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서)] [include(틀:북사)] ||<-2> {{{#ece5b6 '''{{{+1 서위의 장수[br]{{{+1 王德 | 왕덕}}}}}}'''}}} || || '''{{{#fff 작호}}}''' ||내관현자(內官縣子) → 심택현남(深澤縣男)[br]→ 하박현남(下博縣伯) → 하간군공(河間郡公)|| || '''{{{#fff 시호}}}''' ||헌(獻) || || '''{{{#fff 성}}}''' ||왕(王) || || '''{{{#fff 이름}}}''' ||덕(德) || || '''{{{#fff 자}}}''' ||천은(天恩) || || '''{{{#fff 본관}}}''' ||대군(代郡) 무천진(武川鎭) || || '''{{{#fff 국적}}}''' ||북위(北魏) → 서위(西魏)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위]], [[서위]]의 장수로 자는 천은(天恩). == 생애 == 대군 무천진 출신의 인물로 529년 [[이주영(북위)|이주영]]의 휘하에서 [[원호(북위)|원호]]를 토벌할 때 종군하였고 하내를 공격할 때 선두에 섰다. 왕덕은 이때 공을 세워서 토이장군(討夷將軍)으로 제수되었고 내관현자(內官縣子)로 책봉되었다. 왕덕은 뒤에 하발악(賀拔岳)의 휘하에서 묵기추노(万俟醜奴)를 토벌하여 심택현남(深澤縣男)으로 책봉되고 식읍 200호를 받았으며, 용양장군(龍驤將軍), 중산대부(中散大夫)로 제수되었다. 하지만 하발악이 부하인 후막진열(侯莫陳悅)에게 살해되자, 왕덕은 구락(寇落) 등과 함께 [[우문태]]를 지도자로 추대하였고, 정서장군(征西將軍),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평양(平涼) 군수로 제수되었다. [[효무제(북위)|효무제]]가 [[고환(남북조시대)|고환]]을 피해 관중으로 입성하자, 왕덕은 효무제를 맞이하여 하박현남(下博縣伯)으로 진봉되었고 식읍 500호를 받았으며 동옹주(東雍州)의 사무를 맡았고 오환씨(烏丸氏)라는 성을 받았다. 535년에 위장군(衛將軍), 우광록대부(右光祿大夫)로 임명되고 작위가 공으로 올라갔으며, 거기대장군(車騎大將軍), 의동삼사(儀同三司), 북옹주(北雍州) 자사가 더해졌다. 이후 왕덕은 우문태를 따라 여러 정벌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고, 사원(沙苑) 전투에서 고환을 물리치며 개부(開府), 시중(侍中)이 더해지고 하간군공(河間郡公)으로 작위가 올라갔다. 548년에는 경주(涇州) 자사로 임명되었고 이후 그곳에서 죽었으며, 사후 헌(獻)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분류:남북조시대/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