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본래 의미 == [[어머니]]의 [[본가]]를 이르는 말. [[아버지]]의 본가인 [[시집|친가]]에 대응하는 의미로 어머니의 본가를 [[친정|외가]]라고 부르는데 거기에 '-집'을 붙인 [[겹말]]이다. 어릴때 시골 외할머니 댁에서 했던 활동이 유래되어서 외갓집체험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 동요 == [youtube(6MB_N45j1Oo)] 이 동영상에서는 1절을 반복해서 부르는데, 원래는 아래 가사에도 나온 것처럼 2절이 따로 있다. MR 버전: [[https://youtu.be/vb3ZZ62J5gs|듵기]] 정운모 작사, 김석곤 작곡의 동요이다. 8분음 6박자의 내림마 장조로 된 민요풍 동요로, 파랑새 창작동요 4집에 수록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4학년 음악 교과서에도 수록된 적이 있다. 참고로 '외갓집 가는 길'이라는 제목의 동요와는 다른 곡이다. >[1절] >깊고 깊은 산골마을 우리 외갓집 >앞뜰의 감나무엔 단감이 주렁주렁 >뒤뜰의 밤나무엔 알밤이 주렁주렁 >추수하는 가을이면 생각이 난다 > >[2절] >멀고 먼 두메마을 우리 외갓집 >앞동산 등성이엔 머루가 조롱조롱 >뒷동산의 골짜기엔 다래가 조롱조롱 >추수하는 가을이면 가보고 싶다 == 빙그레의 라면 == [youtube(hGQ_TAroK7A)] 참고로 이쪽은 [[사잇소리 현상|사이시옷]]이 빠진 '외'''가'''집'으로 쓴다. 예전 [[빙그레(기업)|빙그레]]에서 출시했던 라면이다. 우리집(福)라면이 인기를 끌자 거기에 맞춰 작명한 것으로 보인다. [[강남길]]과 [[이영후]]가 모델이었고 [[다대기]]가 들어간 점을 밀었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동요]][[분류:라면]][[분류:빙그레의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