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C20B2 0%, #4449D3)" [[중의원|[[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width=30px]]]] {{{#000000 '''[[일본|{{{#c3c965 일본}}}]] [[중의원|{{{#c3c965 중의원 부의장}}}]]'''}}}}}} || ||<:>'''제59대'''[br]쿠지라오카 효스케||<:>→||<:>'''제60·61대[br]와타나베 고조'''||<:>→||<:>'''제62대'''[br]나카노 간세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12fa7%, #112fa7)" '''{{{#c3c965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일본 경제산업대신)] ---- [include(틀:역대 일본 국가공안위원장)] ---- [include(틀:역대 일본 후생노동대신)]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국회대책위원장)] ---- [include(틀:민주당(일본) 국회대책위원장)] ---- ||<-5> [[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중의원|{{{#000000 중의원}}}]] ([[후쿠시마현 제2구(중선거구)|{{{#000000 (구) 후쿠시마 2구}}}]])'''}}} || || '''제39대'''[br][[이토 마사요시]][br]'''와타나베 고조'''[br]호즈미 마사유키[br]시가 카즈오[br]와타나베 유키오 || → || '''제40대'''[br]'''와타나베 고조'''[br]사이토 후미아키[br][[겐바 고이치로]][br]호즈미 마사유키[br]아라이 히로유키 || → || ''선거제도 개편'' || ---- ||<-5><:>[[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중의원|{{{#000000 중의원}}}]] ([[후쿠시마현 제4구|{{{#000000 후쿠시마 4구}}}]])'''}}}|| ||<:>''선거제도 개편''||<:>→||<:>'''제41~45대[br]와타나베 고조'''||<:>→||<:>'''제46대'''[br]간케 이치로|| ---- }}} || ---- ||<-2> '''일본국 제53대 통상산업대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12fa7 0%, #112fa7)" '''{{{#c3c965 일본국 제60·61대 중의원 부의장}}}[br]{{{#c3c965 {{{+1 와타나베 고조}}}[br]渡部恒三 | Watanabe Kōzō}}}'''}}}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와타나베 고조.jpg|width=100%]]}}} || ||<:><|2> '''{{{#c3c965 출생}}}''' ||[[1930년]] [[5월 24일]] || ||[[후쿠시마현]] 미나미아이즈군 타지마정[br](현 미나미아이즈정) || ||<:><|2> '''{{{#c3c965 사망}}}''' ||[[2020년]] [[8월 23일]] (향년 88세) ||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츠시]] || ||<:> '''{{{#c3c965 학력}}}''' ||[[와세다대학]] 제1문학부 졸업 || ||<:> '''{{{#c3c965 가족}}}''' ||아버지 와타나베 토자에몬 [br] 장남 와타나베 히데오[* 현 [[미쓰이]] 물산전략연구소 국제정보부 주임연구원][br] 조카 사토 유헤이[* 전직 재선 참의원, 제62・63대 후쿠시마현지사(2006-2014) 하지만 임기중인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맞이했다...]|| ||<:>'''{{{#c3c965 지역구}}}''' ||[[후쿠시마현 제2구(중선거구)|(구) 후쿠시마 2구]] → [[후쿠시마현 제4구|후쿠시마 4구]] || ||<:>'''{{{#c3c965 의원 선수}}}''' ||'''14''' (중)|| ||<:>'''{{{#c3c965 의원 대수}}}''' ||32, 33, 34,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5]],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6]],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7]],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8]],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9]],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0]],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1]],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2]],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3]],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4]],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5]] || ||<:>'''{{{#c3c965 약력}}}''' ||국회의원 비서[br][[후쿠시마현]]의회 의원[br][[후쿠시마현 제2구(중선거구)|(구) 후쿠시마 제2구]] [[중의원]] 의원[br][[후쿠시마현 제4구]] [[중의원]] 의원[br][[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br][[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br]제53대 통상산업대신 {{{-2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br]제40대 자치대신[br]제49대 국가공안위원장 {{{-2 ([[가이후 도시키]] 내각)}}}[br]제63대 후생대신 {{{-2 (제2차 [[나카소네 야스히로]] 내각)}}}[br]중의원 부의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후쿠시마현 제4구]] 중의원으로, 통상산업대신, 자치대신, 중의원 부의장 등을 역임했다. 