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왕빙}}}[br]王兵, Wang B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왕빙.jpg|width=100%]]}}} || ||<|2> '''출생''' ||[[1967년]] [[11월 17일]] ([age(1967-11-17)]세) || ||[[중국]] [[시안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 '''직업''' ||[[영화 감독]] || [목차] [Clearfix] == 소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ang Bing.jpg|width=100%]]}}} || [[중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 그의 데뷔작인 <[[철서구]]>는 [[선양시]]의 낙후된 공업지구를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약 2년에 걸쳐 담아 제작한 9시간 길이의 영화로, [[2003년]] [[로테르담 국제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으며 그가 단숨에 국제적 명성을 얻게되었다. <이름 없는 남자>와 <얼론>을 제외한 대부분의 작품들은 적어도 2시간을 한참 넘는 러닝타임이 특징이다. 중국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이나 역사에 대해 관심이 많은 감독으로, 디지털 카메라의 기동성과 긴 촬영으로 대상을 기록하는 스타일을 유지하고 있다. 대체로 컷의 변화가 거의 없고 [* 특히 중국 여인의 연대기는 주인공 할머니의 집 거실에 카메라를 세워두고 회고하는 걸 계속 찍은 걸로 유명하다.], 감독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타입의 다큐멘터리 감독. 픽션 영화는 2023년 시점에서는 [[바람과 모래]]가 유일하다. == 필모그래피 == ※ 왕빙 필모그래피 작품 제목 표기에 대해서는 가장 최근의 국내 상영처의 표기명을 따르도록 할 것이고, 또는 국내에 상영된 적이 없다면, [[한국영상자료원]]의 [[KMDb]]의 표기를 따르도록 하겠습니다. || '''연도''' || '''제목''' || '''비고''' || || [[2002년|2002]] ||[[철서구]](铁西区) ||3부로 구성 || || [[2007년|2007]] ||중국여인의 연대기(Fengming, a Chinese memoir) || || || [[2007년|2007]] ||잔혹한 공장(Brutality Factory) ||14분 단편[* 굴벤키안재단 창립 50주년 기념으로 기획된 "삶의 조건(O Estado do Mundo)"이라는 영화의 단편이다. 왕빙 이외에 [[빈센트 페라스]], [[샹탈 아케르만]], [[아피찻퐁 위라세타꾼]], [[페드로 코스타]]도 이 영화에 각자의 단편을 연출하여 참여하였다. ] || || [[2008년|2008]] ||원유(采油日记) ||[* 2019년 5월 [[에무시네마]]에서 상영하였다. 단, 러닝타임이 840분인 만큼, 관객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함을 전제로 10시부터 24시까지 갤러리에서 진행되었다.[[http://m.sports.khan.co.kr/view.html?art_id=201905221931003&sec_id=540401#c2b|기사]]] || || [[2009년|2009]] ||석탄 가격(Tong dao) ||[* 2015 국제무형유산영상축제에서 상영하였다. [[http://iiff.iha.go.kr/service/movie/movie_read.nihc?movie_id=79|정보]]] || || [[2010년|2010]] ||이름 없는 남자(无名者) || || || [[2010년|2010]] ||바람과 모래(夹边沟) || || || [[2012년|2012]] ||[[세 자매]](三姊妹) || || || [[2013년|2013]] ||Alone(孤独) || || || [[2013년|2013]] ||[[광기가 우리를 갈라놓을 때까지]](疯爱) || || || [[2014년|2014]] ||흔적들(遺址) ||단편 || || [[2014년|2014]] ||아버지와 아들(父与子)' || || || [[2016년|2016]] ||타앙: 경계의 사람들(德昂) || || || [[2016년|2016]] ||비터 머니(苦錢) ||제목 표기 관련[* "상하이 청춘(Shanghai Youth)"으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으나 [[http://siseon.kr/bittermoneyedit/|이 글에 따르면]] "Shanghai Youth"와 "Bitter Money"는 원래 같은 프로젝트였으나 촬영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두 부분으로 나누어졌으며, 이로 인해 전달 과정에서 혼동이 생긴 것이라고 한다. 즉, Shanghai Youth라는 작품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 || [[2017년|2017]] ||미세스 팡(方秀英) || || || [[2018년|2018]] ||사령혼: 죽은 넋(Les Âmes mortes) || || || [[2018년|2018]] ||아름다움은 자유에 있다(美是自由的象征) || || || [[2023년|2023]] ||[[청춘(봄)]](Jeunesse (Le Printemps)) ||[[제76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 [* 3부작 구성.] || || [[2023년|2023]] ||흑의인(Man in Black) ||[[제76회 칸 영화제]] 특별 상영 || == 여담 == * [[정성일]]이 격하게 지지하는 감독 중 하나이며 [[왕빙]]에 대해서는 그 애정의 정도가 남다른데, 아예 그의 촬영현장의 모습을 담은 [[천당의 밤과 안개]]라는 다큐멘터리까지 연출하기도 하였다. * 다루는 소재가 중국 공산당에겐 상당히 민감한 소재들이 많아서[* [[사령혼: 죽은 넋]]은 [[반우파 투쟁]] 시절 숙청되어 [[자볜거우 농장]]에 수용되었다가 풀려난 사람들을 인터뷰한 것이고, [[아름다움은 자유에 있다]]는 사령혼과 마찬가지로 중국 공산당에 의해 반혁명분자, 우파분자 등으로 분류되며 수난을 겪었던 시인이자 화가, 그리고 미학자인 가오얼타이를 인터뷰한 다큐멘터리이다.], 영화광들에게는 걱정을 사는 감독이기도 하다. 2022년 GV에서 밝히길 해외 거주하고 있는 상태라고 한다.[* 왕빙 영화들의 러닝타임이 무지막지한 점 때문에 시네필들은 사실 검열관들이 몇 시간짜리 영화를 보다가 졸아서 검열당하지 않는 것이라는 농담을 하기도 한다. 물론 어디까지나 농담이고, [[정성일]]의 말에 따르면 [[천당의 밤과 안개]]의 개봉이 자꾸 미뤄지는 것을 왕빙에게 토로하자 "내 영화는 중국 내에서 단 한 편도 개봉한 적이 없다"고 위로해줬다고 한다.] * 영화평론가 정성일이 뽑은 21세기 영화 철서구 [[https://youtu.be/JB1t4FWN0xs?t=1867|#]] [[분류:중국 영화 감독]][[분류:시안시 출신 인물]][[분류:1998년 데뷔]][[분류:1967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