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명일방주/오퍼레이터]] ||<-4>
{{{#ffffff,#dddddd '''{{{+5 외드레르}}}'''[br]Hoederer[br]ヘドリー[br]赫德雷}}} || ||<-2> [[파일:hod_stand0.png|width=100%]] ||<-2> [[파일:hod_stand1.png|width=100%]] || ||<-2> 기본 ||<-2> 2차 정예화 후 || || '''{{{#ffffff,#dddddd 포지션}}}''' || [[명일방주/포지션/가드|[[파일:arknights_warrior.png|width=80]]]] [[명일방주/포지션/가드#s-12|[[파일:Crusher_Guard_Big.png]]]][br][[명일방주/포지션/가드|{{{#ffffff,#dddddd 가드}}}]] {{{#ffffff,#dddddd -}}} [[명일방주/포지션/가드#s-12|{{{#ffffff,#dddddd 대검사}}}]] || '''{{{#ffffff,#dddddd 진영}}}''' || [[로도스 아일랜드|[[파일:arknights_rhodes.png|width=80]][br]{{{#ffffff,#dddddd 로도스 아일랜드}}}]] || || '''{{{#ffffff,#dddddd 레어도}}}''' || 6★ || '''{{{#ffffff,#dddddd 성별}}}''' || 남 || || '''{{{#ffffff,#dddddd 성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호소야 요시마사]] || '''{{{#ffffff,#dddddd 일러스트}}}''' || [[명일방주/참여 일러스트레이터#树豚|树豚]][* NPC 시절에는 [[명일방주/참여 일러스트레이터#竜崎いち|竜崎いち]]였다.] || ||<-4>
'''{{{#ffffff,#dddddd 기본정보}}}''' || ||<|2> '''{{{#ffffff,#dddddd 특기}}}''' ||<|2> 격투, 야생 생존, 구전 역사 || || '''{{{#ffffff,#dddddd 전투 경험}}}''' || 21년 || || '''{{{#ffffff,#dddddd 출신지}}}''' || [[카즈델]] || '''{{{#ffffff,#dddddd 생일}}}''' || 4월 22일 || || '''{{{#ffffff,#dddddd 종족}}}''' || [[명일방주/종족#살카즈|살카즈]] || '''{{{#ffffff,#dddddd 신장}}}''' || 185cm || || '''{{{#ffffff,#dddddd 광석병 감염 상황}}}''' ||<-3> 의학 테스트 보고서 참고 결과, '''감염자'''로 확인. || ||<-4>
'''{{{#ffffff,#dddddd 종합검진}}}''' || ||<|2> '''{{{#ffffff,#dddddd 물리적 강도}}}''' ||<|2> 표준 || || '''{{{#ffffff,#dddddd 전장 기동력}}}''' || 표준 || || '''{{{#ffffff,#dddddd 생체 인내도}}}''' || 표준 || '''{{{#ffffff,#dddddd 전술 계획력}}}''' || 우수 || || '''{{{#ffffff,#dddddd 전투 기술력}}}''' || 우수 || '''{{{#ffffff,#dddddd 오리지늄 아츠 적응성}}}''' || 우수 || ||
'''{{{#ffffff,#dddddd 프로필}}}''' || || - || [목차] == 개요 == >획득 대사 >번역 >---- >- 오퍼레이터 입사 중국의 [[모바일 게임]] [[명일방주]]의 캐릭터. == 설정 == ||
{{{#2e2e2e,#dddddd 웨이보 소개}}} || || 원문 링크 || ||[먼지와 연기 속에서 빛나다] //외드레르 “令人怀念的地方,博士。这份委托的细节我并不在意,只是关于报酬,除了赏金之外,我还有些更好的想法。” "그리운 곳이군, 박사. 이 의뢰의 세부 사항은 신경 쓰지 않지만, 보수에 관해서는, 현상금 외에, 내게 더 좋은 생각이 있다." ____________ "이곳은 내가 지난번에 왔을 때와는 좀 달라졌군. 그때만 해도 이 배의 안은 이렇게 밝지 않았지." "쓸데없는 소리, 지난번에 왔을 때가 몇 년 전이었어? 그때만 해도 우리는 매일같이 카즈델 주변의 진흙탕에서 뒹굴다가 다른 살카즈 무리에게 쫓겨다녔잖아." "그래. 다만, 지난 번에는...