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이솝 우화]] 중 하나. '왕을 탄원한 개구리', '개구리 임금님', '개구리들의 임금님', '임금님이 필요해', '왕을 보내달라고 요청한 개구리' 등으로도 알려진 이야기다. == 줄거리 == 에밀 샹브리가 1927년에 발간한 "Esope. Fables. Texte établi et traduit par Emile Chambry"에 나오는 이야기는 이렇다.[* [[그리스어]] 원문과 [[프랑스어]] 번역본 358편이 실려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참조되고, 원문에 가깝다고 평가 받는 이솝 우화 판본이다.] > [[개구리]]들은 [[무정부 상태]]로 살아가는 자신들이 싫어서 [[제우스]]에게 대표단을 보내 임금님을 달라고 요구했다. > 제우스는 개구리들이 아주 단순하다는 사실을 알기에 통나무 하나를 그들의 습지에 던져 주었다. > 통나무가 물에 떨어지면서 큰 소리가 나자 놀란 개구리들은 깊이 숨었다가 조용해지자 슬금슬금 기어나왔다. > 개구리들은 처음에는 통나무 왕을 무서워했으나, 통나무가 움직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개구리들은 결국 통나무를 얕보면서 그 위에 기어올라가 깔고 앉을 정도가 되었다. > > 개구리들은 형편없는 임금을 갖게 되어 부끄럽다며, 제우스에게 두 번째로 대표단을 보냈다. > 제우스는 개구리들에게 화가 나 [[물뱀]]을 보냈다. > 물뱀은 연못을 돌아다니며 개구리들을 모조리 잡아먹어 버렸다. 변형으로는 물뱀 대신 [[황새]] 등 섭금류를 보내는 이야기가 있으며, 이 쪽이 더 유명하다. [[파일:the_frogs_who_desired_a_king_-_project_gutenberg_etext_19994.jpg]] 1919년에 [[미국]]에서 발간된 '이솝 선집(Aesop anthology)'에 실린 삽화. Milo Winter 그림. [[파일:개구리들의 임금.jpg]] 섭금류가 등장하는 또 다른 삽화. 살아남은 개구리들이 제우스에게 왕을 물러달라고 세 번째로 탄원했으나, 제우스는 선택의 대가라며 깨끗이 무시하는 이야기가 추가되기도 한다. == 해석 == [[민주주의]]보다는 강력한 [[참주]]를 갈망하던 당시 [[그리스]] 시민들의 모습을 [[풍자]]한 이야기며, [[20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파시즘]]에 대한 강력한 경고가 되고 있고 불량 권력자에 대한 풍자가 되기도 한다. 이야기를 재해석해서 지도자 중 '[[암군]]'과 '[[폭군]]'을 비교해서 설명하기 위해 이 이야기를 인용하는 경우도 있다. 무능하고 국민들에게 아무것도 해주지 못하는 '암군'을 통나무에 비유하고, 국민들을 잔혹하게 탄압하는 '폭군'을 뱀 내지는 황새에 비유하는 것이다. 다만 통나무 쪽은 반대로 앉을 자리를 마련해주는 등 개구리에게 정말로 많은 도움이 되는 존재지만, 움직여 개구리를 압도하지 않기 때문에 깔보인다는 식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이솝 우화,version=87)] [각주] [[분류:이솝 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