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other1=왈롱 지역, rd1=왈롱, other2=브뤼셀 지역, rd2=브뤼셀)] [include(틀:프랑코포니)] [include(틀:벨기에의 언어 지역과 공동체)] ||<-6> {{{#c9282d {{{+1 '''왈롱-브뤼셀 연방'''}}}[br]'''Fédération Wallonie-Bruxelles'''}}} || ||<-5> [[파일:왈롱 깃발.svg|width=100%]] || [[파일:왈롱 문장.svg|width=65%]] || ||<-5> [[http://www.federation-wallonie-bruxelles.be/index.php?id=drapeaufwb|{{{#c9282d '''공식기'''}}}]] || [[http://www.federation-wallonie-bruxelles.be/index.php?id=drapeaufwb|{{{#c9282d '''문장'''}}}]] || ||<-5> [[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width=150]] || [[파일: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2011년 이전 로고.jpg|width=150]] || ||<-5> {{{#c9282d '''로고'''}}} || {{{#c9282d '''로고(CFB''')}}}[* 텍스트 왼쪽의 닭만 법령정보 사이트에 사용중.] || ||<-1> '''법률적 명칭''' ||<-5>Communauté française de Belgique[br]{{{-2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법률적인 부분 이외에는 2011년부터 왈롱-브뤼셀 연방을 사용중.] || ||<-1> '''전신''' ||<-5>Communauté culturelle française(1971~1980)[br]{{{-2 문화적 프랑스어 공동체}}}[* 처음에는 문화와 관련된 권한만 가지고 있어서 "문화적"이라는 수식어가 붙었지만 이후 여러가지 권한들을 받으면서 그냥 [[http://www.cda.cfwb.be/index.php?id=genese_communaute_francaise|프랑스어 공동체]]가 된다.] || ||<-1> '''국가''' ||<-5>[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 ||<-1> '''인구''' ||<-5>약 465만명 이상[* 2020년 인구통계에서 브뤼셀 인구의 90%+왈롱 인구(3,641,748명)-독일어 공동체(리에주의 베르비에 아롱디스망의 9개 코뮌 인구 77,845명)로 계산하면 약 465만명 정도가 나온다. 이 인구는 아일랜드의 인구(4,977,400명)보다 적다.] || ||<-1> '''약칭''' ||<-5>FW-B(혹은 FWB)[* 이전에는 CFB(Communauté française de Belgique)라는 약칭을 썼다.] || ||<-1> '''설립연도''' ||<-5>1980[* 법적으로는 1980년에 명칭을 변경한 이후에 추가로 바꾼 것이 없다.] || ||<-1> '''형태''' ||<-5>공동체 || ||<-1> '''소재지''' ||<-5>[[브뤼셀]] || ||<-1> '''행정구역''' ||<-5>[[왈롱]], [[브뤼셀]] || ||<-1> '''공용어''' ||<-5>[[프랑스어]] || ||<-1> '''홈페이지''' ||<-5>[[http://www.federation-wallonie-bruxelles.be/|[[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width=25]]]]([[http://gouvernement.cfwb.be/|정부]]) || ||<-1> '''공동체 총리''' ||<-5>피에르 이브 제올레[[개혁 운동(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47AE0; font-size: .8em" {{{#ffffff '''개혁운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5aW1111b4bg)] 왈롱-브뤼셀 연방(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은 벨기에의 프랑스어 공동체이며, 소재지는 브뤼셀이다. 벨기에의 정치체제 특성상 언어 공동체와 지방정부의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언어 공동체만의 독자적인 의회와 정부를 갖고 있다. 매년 9월 27일에 [[벨기에 혁명|벨기에의 독립]]을 기념하는 [[https://www.federation-wallonie-bruxelles.be/a-propos-de-la-federation/apropos/histoire-institutionnelle/le-27-septembre/|왈롱-브뤼셀 연방 축제]]라는 행사가 있다. == 이름의 변경에 대하여 == >Art. 2: België omvat drie gemeenschappen : de Vlaamse Gemeenschap, de Franse Gemeenschap en de Duitstalige Gemeenschap.([[네덜란드어]]) >---- >Art. 2: La Belgique comprend trois communautés : la Communauté française, la Communauté flamande et la Communauté germanophone.