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스스톤/전장/우두머리)] [목차] == 개요 == ||<-3>
|| || '''한글명''' || 왕쥐 ||<|4> [[파일:The Rat King-bg3.png|width=200]] || || '''영문명''' || The Rat King || || '''생명력''' || 30 || || '''방어도''' || 9 || || '''플레이버 텍스트''' ||<-2>아무도 그가 무엇의 왕인지 모릅니다. 그래도 왕이라 하니 경의를 표해야 합니다.[br]''(No one knows what he is the King of. Nevertheless, the junk crown demands respect.)'' || ||<-3>
|| || '''한글명''' || 왕들의 이야기 ||<|3> [[파일:A Tale of Kings-bg3.png|width=200]] || || '''영문명''' || A Tale of Kings || || '''비용''' || 2 || || '''효과''' ||<-2>특정 종족을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종족이 바뀝니다. || ===# 종족별 일러스트 #=== ||<-3>
|| || '''한글명''' || 백수의 왕 ||<|3> [[파일:King of Beasts-bg3.png|width=190]] || || '''영문명''' || King of Beasts || || '''비용''' || 2 || || '''효과''' ||<-2>야수를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종족이 바뀝니다. || ||<-3>
|| || '''한글명''' || 멀록의 왕 ||<|3> [[파일:King of Murlocs-bg3.png|width=190]] || || '''영문명''' || King of Murlocs || || '''비용''' || 2 || || '''효과''' ||<-2>멀록을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종족이 바뀝니다. || ||<-3>
|| || '''한글명''' || 기계의 왕 ||<|3> [[파일:King of Mechs-bg3.png|width=190]] || || '''영문명''' || King of Mechs || || '''비용''' || 2 || || '''효과''' ||<-2>기계를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종족이 바뀝니다. || ||<-3>
|| || '''한글명''' || 악마의 왕 ||<|3> [[파일:King of Demons-bg3.png|width=190]] || || '''영문명''' || King of Demons || || '''비용''' || 2 || || '''효과''' ||<-2>악마를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종족이 바뀝니다. || ||<-3>
|| || '''한글명''' || 용족의 왕 ||<|3> [[파일:King of Dragons-bg3.png|width=190]] || || '''영문명''' || King of Dragons || || '''비용''' || 2 || || '''효과''' ||<-2>용족을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종족이 바뀝니다. || ||<-3>
|| || '''한글명''' || 해적의 왕 ||<|3> [[파일:King of Pirates-bg3.png|width=190]] || || '''영문명''' || King of Pirates || || '''비용''' || 2 || || '''효과''' ||<-2>해적을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종족이 바뀝니다. || ||<-3>
|| || '''한글명''' || 정령의 왕 ||<|3> [[파일:King of Elementals-bg3.png|width=190]] || || '''영문명''' || King of Elementals || || '''비용''' || 2 || || '''효과''' ||<-2>정령을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종족이 바뀝니다. || ||<-3>
|| || '''한글명''' || 가시멧돼지의 왕 ||<|3> [[파일:King of Quilboar-bg3.png|width=190]] || || '''영문명''' || King of Quilboar || || '''비용''' || 2 || || '''효과''' ||<-2>가시멧돼지를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종족이 바뀝니다. || ||<-3>
