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문하시중]][[분류:고려의 인물]] [include(틀:고려의 문하시중)] ||<-2> '''[[문하시중|{{{#670000,#fedc89 고려 광평시중}}}]][br]{{{+1 왕철}}}[br]王鐵''' || || '''출생''' ||?|| || '''사망''' ||?|| || '''본관''' ||대원 왕씨(大原 王氏)[* 왕철(王鐵)의 외손자로 추정되는 농서 이공의 묘지명인 이농서공묘지명(李隴西公墓誌銘)에 어머니가 대원 왕씨(大原 王氏)라고 기록되어 있다.[[https://db.history.go.kr/goryeo/level.do?levelId=gsko_002_1960&pageIndex=11&recordCountPerPage=20&orderColumn=LEVEL_ID&orderDir=asc|#]] 다만 이것은 태원 왕씨(太原 王氏)의 오기로 보인다. 우리나라 왕씨는 중국의 태원 왕씨에서 갈라진 것으로 본다.] || || '''재임기간''' ||? ~ [[935년]] ~ ? || || '''주요 관직''' ||광평시중[br]내의령 || == 개요 == 고려 전기에 [[문하시중|광평시중]], 내의령 등을 역임한 문신. == 상세 == 935년(태조 18) 10월 신라 [[경순왕]]이 시랑 김봉휴(金封休)를 보내어 입조(入朝)를 청하자, 고려 [[왕건|태조]]는 섭[[문하시중|시중]](攝侍中) 왕철(王鐵)을 시랑 한헌옹(韓憲邕) 등과 함께 보내어 화답하게 하였다. 동년 11월 신라 왕이 백관을 거느리고 왕도(王都)를 출발하여 개경(開京)에 들어올 때 왕철(王鐵)은 이를 수행하였다. 왕철의 외손자로 추정되는 농서 이공(隴西 李公)[* 성명 미상.]의 묘지명인 [[https://db.history.go.kr/goryeo/level.do?levelId=gsko_002_1960&pageIndex=11&recordCountPerPage=20&orderColumn=LEVEL_ID&orderDir=asc|이농서공묘지명]](李隴西公墓誌銘)에 어머니가 내의령(內議令)[* 고려 초에 설치된 내의성(內議省)의 종1품 장관직이다. 이후 내사령(內史令), 중서령(中書令) 등으로 개칭되었다.] 왕철의 장녀라고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