([[프랑스어]]) >---- >Art. 2: Belgien umfaßt drei Gemeinschaften: die Deutschsprachige Gemeinschaft, die Flämische Gemeinschaft und die Französische Gemeinschaft.([[독일어]]) >---- >[[https://www.senate.be/doc/const_fr.html#t1|벨기에 헌법]] 제2조: [[벨기에]]는 세 공동체를 포함한다: 프랑스어 공동체, [[플란데런|플람스 공동체]],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독일어 공동체]] [[https://www.lalibre.be/debats/opinions/vous-avez-dit-ostbelgien-opinion-58e5093acd70e80512ad977b|오스트벨기엔이라고 하였는가?(La Libre)]], [[https://web.archive.org/web/20111013025015/http://www.cfwb.be/index.php?id=2394|왈롱-브뤼셀 연방: 새로운 이름으로 부른다면?]] 벨기에 헌법에는 공동체의 이름을 프랑스어 공동체로 한다고 돼있기 때문에 이름을 바꾸려면 개헌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왈롱-브뤼셀 연방 같은 정치적인 메시지가 가득한 이름을 개헌을 통해 법률적으로 허용하도록 플란데런이 둘 리가 없다. 위의 기사대로 플란데런의 정치인 얀 베로큰은 "만약 내가 기독사회당에 남아있었다면 왈롱이 했던 것 처럼 플란데런-브뤼셀 연방을 만들었을 것이다"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그래서 언론 및 일상적으로 쓰이는 주소명 같이 법률적이지 않은 부분에 한해 왈롱-브뤼셀 연방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공문서나 법조문 인용 같은 법률적인 부분에 한해 "프랑스어 공동체"라는 명칭을 쓰고 있다. 실제로 [[RTBF]] 등의 언론과 [[프랑코포니]] 회원국 및 지방정부 명단에도 왈롱-브뤼셀 연방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RTBF]](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의 라디오 텔레비전)이외에 일상생활에서 프랑스어 공동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분야는 없다고 보면 된다.] 원칙적으로는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가 공식명칭이고 왈롱-브뤼셀 연방이 비공식 명칭이지만, 왈롱-브뤼셀 연방 측에서 법률을 제외한 모든 분야의 공식명칭을 왈롱-브뤼셀 연방으로 하길 원하고 있고[* Toutes les communications usuelles que nous faisons, aussi bien à l’interne qu’à l’externe, doivent se faire avec l’appellation officielle Fédération Wallonie-Bruxelles.] 이미 왈롱-브뤼셀 연방으로 정착이 된 상황에 무엇이 공식이고 비공식이고는 의미가 없다. 이후 2017년에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가 비슷한 방식으로 이름을 [[오스트벨기엔]]으로 [[https://www.lalibre.be/belgique/ne-dites-plus-communaute-germanophone-mais-ostbelgien-un-nouveau-nom-qui-pose-deja-probleme-58e3d187cd70812a65392adc|변경했다.]] 이런 형태의 명칭 변경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이전에도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왈롱-브뤼셀이라는 [[https://www.ultraviolet.be/projets/pcf/|대외적인 이름]]을 사용하고 있었다. [[https://www.rtbf.be/lapremiere/article/detail_la-communaute-francaise-dans-matin-premiere?id=6818653|RTBF와의 인터뷰]]에 의하면 플람스 공동체를 보고 왈롱과 브뤼셀 프랑스어권 화자의 단결이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왈롱-브뤼셀 연방으로의 명칭 변경도 이러한 이것의 연장선이었다고 한다. == Fédération의 번역에 대하여 == >fédération의 정의 >1. Groupement de plusieurs États qui transfèrent à un pouvoir central les plus importantes de leurs compétences (défense, politique étrangère, monnaie), créant ainsi une entité souveraine. > 중앙권력에 중요한 권한(국방, 외무, 통화)을 이전한 국가그룹이 만든 주권을 가진 실체 ▶연방 >2. Groupement en une seule de plusieurs associations visant un but commun. > 공통의 목적을 위해 여러 협회가 하나로 결합된 그룹 ▶연합, 연맹 > >[[https://www.dictionnaire-academie.fr/article/A9F0398|아카데미 프랑세즈 사전]] [[프랑스어]] Fédération은 영어 