|| || '''한글명''' || 나가의 왕 ||<|3> [[파일:King of Naga-bg3.png|width=190]] || || '''영문명''' || King of Naga || || '''비용''' || 2 || || '''효과''' ||<-2>나가를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종족이 바뀝니다. || ||<-3>
|| || '''한글명''' || 언데드의 왕 ||<|3> [[파일:King of Undead-bg.png|width=190]] || || '''영문명''' || King of Undead || || '''비용''' || 2 || || '''효과''' ||<-2>언데드를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종족이 바뀝니다. || == 전우 : 비둘기 군주 == ||<-6>
|| || '''한글명''' || 비둘기 군주 ||<-4><|5> [[파일:Pigeon Lord-bg2.png|width=200]] || || '''영문명''' || Pigeon Lord || || '''단계''' || 1 || || '''등급''' || 기본 || || '''종족''' || - || || '''공격력''' ||<-2> 3(6) || '''생명력''' ||<-2> 4(8) || ||<|2> '''효과[br](황금)''' ||<-5>밥의 선술집에 내 영웅 능력과 같은 종족의 하수인이 없다면, 내 '''새로고침'''의 비용이 (0)이 됩니다. || ||<-5>밥의 선술집에 내 영웅 능력과 같은 종족의 하수인이 없다면, 내 '''새로고침'''의 비용이 (0)이 됩니다. || 상점에 특정 종족 하수인이 없으면 바보가 되는 왕쥐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전우. 헷갈릴 수 있지만, 밥의 선술집에 영웅 능력과 같은 종족이 있어도 그걸 사서 선술집에서 그 종족이 사라지는 순간 바로 리롤이 0코스트가 된다. 2단계 기물이긴 하지만, 그래도 왕쥐의 영웅 능력이 가장 빛을 발하는 초반보다는 살짝 늦게 나오므로 이 전우를 쓴다면 중반부에 덱의 기점을 잡아 후반부엔 지뢰를 피한다는 느낌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한적으로나마 리롤을 0코스트로 만들어주기 때문에 리롤 위주의 덱을 맞춰야 할 경우 후반에도 도움이 되며, 이 경우 자신이 가는 종족과 영능이 겹친다면 금상첨화가 된다. 다만 본인의 종족 값이 없어서 버프를 주기 어렵다는 건 단점. 황금 하수인을 맞춘다고 달라지는 것도 없으므로 급하면 그냥 1골드로 사용해도 되고, 여유가 되면 황금을 통한 발견을 노리면 된다. 25.6 패치에서 전우가 재출시되면서 1성으로 변경되었다. == 상세 == 하스스톤 [[달라란 침공/우두머리/마법의 뒤안길#s-2.7|달라란 침공의 마법의 뒤안길]]에서 등장하는 오리지널 우두머리 '''왕쥐'''이다. 스톰윈드 확장팩의 사냥꾼 전설카드로도 등장했다. 랜덤이긴 하지만 2코스트에 하수인을 확보할 수 있기에 요그사론, 자이렐라, 스캡스처럼 2코 능력 라인의 운영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능력의 랜덤성이 강하기에 원하는 하수인이나 종족을 확보하는 데에 운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지만, 다른 2코 능력들처럼 리롤을 돌리거나 상대의 하수인을 먹는 것보단 적정 종족이 나왔을 때 발견으로 한 장을 확보하는 쪽이 원하는 하수인을 손에 넣을 확률이 더 높다. 굳이 따지자면 쿠키의 능력에 랜덤성이란 리스크에 매턴 사용이라는 메리트를 주어 2골드를 지불하는 격. 2골드 능력라인이 그렇듯 초반 필드보강을 통해 레벨링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지만, 왕쥐만의 특색이라고 한다면 저단계 하수인의 페어, 황금 카드를 찾기가 쉽다는 것이다. 특히 1렙롤 단계에선 하수인 풀이 1~3이기 때문에 종족만 맞는다면 중립을 제외하고 원하는 하수인을 손에 넣을 수 있다. 로테이션은 순서대로가 아닌 직전의 종족을 제외한 나머지 종족 중 무작위로 정해진다 용-해적-용이 뜰수도 있다는것. == 패치 역사 == 12월 6일자 [[https://playhearthstone.com/ko-kr/blog/23239986/12-6|패치]]로 인해 영웅능력이 +1/+2에서 +1/+1로 변경되고, 항상 버프를 받던 악몽의 융합체가 사라져 메리트가 없어진 영웅. 더군다나 용족의 추가로 영웅 능력 대상이 덱 컨셉과 맞을 확률까지 내려가버렸다. 16.6 패치로 생명력 증가량이 +1에서 +2로 다시 증가하였다. 17.4 패치로 해적이 추가되면서 '해적의 왕' 영웅 능력 아이콘이 추가되었다. 또한 이전에는 무조건 첫 번째 턴에 백수의 왕으로 고정되었으나 현재는 '왕들의 이야기'로 시작하여 무작위로 영웅 능력이 바뀌게 되었다. 