우리는 떠나기로 했다." "처음에는 리유니온, 그 다음에는 군사 위원회, 요 몇 년 동안 넌 정말 많은 곳을 골라 숨었지." "어쨌든 우리는 살카즈 용병일 뿐이고, 나는 탈출을 생각했지만 결국 내가 여기에 온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너의 이번 선택은 뭐야? 로도스는 네 또 다른 일시적인 은신처인거야?" "아니, 난 이미 충분히 도망쳤어." "용병은 전쟁으로 생겨났고 전쟁으로 만들어졌다...만약 우리가 순환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우리는 전쟁 자체에 선전포고를 해야 할지도 몰라." "그래야 우리가 정말 돌아갈 집이 생길 수 있어." ---- ,,[[https://gall.dcinside.com/m/hypergryph/1439589|비공식 번역 링크]],, || == 작중 행적 == === 흑야의 회고록 === [[파일:avg_npc_047.png]] 흑야의 회고록 시점 비공식 번역명 '헤드레이', <흑야의 회고록> 스토리에서 등장하는 남성 인물. W와 외드레르, 이네스 3인으로 이루어진 용병단의 대장이였다. 침착한 성격으로 살카즈 용병답지 않게 독서를 즐긴다고 언급된다. 스카우트와 안면이 있다.[* 테레시아의 언급으로 보아 살카즈 내전 당시에는 바벨과도 협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 당초에는 W, 이네스와 함께 리유니온에 가담했지만 이네스가 죽고 홀로 빅토리아로 떠난다. 에피소드 마지막에 고해신부의 일원과 접촉했으며, 익명의 인물[* 사실 살아있던 이네스라는 추측이 유력하다]과 대화한다. === 2부 === [[파일:Hoederer ep 10.webp]] 에피소드 10에서 재등장하는데, 그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애꾸눈]]인 채로 맨프레드를 보좌하고 있다. W와의 재회에서 이네스를 죽이곤 살카즈 왕정의 밑으로 들어갔다고 말하지만 사실 이네스는 살아있었고 외드레르도 살카즈 왕정을 따르는 척 이네스와 함께 모종의 계획을 준비하고 있던 듯하다.[* 지하에서 이네스를 만났을 때 W에 대해 대화하면서 정말 행복한 듯이 웃는데 엄청난 괴리감이 들정도로 웃는다.] 글을 쓰는 재주가 있었던 건지 에피소드 12에서 맨프레드가 파프리카에게 건네주는 <살카즈 전쟁사>의 저자가 외드레르라고 한다. 에피소드 12에서 W와 함께 이네스를 구출한 모습으로 보아 로도스 아일랜드로 전향한 것으로 보인다. == 성능 == === 능력치 === ||<-4>
스탯 || || 재배치 || 느림 (70초) || 배치 코스트 || 20 → 22 → 24 || || 저지 가능 수 || 2 || 공격 속도 || 느림 (2.5초) || || 속성 ||<-2> 초기 → 초기 MAX → 1차 정예화 MAX → 2차 정예화 MAX || 최대 신뢰도 || || 최대 체력 ||<-2> 2626 → 3549 → 4670 → 5988 || +500 || || 공격 ||<-2> 742 → 1031 → 1323 → 1576 || +80 || || 방어 ||<-2> 0 || || || 마법 저항 ||<-2> 0 || || ||<-4> 특성 || ||<-4> 저지 중인 {{{#007fff 모든 적}}} 동시 공격 || ||<-5>
잠재능력 || || 2 || 3 || 4 || 5 || 6 || || 배치 코스트 -1 || 최대 HP +250 || 공격력 +45 || 제2재능 강화[br](+3%) || 배치 코스트 -1 || ||<-3>
공격 범위 || || 초기 공격 범위 || 1차 정예화 후 공격 범위 || 2차 정예화 후 공격 범위 || ||<-3> [[파일:ark_lap_leach_melee.png|width=100]] || ||<|2>
태그 || 근거리 || || 딜러 || === 재능 === ||
제1재능 || 개방 조건 || 효과 || || 급전이시[* 기회가 왔을 때 적시에 행동하다.][br](及锋而试) || 1차 정예화 || 공격 시 공격력이 105%까지 상승, 기절 또는 속박 상태의 적 공격 시 공격력이 125%까지 상승 || ||<-3> ↓ 2차 정예화 후 업그레이드 ↓ || || 급전이시[br](及锋而试) || 2차 정예화 || 공격 시 공격력이 110%까지 상승, 기절 또는 속박 상태의 적 공격 시 공격력이 140%까지 상승 || ||
제2재능 || 개방 조건 || 효과 || || 잔불의 망토[br](余火之氅) || 2차 정예화 || 자신과 후방 한 칸에 있는 아군이 18%의 가호 효과 획득 || === 정예화 === ||<-5>