자민당 시절에는 다케시타파 7봉행 (竹下派七奉行)의 일원 중 한명이었다. == 생애 == 1932년 5월 24일 [[후쿠시마현]] 미나미아이즈군 다지마정(現 미나미아이즈정)에서 태어났다. 와타나베의 할아버지는 메이지 시대에 중의원 의원을 지냈고 아버지 와타나베 토자에몬은 후쿠시마현의회 의원과 타지마정장을 지냈다. 유년시절 후쿠시마 현립 아이즈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와세다대학]] 법학부에 진학했다. 대학 재학 당시에는 웅변회에 소속되었고, 동기로 전 내각관방장관인 후지나미 타카오가 있었다. 이때 야구부에 재직 중이던 [[히로오카 타츠로]]를 자신의 고향인 미나미아이즈군에 초대, 히로오카에게 은퇴 이후 모교인 아이즈 고등학교의 야구부 코치를 권했다. 이 인연으로 두사람은 와타나베가 사망할때까지 친분이 깊었다. 이후 [[이시바시 단잔]]의 사설 비서가 된 일로 정계에 입문했고, 1952년 제25회 중의원 선거에서는 [[우파사회당]]의 [[아사누마 이네지로]]에게 투표했다. 이에 와타나베는 이시바시도 아사누마도 모두 와세다대학 선배들이라며 위화감 없이 투표했음을 밝혔다. 이후 내각관방부장관 핫타 사다요시의 비서를 거쳐 1959년 4월 후쿠시마현의회 의원 선거에 자유민주당 공천을 받고 출마해 처음으로 당선됐다.[* 이 시기 유권자들이 본인의 이름을 쉽게 외울수 있도록 발음은 똑같고 표기만 다르게 恒蔵에서 恒三로 개명했다.] 현의원 재직시기 자민당 후쿠시마현지부 연합회 정무조사회장직을 지냈다. 1963년 재선에 성공하지만 1967년 제31회 중원선을 앞두고 핫타의 선거유세를 돕다가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유죄판결을 받아 같은해 3월 현의원직을 사퇴했다. 이후 1969년 사면되어 공민권 정지가 풀렸고, 같은해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현의원 복귀는 가능하지만, 중의원 당선은 무리다"라는 측근들의 걱정을 뿌리치고 무소속으로 구 후쿠시마 2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때 선거에서 아이즈의 [[존 F. 케네디]]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와타나베의 회고에 의하면 당시 자민당 간사장 [[다나카 가쿠에이]]가 본인(와타나베)를 공천하지 않은것을 후회했다는 뒷이야기가 있다.] 1969년 제32회 중원선에 당선된 대다수의 자민당 의원들은 다나카가 소속되있던 [[사토 에이사쿠]]의 주산회(사토파)에 소속되어 있었지만, 와타나베는 [[야마구치현]]과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츠시]]의 지역감정을 이유로[* 에도 시대 말에 [[메이지 유신]]의 중심 세력이 된 [[조슈 번]](現 야마구치현)과 에도 막부가 싸운 [[보신 전쟁]]에서 막부 측이었던 [[아이즈 번]](現 후쿠시마현)이 조슈 번으로부터 심한 공격을 당해 패배한 역사가 있기 때문에 후쿠시마현(특히 아이즈와카마츠시)과 야마구치현 간의 지역 감정은 현재까지도 남아있고, 심지어는 후쿠시마현 출신자와 야마구치현 출신자의 결혼이 무산되는 일까지 벌어졌을 정도이다.] 사토파 입회를 거절했고, 잠시 무파벌로 활동하다가 1972년 다나카파(목요회) 결성당시 파벌에 입회했다. [[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1932년 출생]][[분류:2020년 사망]][[분류:미나미아이즈군 출신 인물]][[분류:일본 경제산업대신]][[분류:일본 국가공안위원장]][[분류:일본 후생대신]][[분류:일본 총무대신]][[분류:제32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3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4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5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6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7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8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9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0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1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2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3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4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5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신생당 국회의원]][[분류:신진당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무소속회 국회의원]][[분류: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일본의 도도부현의회의원]][[분류:일본의 정치인 자녀]][[분류:와세다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