Federation과 마찬가지로 연방국가와 연합체의 의미를 모두 갖고 있다. [[벨기에]]의 정부는 세가지 형태가 있는데 연방정부, 지방정부 그리고 드문 형태인 언어공동체 정부로 구성된다. Fédération Wallonie-Bruxelles은 단순히 [[브뤼셀]]과 [[왈롱]]의 협의체, 협회, 연합체 혹은 연합이라기 보다는 브뤼셀 프랑스어 공동체와 왈롱 (프랑스어) 공동체가 결합된 연방 공동체 정부에 가깝기 때문에 연합이라기보다는 연방이라고 번역하는 쪽이 더 적절하다. == 로고 및 깃발 == [[파일:왈롱 깃발(20200831).svg|width=300]] 이전부터 용감한 닭(coq hardi)이라는 깃발이 쓰여왔는데 공동체 의회가 제정한 [[https://www.gallilex.cfwb.be/fr/leg_res_02.php?ncda=20291&referant=l01|1991년 7월]] 법령 2조에 이 깃발을 [[http://www.federation-wallonie-bruxelles.be/index.php?id=drapeaufwb|공식화]] 하였고 이후 [[http://www.wallonie-en-ligne.net/Wallonie_Culture/1998_Decret_Fete-Embleme_Wallonie.htm|왈롱 의회]]가 1998년에 프랑스어 공동체와 같은 상징을 공식화 하였다. [[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width=300]] ||<-4> CMYK || || {{{#white 빨강}}} || 노랑 || {{{#white 파랑}}} || {{{#white 검정}}} || || C: 2%[br]M: 98%[br]Y: 85%[br]K: 7% || C: 0%[br]M: 30%[br]Y: 100%[br]K: 0% || C: 100%[br]M: 88%[br]Y: 0%[br]K: 20% || C: 40%[br]M: 20%[br]Y: 20%[br]K: 100% || ||<-4> PMS || || {{{#white 빨강}}} || 노랑 || {{{#white 파랑}}} || {{{#white 검정}}} || || [[https://www.pantone.com/color-finder/1797-C|1797C]] || [[https://www.pantone.com/color-finder/130-C|130C]] || [[https://www.pantone.com/color-finder/662-C|662C]] || [[https://www.pantone.com/color-finder/Black-C|BLACKC]] || ||<-4> RGB || || {{{#white 빨강}}} || 노랑 || {{{#white 파랑}}} || {{{#white 검정}}} || || R: 201[br]G: 40[br]B: 45 || R: 244[br]G: 170[br]B: 0 || R: 0[br]G: 29[br]B: 119 || R: 10[br]G: 15[br]B: 22 || ||<-4> 웹 색상 || || {{{#white 빨강}}} || 노랑 || {{{#white 파랑}}} || {{{#white 검정}}} || || #C9282D || #F4AA00 || #001D77 || #0A0F16 || 로고의 글자는 연방을 뜻하는 F, 왈롱을 뜻하는 W와 브뤼셀을 뜻하는 B가 결합된 형태를 띠고 있다. 붉은색(#C9282D)은 [[왈롱]], 푸른색(#001D77)은 [[브뤼셀]] 노란색(#F4AA00)은 결합을 의미한다. 실제로는 위에 있는 왈롱 깃발과 이 로고를 바탕으로 만든 깃발을 [[https://bx1.be/categories/news/federation-wallonie-bruxelles-le-budget-2022-est-definitivement-approuve/|같이 사용한다]]. 그런데 베트남 외교부 장관과의 회담 자리에 쓰였던 깃발은 [[https://fr.vietnamplus.vn/le-chef-de-la-diplomatie-recoit-le-ministrepresident-de-la-federation-walloniebruxelles/190712.vnp|왈롱 깃발]] 하나만 있는 것을 보면 로고를 바탕으로 한 깃발은 내수용으로 보인다. [[http://www.federation-wallonie-bruxelles.be/index.php?eID=tx_nawsecuredl&u=0&g=0&hash=7b43d5d87ae2267f1c52e2c377bc3d47657e7ce7&file=fileadmin/sites/portail/uploads/Illustrations_documents_images/A._A_propos_de_la_Federation/1._Qui_sommes_nous__/1.5._Logos_de_la_FW-B/CHARTE_GRAPHIQUE_Janvier2020_01.pdf|공식 자료]]에서는 검정색(#0A0F16)의 [[헥스 코드]]도 써놓았다. [[파일:옛날 프랑스어 공동체, 왈롱 로고.jpg]] 이전 로고는 이랬다. 위에 있는 W형상의 로고는 옛날에 왈롱 정부가 썼지만 지금은 왈롱 깃발의 닭으로 바뀌었다. == 역사 == * 1차 국가 개혁(1970년): 1967~1971년에 걸친 개헌에 의해 세개의 언어공동체([[플란데런|네덜란드어]], [[왈롱-브뤼셀 연합|프랑스어]],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독일어]])와 세개의 행정구역([[플란데런]], [[왈롱]], [[브뤼셀]])이 만들어졌다. 당시 명칭은 "문화적 공동체" 였다. * 2차 국가 개혁(1980년): 문화적 프랑스어 공동체가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로 바뀌었다. 