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왈큐레(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마법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RideoftheValkyries-OW.png]] || 한글판 명칭 ||'''[ruby(Walkuren Ritt, ruby=왈큐레엔 리트)]'''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Walkuren Ritt, ruby=ワルキューレン・リット)]'''|| || 영어판 명칭 ||'''Ride of the Valkyries'''|| ||<-2> 일반 마법 || ||<-2>"왈큐레"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를 패에서 전부 특수 소환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 시,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전부 덱으로 되돌린다.|| ||<-2>'''"마법 카드, Walkuren Ritt 발동. 자, 나타나라! 왈큐레의 소녀들이여, 전사의 영혼을 발할라로 인도하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 그랑프리 편|KC 그랑프리 편]]의 최종 보스 [[지크 로이드]]가 사용한 마법 카드. [[왈큐레(유희왕)|왈큐레]] 덱의 대량 전개를 책임지던 카드로, 이 덱의 '''핵심'''에 해당한다. 물론 몬스터 대부분이 상급인 왈큐레들에겐 적절하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시절 당시 유희왕의 카드군을 모조리 살펴봐도 이렇게 엄청난 몬스터 전개를 자랑하는 카드는 별로 없었다. 게다가 발동 후 일반 소환까지 가능하다. 하지만 당시 듀얼 환경으로는 융합, 의식, 어드밴스 소환밖에 못 했고, 왈큐레는 융합, 의식 몬스터가 없었던 데다가 상급들의 능력치는 저렇다. 왈큐레가 하급이 거의 없다는 점을 따져본다면 펜듈럼 소환이 등장한 9기 이후라면 몰라도 당시 듀얼 환경을 기준으론 나름대로 적절한 밸런스였는지도 모른다. 첫 발동시에는 기존 유희왕의 OST가 아닌 [[리하르트 바그너]]의 '[[발퀴레의 기행]](Walkürenritt)'이란 곡이 흘러나왔다.[* 참고로 카드명이 곡 이름이랑 동일하다.] [[KC 그랑프리]]에 몰래 출전한 [[인섹터 하가]]와 [[다이나소 류자키]]를 한 번에 발라버렸는데, 단순히 장미 잎이 휘날리면서 왈큐레들이 뛰어다니더니 지크가 승리해버리는 것으로 나왔기 때문에 효과가 상세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이 때에 지크 로이드가 소환한 몬스터는 [[왈큐레 츠바이트]] 3장과 [[왈큐레 아르테스트]] 1장이였고, 츠바이트의 효과로 [[곤충 여왕]]과 [[블랙 티라노]]를 파괴한 뒤에 알테스트의 효과로 블랙 티라노나 곤충 여왕의 공격력을 흡수, 그대로 직접 공격으로 승리한 셈이 되는데, 이러면 하가든 류자키든 어느 한 쪽의 LP는 무조건 남게 되겠지만 어째 2명 다 패배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Walkuren Ritt.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왈큐레엔 리트, 일어판 명칭=Walkuren Ritt(ワルキューレン・リット), 영어판 명칭=Ride of the Valkyries, 효과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패에서 "왈큐레"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특수 소환한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이 효과로 3장 이상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다음 턴 종료시까지 자신이 받는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이 카드를 발동한 턴의 엔드 페이즈에\, 자신 필드의 몬스터는 전부 덱으로 되돌아간다., 효과3=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시간의 여신의 장난" 1장을 패에 넣는다.)] 카드명이 다른 [[왈큐레(유희왕)|왈큐레]] 몬스터를 엔드 페이즈에 바운스시키는 디메리트를 가지고 패에서 임의의 수만큼 특수 소환하며, 3장 이상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다음 턴 종료시까지 자신이 받는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하는 ①의 효과, 묘지에서 자신을 제외하고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서치하는 ②의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OCG화 되면서 특수 소환 효과가 거의 변경되지 않았고,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서치하는 효과가 추가되었지만, 발동하는 순간 엔드 페이즈에 자신 필드의 몬스터는 전부 덱으로 돌아가버리는 강력한 디메리트가 붙었다. 또한 원작과는 다르게 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만 특수 소환할 수 있도록 너프되었다. 시간의 여신의 장난이 배틀 페이즈 종료때 발동해서 다음 자신의 배틀 페이즈로 턴을 스킵하는 효과를 생각하면, 이 디메리트를 회피할 수 있도록 추가된 효과로 생각된다. 즉, 전개한 왈큐레들로 두들겨 팬다음 시간의 여신의 장난으로 또한번 두들겨패서 최대한 뽕을 뽑거나 그턴중에 끝내라는 의도인듯. ①의 효과로 패에서 왈큐레를 전개하면서, ②의 효과로 자신을 묘지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서치할 수 있다. 그리고 직후 배틀 페이즈에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발동하면, 전재한 왈큐레를 실질적으로 2회 공격시킬 수가 있다. 거기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가 스킵되어 디메리트인 ①의 효과에 의한 바운스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①의 효과에는 자신이 받는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하는 효과도 있지만, 3장 이상 특수 소환했을 경우라는 조건이 무겁다. 거기다,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발동하면 다음 턴이 바로 와버리게 되니, 상대 턴을 기다리지 않고 효과가 종료되어 버린다. 있어서 곤란한 효과는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무시하는 것이 좋겠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엑스트라 팩|Shadows in Valhalla]] || SHVA-EN006 || [[시크릿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 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9]] || EP19-JP01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 [[엑스트라 팩|엑스트라 팩 2019]] || EP19-KR01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시간의 여신의 장난]]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왈큐레(유희왕),version=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