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베이징시의 대학]][[분류:1955년 개교]] [include(틀: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소속대학)] ||<-3> {{{+1 {{{#fff '''외교학원'''}}}}}}[br]{{{#fff '''外交学院'''}}}[br]{{{#ffdd00 '''China Foreign Affairs University'''}}} || ||<-3> [[파일:외교학원 로고.svg|width=60%]] || ||<-2> {{{#ffffff '''교훈'''}}} || {{{#000000,#e5e5e5 '''입장을 확고히 하고, 정책을 파악하며[br]업무를 숙지하고, 규율을 엄수하자.[* 외교가이자 초대 국무원 총리였던 [[저우언라이]]가 남긴 문구][br]站稳立场,掌握政策,熟悉业务,严守纪律'''}}} || ||<-2> {{{#fff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화인민공화국]] || ||<-2> {{{#fff '''분류'''}}} ||[[공립대학]] || ||<-2> {{{#fff '''개교'''}}} ||1955년 9월 10일 || ||<-2> {{{#ffffff '''원장'''}}} ||왕판(王帆) || ||<-2> {{{#fff '''당위서기'''}}} ||추이치밍(崔启明)[* 제8대 주[[벨라루스]] 대사 역임.] || ||<|2> {{{#ffffff '''주소'''}}} || {{{#ffffff '''잔란관 캠퍼스'''}}} ||[[베이징시]] [[시청구]] 잔란관루 24호[br]北京市西城区展览馆路24号 || || {{{#ffffff '''샤허 캠퍼스'''}}} ||{{{-2 [[베이징시]] [[창핑구]] 샤허지구 가오샤오위엔난싼제 5호[br]北京市昌平区沙河地区高教园南三街5号}}} || ||<-2> {{{#ffffff '''소속'''}}} ||[[파일:중국 국장.svg|height=20]]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 ||<-2> {{{#fff '''홈페이지'''}}} ||[[https://www.cfau.edu.c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중국어]]||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외교학원 (China Foreign Affairs University)[* 영문 명칭을 직역하면 "중국외교대학"이지만, 정식 교명은 "외교학원"을 유지하고 있다.], 약칭 외원(外院)은 중화인민공화국 외교관 양성을 위해 설립된 [[중국 외교부]]의 유일한 직속 고등교육기관이다. 외교관 양성이라는 목적에 걸맞게 외교학, 외국어 등 외교관 양성과 관련된 소수의 학과들만 운영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외교관을 제일 많이 배출한 교육기관이다.'''[* 2위는 [[베이징외국어대학]]. 대사 수는 [[베이징외국어대학]]이 근소한 차이로 앞선다.] 2017년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에 수록되었지만 [[985공정]]과 [[211공정]]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다. 이 때문에 학교의 실력이 저평가되는 분위기가 현재까지 존재한다. == 역사 == 1955년 당시 국무원 총리였던 [[저우언라이]]의 제안으로 [[중국인민대학]] 외교학과를 분리해 설립되었다. 캠퍼스 완공전에는 [[베이징외국어대학]]의 건물에서 교육이 진행되었다. 1966년 문화대혁명으로 학교업무가 중단되었다. 1980년 학교업무가 재개되었다. 2012년 [[창핑구]]의 새 캠퍼스가 완공되었다. 현재 베이징 시내에 위치한 잔란관(展览馆) 캠퍼스와 창핑구에 위치한 샤허(沙河) 캠퍼스를 운영중이다. == 학과 == * 외교외사관리학과 (외교학) * 외국어학과 (스페인어, 프랑스어, 일본어) * 영어학과 (영어,번역) * 국제법학과 (법학) * 국제경제학과 (국제경제와 무역, 금융학) == 학부 == * 기초교학부(基础教学部) * 연구생부(研究生部) == 단과대학 == * 국제경제학원(国际经济学院) * 국제교육학원(国际教育学院) == 산하 연구소 == 국제관계연구소(国际关系研究所) == 기타 == 특수한 목적의 대학이라서 타 종합대학들에 비해 여러모로 "작다"는 느낌이 강하다. 개설 전공수도 적고, 학생수도 적고, 캠퍼스도 좁은 편. 외교관을 많이 배출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평균 영어실력이 높고 자체 [[모의 유엔]]을 개최하는 등 외교와 관련된 기타 분야들에서도 강세를 보인다. [[자크 시라크]] 전 프랑스 대통령은 2009년 외교학원을 중국최고의 외교관교육기관이라고 언급했다. [[원자바오]] 전 중국 국무원 총리는 2012년 창핑구의 신 캠퍼스에서 외교학원을 "중국 외교관의 요람"이라고 친필로 작성했다. 대한민국의 전 외교부장관이자 [[UN 사무총장]]이었던 [[반기문]]은 2008년 이곳을 방문해 특강을 했다. 총장이나 부총장이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나 다른 미디어에 출연해 외교이슈에 대해 논하는 경우가 많다. 외국 유학생의 수는 현재 학부, 석사, 박사를 포함해 80명 정도이며, 본교에 등록 된 한국인 유학생 수는 2023년 기준 0명이다. (2021년 유일했던 한국인 유학생이 학교를 떠남으로써 현재는 한국인 유학생이 전무하다.) == 출신인물 == *[[왕이(외교관)|왕이]](王毅) - 중국 외교부 부장, 현 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 북경 제2외국어학원출신으로 박사학위는 이곳에서 받았다] * 양위쥔(杨宇军) - [[중국 인민해방군]] 대교출신으로 전 국방부 대변인[* 2010~2017] * 판후이줸(范慧娟) - 중국 외교부 제11대 대변인 * 장위(姜瑜) - 중국 외교부 제23대 대변인으로 2015년부터 주 알바니아대사로 있다. * [[겅솽]](耿爽) - 중국 외교부 제30대 대변인으로 현재 주유엔중국대표부 부대표직을 맡고 있다. * [[왕원빈]](汪文斌) - 중국 외교부 제32대 대변인 * [[마오닝]](毛宁) - 중국 외교부 제33대 대변인 * 장징(张京) - 중국 외교부 통역사 고급통역 담당[* 2021년 3월 [[알래스카]]에서 열린 중 ·미 고위급 회담에서 주목을 받은 미모의 여성통역사다.] * 장루(张璐) - 중국 외교부 통역사 부사장. [[후진타오]], [[원자바오]], [[리커창]]의 통역을 했다. * 다이빙궈(戴秉国) - 15, 16 ,17기 중앙위원, 전 외교부 부부장 * 주통(朱彤) - 중국 외교부 통역실 출신으로 현 [[도이체방크]] 중국법인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 황젠샹(黄健翔) - 축구해설가 * 시에펑(谢锋) - 주미 중국대사[* 2023년 5월 ~], 前 외교부 부부장 * 루샤예(卢沙野) - 주프랑스 중국대사[* 2019년 7월 ~], 前 주캐나다 중국대사 * [[왕야쥔]](王亚军) - 現 주 북한 중국대사관 특명전권대사 * 황웨이(黄炜) - CCTV14 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