따라서 공식 홈페이지의 창립연도는 공동체가 만들어진 1970년이 아니라 1980년으로 돼있다. * 3차 국가 개혁(1988년): 교육과 미디어 등의 권한이 추가된다. * 4차 국가 개혁(1993년): 자기조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의회와 정부를 구성한다. 의회는 1996년에 처음 만들어졌다. * 5차 국가 개혁(2001년): 자금조달에 대한 부분을 추가하였다. * 6차 국가 개혁(2011년): 공동체 체제에 대한 개편이 있었다.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가 왈롱-브뤼셀 연방으로 바뀐다. == 권한 == * 문화 * 교육 * 청년 지원 * 체육 * 공동체가 관할하는 사법 == 해체 가능성 == [[브뤼셀]]은 이중언어 지역이고 [[왈롱]]은 프랑스어 지역이 대부분이고 경제적인 부분에 한정해서 독일어 지역이 낀 형태인데 왈롱과 브뤼셀의 프랑스어 교육과 문화 등을 별개의 정부로 분리하다보니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그래서 벨기에 프랑스어권 정치인들 사이에서는 왈롱-브뤼셀 연방을 사실상 해체하고 정부를 플란데런, 브뤼셀, 왈롱, 독일어 지역으로 나눠 효율성을 높이자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2020년 12월 13일에는 사회당 대표인 폴 마녜트가 4개의 지역정부 분리에 대해 호의적이라는 [[https://www.lesoir.be/343403/article/2020-12-13/paul-magnette-en-faveur-dune-belgique-quatre-regions|의견]]을 표했다. 2019년 총선거 이후 취임한 왈롱-브뤼셀 연방 총리인 피에르이브 제올레([[개혁 운동(벨기에)|MR]])도 왈롱-브뤼셀 연방의 [[https://www.rtbf.be/info/belgique/detail_quand-le-nouveau-ministre-president-de-la-federation-wallonie-bruxelles-voulait-la-disparition-de-la-federation-wallonie-bruxelles?id=10313990|해체]]를 지지한다. 2021년 1월 4일 RTBF와의 [[https://www.rtbf.be/info/belgique/detail_jeudi-en-prime-pierre-yves-jeholet-plaide-pour-des-assouplissements-car-les-gens-en-ont-besoin?id=10690575|인터뷰]]에서도 브뤼셀과 왈롱의 프랑스어 공동체를 통한 연결은 필요하지만, 효율성을 위해 4개의 지역정부로 분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자신은 프랑스어 공동체의 (완전한) 해체를 원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두 인터뷰 기사를 종합해볼 때 적어도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는 권한이 축소되거나, 해체될 수 있다. == 벨기에 프랑스어 [anchor(벨기에 프랑스어)]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왈롱, version=103)]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왈롱, top2=프랑스어)] [youtube(OTsvWQkw5t4)] [[RTBF]] 뉴스 19h30 [[https://be.ambafrance.org/Le-francais-de-Belgique-et-les|벨기에의 프랑스어]] 벨기에는 프랑스와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두 국가의 표준 발음을 얼핏 들어보면 비슷하긴 하지만 듣다보면 미묘한 차이가 있음을 느낄 수 있다. [[https://fr.wiktionary.org/wiki/Annexe:Nombres_de_1_%C3%A0_100_en_fran%C3%A7ais|숫자]]같은 경우에도 70(septante)과 90(nonante)에 해당하는 단어가 다르다.[* 프랑스와 캐나다에서는 70은 soixante-dix(60+10), 90은 quatre-vingts-dix(4x20+10)이다.] 이외에도 벨기에 네덜란드어로부터 들어온 외래어도 있는데 대학생용 주거시설을 뜻하는 kot가 대표적이다. || [[파일:2000px-Linguistic_map_of_Wallonia-fr.svg.png|width=600]] || || 왈롱의 방언 지도 || 지역 억양은 방언 구역이 다르듯 왈롱 억양과 브뤼셀 억양이 다르고 왈롱 억양 내에서도 방언 구역 비슷하게 분포하고 있다. 왈롱어 사용 지역 내에서도 세부적인 방언 구역이 있듯이 이 지역의 프랑스어 억양도 다양하다. 왈롱의 억양 중에서 나뮈르나 리에주의 억양이 상대적으로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방송 등에서 들을 수 있는 벨기에의 표준 억양은 특정 지역과 관계가 없고 지역 억양을 최대한 배제한 [[https://www.rtbf.be/info/regions/liege/detail_les-accents-un-atout-ou-un-handicap?id=10448662|중립 억양]](accent neutre)이다. 중립 억양은 출신 지역에 따라 미묘하게 다를 수 있다. 