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삼국지연의의 가공인물, rd1=왕도(삼국지연의), other2=조위의 인물, rd2=왕도(조위), other3=후한의 인물, rd3=왕도(후한))] 王挑 [목차] [clearfix] == 개요 == [[화관색전]]의 가공인물로 [[관색]]의 [[아내]], [[왕열]]의 [[언니]]다. == 민간 전승 == >왕씨의 이름은 도이고 [[여동생]]은 열이며 [[한나라]] 말기 시대의 사람이었는데, 모두 비녀를 꽂을 나이에도 자를 가지지 않았고, 육체적인 힘이 있어 모든 학파의 무예에 정통했다. 병란을 만나 갈대 둑을 쌓고 고향 마을을 지켰다. 늘 서로 일컬어 말하길 천하에 영웅의 남자가 있어 재기로 우리를 이기면 곧 죽을 때까지 의탁하겠다고 했다. 그때 필적하는 자가 매우 적었다. 하동에 가니 관공의 맏아들 관색이 영위롭고 건첩했다. 왕도 [[자매]]는 모두 더불어 겨루었으나 모두 이기지 못해 드디어 모두 그에게 시집갔다. 먼저 마을 안에 포씨의 딸이 있어 재주와 행실이 왕도, 왕열과 더불어 닮았고 사나움과 굳셈이 남달랐지만, 이겨서 또한 관색에게 시집갔다. 세 사람은 다 집을 버리고 관색을 따라 여러 싸움에서 생을 마쳤다. >王氏名桃,女弟悦,漢末時人,俱笄年未字,有膂力,精諸家武藝。値兵亂,聚蘆塘,保郷里。毎相謂曰:天下有英雄男子,而材技勝我者,則相託終身。時絶少匹敵者。適河東關公長子索,英偉健捷。桃姊妹俱與較,俱不勝,遂俱歸之。先是,邑中有鮑氏女,材行與桃、悦似,而悍鷙差,勝亦歸索。三人皆棄家從關,百戰以終。 >----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 인용 기수현지(蘄水縣志) == 화관색전 == [[화관색전]]에서는 18세의 왕도, 16세의 왕열 자매가 노당채의 산적으로 왕영공의 [[딸]]이었다. [[관색]]이 [[관우]]를 만나러 가기 위해 길을 가다가 [[염강]], [[염순]]을 물리쳐 요령대채의 산적들을 모두 부하로 삼고 다시 길을 가던 중에 길을 가로막았는데, 자매인 [[왕열]]과 함께 자신과 싸워 이길 수 있으면 결혼할 수 있다고 해서 관색이 나타나기 전까지 결혼하지 않았다. 관색과 십여 합을 싸웠다가 관색이 말머리를 돌려 달아나는 것을 보고 쫓아가서 공격했다가 관색이 이를 막아낸 후에 포승을 던지자 묶여서 사로잡혔으며, 왕도가 사로잡히면서 [[부인]]이 되길 자청했고 이어서 [[왕열]]도 [[자매덮밥|관색의 부인이 되었다.]] [[관우]]가 [[오(삼국시대)|손오]]의 공격으로 [[형주 공방전]]에서 죽고 관색이 [[원수(관직)|원수]]가 되어 [[오나라]]를 [[이릉대전]]에서 |공격할 때 [[왕열]], [[포삼랑]]과 함께 종군하며, 관색이 [[증소]]와의 싸움에 창이 부러지고 패하면서 분노한 나머지 기절하자 왕열, 포삼랑과 함께 간병했다. 그러나 증소가 이끄는 오군을 물리친 후에 [[유비]]가 죽고 [[제갈량]]도 은거하면서 관색이 낙담한 끝에 병을 얻어 사망하자 ~~졸지에 [[과부]]가 되어~~ 친정 노당채로 돌아간다. == 대중 매체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Wang_Tao_%281MROTK%29.png]] || [[파일:Wang_Tao_4_(1MROTK).png]] || || 삼국지 11 [[일러스트]] || 100만인의 삼국지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11]] 콘솔판에서 추가되었다. 특기는 [[사수#s-3]].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80/지력 42/정치력 32/매력 71로 방어력이 다소 낮은 맹장형이다. 기병에 특화된 관색과는 함께 엮어도 별로 득을 보기 어렵고, 영웅집결 같은 가상 시나리오라면 [[황충]]의 부장으로 끼워주는 게 베스트다. 적성은 궁병만 A다. 