1차 정예화 || ||<-5> 최대 스탯 상승 배치 코스트 {{{#ff0000 2}}} 증가 신규 스킬 {{{#007fff 겹겹이 쌓이는 잿가루}}} 획득 신규 재능 {{{#007fff 급전이시}}} 획득 || ||<-5> 요구 조건 및 재료 || ||<|2> Lv. 50 || [[파일:용문화.png]][br]용문폐 || [[파일:근위 칩.png]][br]가드 칩 || [[파일:폴리에스테르.png]][br]폴리에스테르 || [[파일:케톤 앰플.png]][br]아케톤 응집체 || || 30000 || 5 || 10 || 3 || ---- ||<-5>
2차 정예화 || ||<-5> 최대 스탯 상승 배치 코스트 {{{#ff0000 2}}} 증가 신규 스킬 {{{#007fff 죽음의 연기}}} 획득 재능 {{{#007fff 급전이시}}}의 효과 상승 신규 재능 {{{#007fff 잔불의 망토}}} 획득 || ||<-5> 요구 조건 및 재료 || ||<|2> 1차 정예화[br]Lv. 80 || [[파일:용문화.png]][br]용문폐 || [[파일:근위 듀얼 칩.png]][br]가드 듀얼 칩 || [[파일:크리스탈 전자 유닛.png]][br]결정 전자 장치 || [[파일:전질염 팩.png|width=70]][br]합성 소금 팩 || || 180000 || 4 || 4 || 6 || === 스킬 === ||<-5>
'''{{{+1 꺼지지 않는 무거운 칼날 (重锋不熄)}}}''' || ||<-4> 공격 회복 || 자동 발동 || ||<-2> [[파일:hod_s1.png|width=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idth=100%)]}}} || || 스킬 레벨 || 초기 SP || SP 소모 || 지속 시간 || 효과 || || 1 || 0 || 4 || - || 다음 공격의 공격력이 {{{#007fff 160%}}}까지 상승, 최대 HP의 {{{#007fff 10%}}}만큼HP를 회복 || || 2 || 0 || 4 || - || 다음 공격의 공격력이 {{{#007fff 165%}}}까지 상승, 최대 HP의 {{{#007fff 10%}}}만큼HP를 회복 || || 3 || 0 || 4 || - || 다음 공격의 공격력이 {{{#007fff 170%}}}까지 상승, 최대 HP의 {{{#007fff 10%}}}만큼HP를 회복 || || 4 || 0 || 3 || - || 다음 공격의 공격력이 {{{#007fff 180%}}}까지 상승, 최대 HP의 {{{#007fff 15%}}}만큼HP를 회복 || || 5 || 0 || 3 || - || 다음 공격의 공격력이 {{{#007fff 185%}}}까지 상승, 최대 HP의 {{{#007fff 15%}}}만큼HP를 회복 || || 6 || 0 || 3 || - || 다음 공격의 공격력이 {{{#007fff 190%}}}까지 상승, 최대 HP의 {{{#007fff 15%}}}만큼HP를 회복 || || 7 || 0 || 3 || - || 다음 공격의 공격력이 {{{#007fff 200%}}}까지 상승, 최대 HP의 {{{#007fff 20%}}}만큼HP를 회복 || || 8 || 0 || 3 || - || 다음 공격의 공격력이 {{{#007fff 220%}}}까지 상승, 최대 HP의 {{{#007fff 20%}}}만큼HP를 회복 || || 9 || 0 || 3 || - || 다음 공격의 공격력이 {{{#007fff 240%}}}까지 상승, 최대 HP의 {{{#007fff 20%}}}만큼HP를 회복 || || 10 || 0 || 2 || - || 다음 공격의 공격력이 {{{#007fff 260%}}}까지 상승, 최대 HP의 {{{#007fff 25%}}}만큼HP를 회복 || ||<-5>
'''{{{+1 겹겹이 쌓이는 잿가루 (余烬重荷)}}}''' || ||<-4> 자연 회복 || 수동 발동 || ||<-2> [[파일:hod_s2.png|width=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idth=100%)]}}} || || 스킬 레벨 || 초기 SP || SP 소모 || 지속 시간 || 효과 || || 1 || 0 || 10 || - || 패시브 효과: 공격력 {{{#007fff +4%}}}[br]{{{#ff7f00 초기 상태와 다음 상태 간 전환 가능:}}}[br]공격 딜레이 {{{#ff0000 증가 (+0.5초)}}}, 