그래서 벨기에 프랑스어도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방송에서 쓰이는 벨기에 프랑스어 또한 프랑스의 프랑스어와 다른 일부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시는 아래와 같다. || || 프랑스 || 벨기에 || || 휴대전화 || Téléphone portable || [[GSM]] || || 학생들이 임차하는 방 || chambre d’étudiant || kot || || 호텔, 레스토랑, 카페 || HCR[* [[https://www.economie.gouv.fr/covid19-soutien-entreprises/les-mesures/protocole-sanitaire#hotel|참고]]], CHR || Horeca || || 대학의 대강당 || amphithéâtre || auditoire || || 최고 경영자 || PDG || CEO[* PDG도 쓰기는 하나 CEO가 더 많이 쓰인다. 발음은 영어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쎄으오가 아닌 쎄이오.] || 벨기에에서도 프랑스의 지상파 방송이나 영화 등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프랑스의 프랑스어를 잘 이해한다. 그러나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프랑스인들이 당황하기도 한다. == 정치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벨기에/정치, top2=브뤼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벨기에/정치, version=165)] [include(틀: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의회의 원내 구성)] ||<-3> [[벨기에]]의 정부 형태 || || 연방정부 || 지방정부 || ''' 공동체 정부 ''' || [[왈롱]] 지역 의회의 [[프랑스어]] 지역에서 선출된 의원 75명과 [[브뤼셀]] 수도권 의회 프랑스어 그룹에서 선출한 의원 19명으로 구성한다. [[오스트벨기엔|독일어 사용지역]]에서 선출된 2명은 프랑스어 공동체 의회에 참여하지 않고, 해당 의원이 속한 정당에서 프랑스어 의원을 임명한다. 왈롱 지역 의회와 프랑스어 공동체 의회의 구성원이 80% 이상 일치하며 관할 구역도 대부분 일치하지만, 둘은 엄연히 다른 조직이며 의회가 있는 곳도 다르고 총리도 따로 뽑는다. 왈롱 지역 의회는 나뮈르, 프랑스어 공동체 의회는 브뤼셀. 언어 정책을 협의할 때엔 [[나뮈르]]에 있는 프랑스어 사용자 의원들이 브뤼셀로 단체로 이동하여 프랑스어 공동체의 언어와 교육 정책을 관할하며, 브뤼셀의 프랑스어 사용자를 대표하는 의원들은 공동체의 정책에 [[브뤼셀|이중 언어 지역]]에서의 언어 상황을 반영하도록 한다. 프랑스어 공동체 의회는 벨기에 연방 상원에 파견할 의원 10명을 선출한다. === 브뤼셀 프랑스어 공동체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브뤼셀, version=214)] ||<-2> [[파일:2000px-Flag_of_the_French_Community_Commission.png|width=300]] || ||<-2> 브뤼셀 프랑스어 공동체 깃발 || || [[파일:Logo_Francophones_Bruxelles.png|width=300]] || [[파일:브뤼셀 프랑스어 공동체 의회.jpg|width=300]] || || [[https://www.spfb.brussels/|브뤼셀 프랑스어 공동체 위원회]](COCOF)[* 법률적 명칭은 브뤼셀 수도 지역의 프랑스어 공동체 위원회(Commission communautaire française de la région de Bruxelles-Capitale)] || [[https://www.parlementfrancophone.brussels/accueil|브뤼셀 프랑스어 의회]][* 법률적 명칭은 브뤼셀 수도 지역의 프랑스어 공동체 위원회의 의회(Assemblée de la Commission communautaire française de la Région de Bruxelles-Capitale)지만, 너무 길어서 의회에서는 프랑스어 공동체 위원회의 의회(Assemblée de la Commission communautaire française)까지만 쓴다.] || 왈롱-브뤼셀 연방의 브뤼셀 지부쯤 되며, 브뤼셀 프랑스어 공동체는 왈롱-브뤼셀 연방의 지원금을 받는다. 브뤼셀 프랑스어 공동체 의회는 브뤼셀 지방의회의 프랑스어권 화자 72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19명을 왈롱-브뤼셀 연방의회 의원으로 선출한다. == 관련 문서 == * [[https://www.gallilex.cfwb.be/fr/index.php|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법령정보 사이트]]: 법률관련 사이트이기 때문에 FW-B의 사이트 중 유일하게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 [[RTBF]]: 왈롱-브뤼셀 연방의 공영방송 * [[프랑코포니]]: 왈롱과 브뤼셀 지방정부 명의가 아닌 왈롱-브뤼셀 연방이라는 공동체 정부 명의로 가입했다. * [[프랑스어]] * [[왈롱]] * [[브뤼셀]] * [[벨기에/행정구역]] * [[벨기에/정치]] [[분류:왈롱-브뤼셀 연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