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파일:王老吉广告.webp|width=450]][[파일:wrj.jpg|width=400height=600]] > {{{+3 '''怕上火 喝王老吉'''}}} >열이 오르는게 두렵다면, 왕라오지를 드세요! > || {{{+2 王老吉}}} || {{{+2 Wang Lao Ji}}} || {{{+2 왕라오지}}} || [[https://www.wljhealth.com/index.html|공식 홈페이지]] == 개요 == [[중국]] 광저우의약집단(광야오집단)의 자회사 광저우왕라오지약업(广州王老吉药业)에서 생산하는 량차(凉茶)[* 덥고 습한 기후의 [[광둥성]] 일대에서 해열과 해독을 위해 마시는 대용차. 일반적으로 따뜻한 상태에서 마시는 대부분의 중국 차와 다르게 차게 해서 마신다.] 음료수. == 역사 == 왕라오지는 1828년에 왕쩌방(王澤邦)이란 인물이 광둥성에서 처음 제조하였으며, 1839년에 당대 유명 관료인 [[임칙서]](林則徐)가 병에 걸리자 왕쩌방의 약을 복용하고 건강을 회복한 일화를 통해 유명세를 얻었다. 이후로도 왕라오지는 오랫동안 량차를 만들어 왔으며, 1970년대에는 왕쩌방의 손자가 [[홍콩]]에 매장을 열면서 홍콩에 진출하였다. 이 이후 왕라오지는 홍콩과 중국이라는 이질적인 정치 체계 하에서 두 개의 법인에 의해 운영되었고, 홍콩 측 법인인 자둬바오(加多寶)는 왕라오지를 단 맛이 나도록 개량하고 '열이 날 때에는 왕라오지를 마시라'는 식의 마케팅을 통해 광둥성과 홍콩을 넘어 전국적인 인기를 끌게 하였다. 이후 중국에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가 유행하자 열을 내려준다는 왕라오지의 인기가 대폭 증가하였고, 2008년경에는 중국 내에서 [[코카콜라]]의 판매량을 능가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게 된다. 하지만 이 이후 중국 측 법인인 광야오집단(廣藥集團) 에서는 중국 내에서 자둬바오의 도움 없이 왕라오지의 독점 판매를 선언하였고, 이로 인해 상표권 분쟁이 생기게 된다. 결국 여러 차례의 소송 끝에 홍콩 측 법인에서는 왕라오지라는 제품명을 사용할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왔고, 이로 인해 홍콩 측 법인에서 생산하는 제품은 이름이 자둬바오(加多寶)로 변경된 채 생산되고 있다. == 특징 == 주 성분은 [[국화]], [[꿀풀]], [[감초]] 등의 각종 한약재이며, 제조사에서는 [[본초강목|본초]]의 처방을 바탕으로 제조했다고 선전하고 있다. 맛은 연한 [[대추차]]나 [[수정과]]와 흡사하다. 국내에서는 백화점 식품코너 마트, 수입식품점, 인터넷 사이트 등에서 구할 수 있다. == 관련 기사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90703000227|차갑게 마시는 중국 차, 국민음료로 부상한 왕라오지]]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75461|왕라오지를 국민 브랜드로 키워낸 '자둬바오']] == 같은 종류의 음료수 == * 쟈둬바오(加多宝) * 허치정(和其正) [[분류:차 브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