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왕자]][[분류:개성 왕씨]][[분류:고려의 공작]][[분류:1170년 사망]] [include(틀:고려의 왕자/선종 ~ 공양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고려의 제왕[br]고려 조선국 양헌왕의 왕자[br]고려 숙종의 부마[br]{{{+1 광평공 왕원 | 廣平公 王源 }}}'''}}} || || '''츨생''' ||[[1083년]]^^([[선종(고려)|선종]] 즉위년)^^ || || '''사망''' ||[[1170년]]^^([[의종(고려)|의종]] 24년)^^ [[1월 12일]](향년 88세) || || '''본관''' ||[[개성 왕씨]] || || '''휘''' ||원(源) || || '''부모''' ||부왕 [[조선국 양헌왕]] 모후 [[경원 이씨]][*A 현재는 [[인천 이씨]]. [[이자연(고려)|이자연]]의 장남 [[이정(고려)|이정]]의 딸이다. [[조선국 양헌왕|양헌왕]] 생전엔 조선공비(朝鮮公妃)로 [[조선국 양헌왕|양헌왕]] 사후엔 조선국왕비(朝鮮國王妃)로 불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 || '''형제자매''' ||{{{#!folding 3남 중 차남 [ 펼치기 · 접기 ] [[왕자(수사공)|수사공 왕자]](王滋) [[왕원(광평공)|광평공 왕원]](王源) [[강릉공|강릉공 왕온]](王溫)}}} || || '''배우자''' ||안수궁주(安壽宮主) 왕씨[*B 《고려사》 공주열전엔 안수궁주(安壽宮主)로, 《고려사》 종실열전에는 안수공주(安壽公主)로, 남편인 광평공 왕원의 묘지명에는 순정공주(順貞公主)로 기록되어 있다.][* [[숙종(고려)|숙종]]의 3녀] || || '''자녀''' ||'''1남''' [[안평공|안평공 왕경]] || || '''지위''' ||[[제왕#諸王]](諸王) || || '''작위''' ||광평백(廣平伯)[br]광평후(廣平侯)[br]광평공(廣平公)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의 왕족. 휘는 원(源). [[조선국 양헌왕|조선국 양헌왕 왕도]]와 [[경원 이씨]][*A]의 차남이다. == 생애 == 왕원의 묘지명에 따르면 [[약관#s-2]]의 나이[* 20세]에 [[숙종(고려)|숙종]]으로부터, 《[[고려사]]》에 따르면 [[예종(고려)|예종]] 6년인 1111년에 광평백(廣平伯)으로 책봉된다. 《[[고려사]]》종실열전에 따르면 순정공주(順貞公主)[*B][* [[숙종(고려)|숙종]]의 3녀]와 혼인하여 광평백으로 책봉되었다고 한다. 이후 [[인종(고려)|인종]] 때 작위가 광평후(廣平侯)로 오른다. 인종 21년인 1143년 왕이 [[장경왕후(고려)|태자비]]에게 태자비 책봉을 축하하며 예물을 하사하고 연 곡연(曲宴)[* 궁의 후원에서 가까운 사람들만 불러 베풀던 작은 잔치]에 참석한다. 같은 해 6월 27일에 수태보 광평공(守太保 廣平公)의 작위와 식읍 2,000호, 식실봉 500호를 하사 받았다. 광평공 왕원은 [[유학]]과 [[불교]]에 능통했는데, 중년 이후 [[법화경]]을 읽기 시작했는데 읽은 권수가 거의 만 권에 이르렀다고 한다. 또한 [[의술]]에도 뛰어나 약으로 많은 사람을 구했다. [[의종(고려)|의종]] 24년인 1170년 88세의 나이로 모친에게서 물려받은 불령(佛嶺)[* 왕의 명이 내려진 지역이란 뜻이다.]의 사저에서 병사한다. 최종 관직은 수태부 상주국 광평공(守大傅 上柱國 廣平公)으로 식읍은 3,000호이다. 이듬해인 명종 1년인 1171년 12월 2일 백악산 서쪽 기슭에서 장사지냈다. == 가족관계 == * 부: [[조선국 양헌왕|조선국 양헌왕 왕도]] * 모: [[경원 이씨]][*A] * '''본인: 광평공 왕원''' * 부인: 안수궁주(安壽宮主) 왕씨[*B][* [[숙종(고려)|숙종]]의 3녀] * 아들: [[안평공|안평공 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