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왕자]][[분류:고려의 왕족]][[분류:몰년 미상]] [목차] == 고려 [[정간왕|정간왕 왕기]]의 아들 王璡 == 생물년도 미상 고려 [[현종(고려)|현종]]의 손자로, [[현종(고려)|현종]]의 아들 [[정간왕|정간왕 왕기]]의 아들이다. 《고려사》 종실열전 [[정간왕|평양공 왕기]]편에 의하면 태위(太尉)의 벼슬을 지냈다고 한다. [[1072년]] 아버지인 [[정간왕|평양공 왕기]]를 옹립하려고 했던 [[문종(고려)/생애#거신의 난|모반 시도]]가 알려지자 [[문종(고려)|문종]]에 의해 해남(海南)으로 유배되었다가 이내 사망했다. == 고려 [[신안후|신안후 왕성]]의 아들 王璡 == ? ~ [[1220년]] [[10월 27일]](음력) 고려 [[현종(고려)|현종]]의 아들 [[정간왕|정간왕 왕기]]의 5대손으로 [[신안후|신안후 왕성]]의 아들이자 [[희종(고려)|희종]]의 비 [[성평왕후]]의 아버지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영인후 왕진, rd1=영인후)] == 고려 연창공의 아들 王縝 == 王縝 ? - [[1220년]] [[11월 23일]](음력 10월 27일) [[고려]] 중기의 왕족. [[현종(고려)]]의 6세손으로, 연창공 왕평(王玶)의 아들이다. 글과 학문을 좋아했고 용모가 뛰어났다고 한다, 광릉후(廣陵侯)에 봉해졌으며 수사공(守司空)을 지냈다. 1179년 명종(明宗)의 딸 연희궁주(延禧宮主)와 혼인해 영인후가 되었다. [[1197년]] [[명종(고려)]]이 [[최충헌]]에게 폐위된 후, [[최충수]]는 왕진을 다음 왕으로 추천했는데, 이는 최충수가 왕진의 여종을 좋아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반대로 최충헌은 명종의 동생인 [[신종(고려)]]을 왕으로 추천하면서 의견이 엇갈렸는데, 최충헌의 조카 박진재가 중재하면서[* 금나라에서 왕진이 있는 줄을 알지 못하니 왕진을 왕으로 세운다면 왕위를 찬탈했다고 트집을 잡을 것이라고 반대했다.] [[신종(고려)]]이 왕으로 옹립된다. 1197년 11월 수사도 상주국 영인백(守司徒 上柱國 寧仁伯)에 임명되었다. 1208년에 [[희종(고려)]]이 주최한 잔치에 덕양후 왕서, 시중 최충헌 등과 함께 참석했으며 봉작이 영인후(寧仁侯)로 되어있다. 1220년 사망했다. 드라마 [[무인시대]]에서도 등장하지만 배역은 알려지지 않았다. == 고려 시흥백(始興伯) 王璡 == 생몰년도 미상 고려의 왕족. 1208년 희종이 주관한 잔치에 초대받아서 참석한 기록이 있다. == [[신종(고려)]]의 손자 王瑱 == >왕소(王玿)는 익원부원군(益原府院君)에 봉해졌고, 아들 왕진(王瑱)은 영원군(永原君)에 봉해졌다. 왕진의 아들은 왕경(王瓊)·왕민(王玟)이 있는데, 모두 원윤(元尹)을 지냈다. >玿, 封益原府院君, 子瑱, 封永原君. 瑱子瓊·玟, 皆元尹. >고려사 열전 권제4 종실 신종 왕자 양양공 왕서 신종의 손자로, 신종과 선정태후의 2남 왕소의 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