로테이션으로 제외된 종족은 나오지 않는데, 야수가 밴 될 수 있게 되면서 바꾼 듯하다. 참고로 핀리로 왕쥐의 영능을 발견할 경우 왕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무작위 영능 중 하나로 시작하여 어떤 영능으로 시작할 지 알 수 있다. 반대로 다른 우두머리들은 왕쥐에게 커서를 올려도 '왕들의 이야기'로만 뜨기 때문에 현재 턴에 왕쥐가 어떤 영능을 가졌는 지 알 수 없게 되었다. 이후 용족, 정령, 가시멧돼지 등등 신규 종족이 출시될 때마다 해당 종족에 따른 새로운 영웅 능력 아이콘도 함께 추가되고 있다. 18.6.1 패치로 버프 능력치가 +1/+2에서 +2/+2로 버프되었다. 버프 이후에는 확실히 종족이 맞는 기물만 떠 주면 초반에 그럭저럭 체력 보존은 가능하지만, 영능에 맞는 상점이 안 나오면 아무것도 못 한다는 고질적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았기에 상황이 크게 나아지진 않았다. 방어도 시스템이 처음 도입된 21.8 패치에서 방어도 6단계로 배정되었다. 22.2 패치에서 전우가 도입되면서 일시적으로 방어도 시스템이 비활성화 되었다. 방어도 시스템이 재도입된 22.6 패치에서 방어도 5단계로 배정되었다. 전우가 삭제된 23.2 패치에서 방어도 6단계로 변경되었다. 23.4.3 패치에서 방어도 7단계로 변경되었다. 24.2.3 패치에서 방어도 6단계로 변경되었다. 24.6 패치에서 영웅능력이 '내가 특정 종족을 살 때마다 그 하수인에게 +2/+2를 부여합니다. 매 턴마다 바뀝니다.'에서 '[비용 2] 특정 종족을 발견합니다. 매 턴마다 종족이 바뀝니다.'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방어도 1단계로 변경되었다. 퀘스트가 삭제되고 언데드 종족이 추가된 시즌3 25.2 패치에서 방어도 1단계를 유지하였다. 영웅의 기본 생명력이 30으로 변경되고, 방어도 단계가 사라진 대신 영웅별로 고정된 방어도가 부여되도록 변경된 25.6 패치에서 방어도 10을 부여받았다. 26.0.2 패치에서 방어도가 9으로 감소하였다. == 스킨 == === 희귀 === ==== 사범 쥐 ==== ||<-3>
|| || '''한글명''' || 사범 쥐 ||<|4> [[파일:The Martial Rat-bg2.png|width=190]] || || '''영문명''' || The Martial Rat || || '''생명력''' || 30 || || '''방어도''' || 9 || || '''플레이버 텍스트''' ||<-2>하수도의 왕에서 쿵푸의 왕이 되다니 출세했군요..[br]''(King of Kung-Fu is a big step up from King of the sewers.)'' || ==== 쥐 왕자 [* 텍스트: 원래대로라면 Rat King이 왕쥐이니 Rat Prince는 왕자 쥐여야 하나 순서를 바꿨다. --[[왕자지|이유는...]]--] ==== ||<-3>
|| || '''한글명''' || 쥐 왕자 ||<|4> [[파일:The Rat Prince-bg2.png|width=190]] || || '''영문명''' || The Rat Prince || || '''생명력''' || 30 || || '''방어도''' || 9 || || '''플레이버 텍스트''' ||<-2>세상에서 가장 작은 왕자의 손에는 알 하나도 엄청 큰 상으로 보입니다.[br]''(In the paws of the smallest prince, even a single egg is a grand prize,)'' || === 특급 === === 전설 === ==== 호두까기 왕 ==== ||<-3>
|| || '''한글명''' || 호두까기 왕 ||<|4> [[파일:Nutcracker King-bg2.png|width=190]] || || '''영문명''' || Nutcracker King || || '''생명력''' || 30 || || '''방어도''' || 9 || || '''플레이버 텍스트''' ||<-2>겨울할아버지 리치 왕이 고물을 던질 때, 호두까기 왕은 열심히 모읍니다.[br]''(Where there's a Greatfather Lich King throwing scraps, there's a Nutcracker King collecting them.)'' || == 관련 업적 == ||<-3> '''{{{#black 전장}}}''' || || 업적명 || 업적 조건 || 보상 || || [[리치 왕|왕쥐는 언제나 존재해야만 한다]] || 왕쥐로 전장 플레이 / 4위 내에 들기 / 1위 달성 ||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스스톤/전장/우두머리 , version=2560)] [[분류:하스스톤/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