후속작에서는 시스템상 아내가 최대 3명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관색의 [[처첩]] 4명 중 왕도, 왕열 자매는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 === [[삼국지대전]] === || [[파일:external/yuyu-tei.jp/10189.jpg]] || [[파일:external/82f59e1eeecec0c731c822f3c47856cba18de1ae4b78488faf69db108398d52a.jpg]] || || [[삼국지대전]] 2 || [[삼국지대전]] 3 || [[삼국지대전]] 3 에서는 3.5버젼 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2.1버젼과 호환되며 일러스트도 심히 [[모에]]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삼국지대전 2의 일러스트는 [[포삼랑]], [[관색]]과 이어지는 한 장의 일러스트다. [[삼국지대전]] 내에서는 [[동백]], [[소교(삼국지)|소교]]와 더불어 많은 [[로리콘]]들의 사랑을 받고있다. 그 중에 [[스펙]]은 단연 으뜸으로 쓰기 어려운 위의 2개의 카드와는 달리 사용률 100위권 안에서도 중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일단 촉 세력 1.5코스트 궁병중에선 최고급 스펙을 자랑한다.[* 1.5코스트에다 특기는 매력/방책/붕사. 특기만으로도 먹고 살만 하다.] 게다가 계략도 나쁘지 않은 편. 계략명은 '''복숭아빛 한숨'''으로 범위내의 적들을 앞으로 강제 전진 시킨다. 다른 도발 계략과는 달리 이 계략의 특이한 점은 계략을 쓴 자신을 따라오지 않고 무조건 앞으로 전진 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도발들처럼 내가 쓰고 싶은 곳에 못쓰고 내 앞으로만 써야하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 좋을수도 나쁠수도 있는 계략이니 타이밍을 잘 맞춰야한다. 사기도 3밖에 안들어서 활용하기도 쉬운 것도 나름 장점. 여담으로 3.5부터 [[왕열]]과 왕도의 등장으로 모두가 꿈에 그리던 관색 [[하렘]]덱을 짜는 것이 가능해 졌다. 구성은 [[포삼랑]], 왕도, [[왕열]], [[화만]], [[관색]]으로 구성 되는 덱이다. 근데 이게 참 쓰기가 좀 애매하다. 나쁘진 않지만 다들 쓰기가 애매하다. 관색이면 천의의 인도여서 기본적으로 천(天) 속성으로 맞춰야하는데 천 속성 포삼랑이 너무.답이 없어서 덱 자체가 답이 없다. 사실 천속성으로 안 맞춰도 호령효과는 나온다. 그저 天속성이면 더 오를뿐이다. 차라리 무장판 모병인 포삼랑보다 무장판 집중증원인 [[오란]]이 더 나아보인다. 일단 전체적으로 매력이 많으니 사기 모으기는 쉽겠다.[* 여담이지만 [[촉나라]]에 회복계열은 천속성이다.] 못 쓸 정도는 아니지만 그냥 재미삼아 굴려 보는 것이 좋다. 근데 '''문제는 관색이 가장 쓸모가 없다.''' 아내들의 활약이 더 높은지라 그냥 놀고 먹는 수준이다.~~[[기둥서방]]~~ === [[진삼국무쌍 시리즈]] === [include(틀:진삼국무쌍 BLAST/등장인물)]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Wang_Tao_%28DWB%29.png|width=400]] [[진삼국무쌍 BLAST]]에 등장한다. === [[삼국지 조조전 온라인]] === [[파일:15344290133.png]] 2018년 8월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병종은 궁병. 성우는 [[이지현(성우)|이지현]] / 후지사와 미나. 장수 특성은 물리 공격 강화% - 지원 공격 - 일격필살 - 장거리 사격[* 공격 범위가 1칸 증가하지만 증가한 범위 내의 적에게는 명중률이 15% 감소한다.]인데, 일격필살이 중첩되면 주동 공격을 넘어서는 다른 일필 장수들과 달리 궁병은 연속 공격 강화가 병종 특성이라서 주동 공격은 225%, 일필은 벽력궁을 차도 200%로 주동보다 딜이 딸린다. 하물며 지원 공격은 특공 방어를 무시하므로 일격필살은 전혀 메리트가 없다는 평가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왕탁, version=6)] [[분류:삼국지/가공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