 소위 말하는 경기운용능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다만 탈삼진율은 2015년 기준으로 통산 6.66으로 그렇게 높지는 않으며. 딱 일본인 투수 하면 생각나는, 제구력과 수싸움, 다양한 변화구로 승부를 보는 전형적인 일본식 피네스 피처에 가까운 스타일이다. 특이사항으로 통산 [[몸에 맞는 공]] 101개로 현역 NPB 투수 중 1위, 전체 16위에 올라 있을 정도로 몸에 맞는 공이 많은 편이다. 몸쪽 승부가 잦고 [[히가시오 오사무]]의 뒤를 따라 그걸 팀 차원에서 권장하는 세이부의 에이스로 활약한 기간이 길기 때문으로 추정. 타격은 타석에 설 일 없는 퍼시픽리그 투수라지만 이를 감안해도 안 좋은 듯. 프로데뷔 3년만에 첫 안타를 쳤으며 6년만에 첫 타점을 뽑았을 정도로 교류전에서 괴멸적인 타격을 선보였다.[* 다만 2010년 요코하마와의 교류전에서 1경기 3안타 4타점으로 인생경기를 한 적이 있다.] == 여담 == * [[김태균]]이 일본프로야구 데뷔전[* 2010년 3월 20일, [[세이부돔]].]에서 4연타석 삼진을 당할 당시, 상대팀 선발투수가 바로 [[와쿠이 히데아키]]이다. * 2010년 5월 7일, [[소프트뱅크 호크스]]전에서 8회까지 [[노히트 노런]]을 기록하다가, 9회 첫타자 [[이범호]]에게 안타를 맞고 기록이 깨진다. 그래도 이후 후속타자들을 범타로 처리하고 1피안타 완봉승을 거둔다. 즉, [[이범호]]만이 그경기에서 유일한 1안타.[* 당시 이범호는 일본에서 제대로 부진하면서 팬들에게도 신나게 까이던 상태였다.] == 연도별 기록 == ||<-15><#143d69> '''세이부 통산 기록''' || || 년도 || 소속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탈삼진 || WHIP || || 2005 ||<|9><:>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西武]]|| 13 || 55⅓ || 1 || 6 || 0 || 0 || 0.143 || 7.32 || 62 || 11 || 23 || 57 || 1.54 || || 2006 || 26 || 178 || 12 || 8 || 0 || 0 || 0.600 || 3.24 || 161 || 16 || 53 || 136 || 1.20 || || 2007 || 28 || '''213''' || '''17''' || 10 || 0 || 0 || 0.630 || 2.79 || '''199''' || 14 || 50 || 141 || 1.17 || || 2008 || 25 || 173 || 10 || 11 || 0 || 0 || 0.476 || 3.90 || 173 || 16 || 51 || 122 || 1.29 || || 2009 || 27 || '''211⅔''' || '''16''' || 6 || 0 || 0 || 0.727 || 2.30 || 162 || 12 || 76 || 199 || 1.12 || || 2010 || 27 || 196⅓ || 14 || 8 || 0 || 0 || 0.636 || 3.67 || '''191''' || 21 || 54 || 154 || 1.25 || || 2011 || 26 || 178⅓ || 9 || '''12''' || 0 || 0 || 0.429 || 2.93 || 184 || 9 || 41 || 108 || 1.26 || || 2012 || 55 || 63 || 1 || 5 || 30 || 3 || 0.167 || 3.71 || 66 || 1 || 22 || 40 || 1.40 || || 2013 || 45 || 92⅓ || 5 || 7 || 7 || 13 || 0.417 || 3.90 || 89 || 4 || 29 || 79 || 1.28 || ||<-15><#000000> '''롯데 통산 기록''' || || 년도 || 소속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WHIP || || 2014 ||<|6><:> [[치바 롯데 마린즈|ロッテ]]|| 26 || 164⅔ || 8 || 12 || 0 || 0 || 0.400 || 4.21 || 158 || 9 || 63 || 116 || 1.34 || || 2015 || 28 || 188⅔ || '''15''' || 9 || 0 || 0 || 0.625 || 3.39 || 178 || 11 || 57 || 117 || 1.25 || || 2016 || 26 || 188⅔ || 10 || 7 || 0 || 0 || 0.588 || 3.01 || '''195''' || 15 || 48 || 118 || 1.29 || || 2017 || 25 || 158 || 5 || 11 || 0 || 0 || 0.313 || 3.99 || 156 || 20 || 53 || 115 || 1.32 || || 2018 || 22 || 150⅔ || 7 || 9 || 0 || 0 || 0.438 || 3.70 || 155 || 16 || 43 || 99 || 1.31 || || 2019 || 18 || 104 || 3 || 7 || 0 || 0 || 0.300 || 4.50 || 121 || 14 || 27 || 87 || 1.42 || ||<-15><#900000> '''라쿠텐 통산 기록''' || || 년도 || 소속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WHIP || || 2020 ||<|2><:>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楽天]]|| 20 || 130 || '''11''' || 4 || 0 || 0 || 0.733 || 3.60 || 110 || 17 || 38 || 110 || 1.14 || || 2021 || 21 || 96⅓ || 6 || 8 || 0 || 0 || 0.429 || 5.04 || 110 || 7 || 26 || 76 || 1.41 || |||| '''[[NPB]] 통산[br](17시즌)''' || 458 || 2542 || 150 || 140 || 37 || 16 || 0.517 || 3.57 || 2470 || 213 || 754 || 1874 || 1.27 || * '''볼드체'''는 리그 1위.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86년 출생]][[분류:2005년 데뷔]][[분류:마츠도시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일본의 올림픽 참가 선수]][[분류:2008 베이징 올림픽 참가 선수]][[분류:일본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치바 롯데 마린즈/은퇴, 이적]][[분류: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은퇴, 이적]][[분류:주니치 드래곤즈/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