저지 가능 수 {{{#007fff +1}}}, 공격이 적을 {{{#007fff 1}}}초 동안 기절시킨다 || || 2 || 0 || 10 || - || 패시브 효과: 공격력 {{{#007fff +8%}}}[br]{{{#ff7f00 초기 상태와 다음 상태 간 전환 가능:}}}[br]공격 딜레이 {{{#ff0000 증가 (+0.5초)}}}, 저지 가능 수 {{{#007fff +1}}}, 공격이 적을 {{{#007fff 1}}}초 동안 기절시킨다 || || 3 || 0 || 10 || - || 패시브 효과: 공격력 {{{#007fff +12%}}}[br]{{{#ff7f00 초기 상태와 다음 상태 간 전환 가능:}}}[br]공격 딜레이 {{{#ff0000 증가 (+0.5초)}}}, 저지 가능 수 {{{#007fff +1}}}, 공격이 적을 {{{#007fff 1}}}초 동안 기절시킨다 || || 4 || 0 || 9 || - || 패시브 효과: 공격력 {{{#007fff +16%}}}[br]{{{#ff7f00 초기 상태와 다음 상태 간 전환 가능:}}}[br]공격 딜레이 {{{#ff0000 증가 (+0.5초)}}}, 저지 가능 수 {{{#007fff +1}}}, 공격이 적을 {{{#007fff 1}}}초 동안 기절시킨다 || || 5 || 0 || 9 || - || 패시브 효과: 공격력 {{{#007fff +20%}}}[br]{{{#ff7f00 초기 상태와 다음 상태 간 전환 가능:}}}[br]공격 딜레이 {{{#ff0000 증가 (+0.5초)}}}, 저지 가능 수 {{{#007fff +1}}}, 공격이 적을 {{{#007fff 1}}}초 동안 기절시킨다 || || 6 || 0 || 9 || - || 패시브 효과: 공격력 {{{#007fff +24%}}}[br]{{{#ff7f00 초기 상태와 다음 상태 간 전환 가능:}}}[br]공격 딜레이 {{{#ff0000 증가 (+0.5초)}}}, 저지 가능 수 {{{#007fff +1}}}, 공격이 적을 {{{#007fff 1}}}초 동안 기절시킨다 || || 7 || 0 || 8 || - || 패시브 효과: 공격력 {{{#007fff +28%}}}[br]{{{#ff7f00 초기 상태와 다음 상태 간 전환 가능:}}}[br]공격 딜레이 {{{#ff0000 증가 (+0.5초)}}}, 저지 가능 수 {{{#007fff +1}}}, 공격이 적을 {{{#007fff 1}}}초 동안 기절시킨다 || || 8 || 0 || 7 || - || 패시브 효과: 공격력 {{{#007fff +32%}}}[br]{{{#ff7f00 초기 상태와 다음 상태 간 전환 가능:}}}[br]공격 딜레이 {{{#ff0000 증가 (+0.5초)}}}, 저지 가능 수 {{{#007fff +1}}}, 공격이 적을 {{{#007fff 1}}}초 동안 기절시킨다 || || 9 || 0 || 6 || - || 패시브 효과: 공격력 {{{#007fff +36%}}}[br]{{{#ff7f00 초기 상태와 다음 상태 간 전환 가능:}}}[br]공격 딜레이 {{{#ff0000 증가 (+0.5초)}}}, 저지 가능 수 {{{#007fff +1}}}, 공격이 적을 {{{#007fff 1}}}초 동안 기절시킨다 || || 10 || 0 || 5 || - || 패시브 효과: 공격력 {{{#007fff +40%}}}[br]{{{#ff7f00 초기 상태와 다음 상태 간 전환 가능:}}}[br]공격 딜레이 {{{#ff0000 증가 (+0.5초)}}}, 저지 가능 수 {{{#007fff +1}}}, 공격이 적을 {{{#007fff 1}}}초 동안 기절시킨다 || ||<-5>
'''{{{+1 죽음의 연기 (死境硝烟)}}}''' || ||<-4> 자연 회복 || 수동 발동 || ||<-2> [[파일:hod_s3.png|width=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idth=100%)]}}} || || 스킬 레벨 || 초기 SP || SP 소모 || 지속 시간 || 효과 || || 1 || 40 || 80 || 70초 || 매 초마다 HP {{{#ff0000 100}}} 감소, 자신을 공격했거나 자신이 공격한 적에게 매 초마다 {{{#007fff 200}}}의 트루 대미지를 입힌다. 공격 거리 {{{#007fff +1}}}, 최대 HP {{{#007fff +15%}}}, 공격력 {{{#007fff +30%}}}, 공격할 때마다 최대 HP의 {{{#007fff 5%}}}만큼 HP를 회복하고 {{{#007fff 25%}}} 확률로 적을 {{{#007fff 2}}}초간 기절시킨다 || || 2 || 40 || 77 || 70초 || 매 초마다 HP {{{#ff0000 100}}} 감소, 자신을 공격했거나 자신이 공격한 적에게 매 초마다 {{{#007fff 200}}}의 트루 대미지를 입힌다. 공격 거리 {{{#007fff +1}}}, 최대 HP {{{#007fff +15%}}}, 공격력 {{{#007fff +40%}}}, 공격할 때마다 최대 HP의 {{{#007fff 5%}}}만큼 HP를 회복하고 {{{#007fff 25%}}} 확률로 적을 {{{#007fff 2}}}초간 기절시킨다 || || 3 || 40 || 74 || 70초 || 매 초마다 HP {{{#ff0000 100}}} 감소, 자신을 공격했거나 자신이 공격한 적에게 매 초마다 {{{#007fff 200}}}의 트루 대미지를 입힌다. 공격 거리 {{{#007fff +1}}}, 최대 HP {{{#007fff +15%}}}, 공격력 {{{#007fff +50%}}}, 공격할 때마다 최대 HP의 {{{#007fff 5%}}}만큼 HP를 회복하고 {{{#007fff 25%}}} 확률로 적을 {{{#007fff 2}}}초간 기절시킨다 || || 4 || 40 || 70 || 70초 || 매 초마다 HP {{{#ff0000 100}}} 감소, 자신을 공격했거나 자신이 공격한 적에게 매 초마다 {{{#007fff 200}}}의 트루 대미지를 입힌다. 공격 거리 {{{#007fff +1}}}, 최대 HP {{{#007fff +30%}}}, 공격력 {{{#007fff +60%}}}, 공격할 때마다 최대 HP의 {{{#007fff 5%}}}만큼 HP를 회복하고 {{{#007fff 25%}}} 확률로 적을 {{{#007fff 3}}}초간 기절시킨다 || || 5 || 40 || 67 || 70초 || 매 초마다 HP {{{#ff0000 100}}} 감소, 자신을 공격했거나 자신이 공격한 적에게 매 초마다 {{{#007fff 200}}}의 트루 대미지를 입힌다. 공격 거리 {{{#007fff +1}}}, 최대 HP {{{#007fff +30%}}}, 공격력 {{{#007fff +70%}}}, 공격할 때마다 최대 HP의 {{{#007fff 5%}}}만큼 HP를 회복하고 {{{#007fff 25%}}} 확률로 적을 {{{#007fff 3}}}초간 기절시킨다 || || 6 || 40 || 64 || 70초 || 매 초마다 HP {{{#ff0000 100}}} 감소, 자신을 공격했거나 자신이 공격한 적에게 매 초마다 {{{#007fff 200}}}의 트루 대미지를 입힌다. 공격 거리 {{{#007fff +1}}}, 최대 HP {{{#007fff +30%}}}, 공격력 {{{#007fff +80%}}}, 공격할 때마다 최대 HP의 {{{#007fff 5%}}}만큼 HP를 회복하고 {{{#007fff 25%}}} 확률로 적을 {{{#007fff 3}}}초간 기절시킨다 || || 7 || 40 || 60 || 70초 || 매 초마다 HP {{{#ff0000 100}}} 감소, 자신을 공격했거나 자신이 공격한 적에게 매 초마다 {{{#007fff 200}}}의 트루 대미지를 입힌다. 공격 거리 {{{#007fff +1}}}, 최대 HP {{{#007fff +45%}}}, 공격력 {{{#007fff +90%}}}, 공격할 때마다 최대 HP의 {{{#007fff 5%}}}만큼 HP를 회복하고 {{{#007fff 25%}}} 확률로 적을 {{{#007fff 4}}}초간 기절시킨다 || || 8 || 40 || 57 || 70초 || 매 초마다 HP {{{#ff0000 100}}} 감소, 자신을 공격했거나 자신이 공격한 적에게 매 초마다 {{{#007fff 200}}}의 트루 대미지를 입힌다. 공격 거리 {{{#007fff +1}}}, 최대 HP {{{#007fff +45%}}}, 공격력 {{{#007fff +100%}}}, 공격할 때마다 최대 HP의 {{{#007fff 5%}}}만큼 HP를 회복하고 {{{#007fff 25%}}} 확률로 적을 {{{#007fff 4}}}초간 기절시킨다 || || 9 || 40 || 54 || 70초 || 매 초마다 HP {{{#ff0000 100}}} 감소, 자신을 공격했거나 자신이 공격한 적에게 매 초마다 {{{#007fff 200}}}의 트루 대미지를 입힌다. 공격 거리 {{{#007fff +1}}}, 최대 HP {{{#007fff +45%}}}, 공격력 {{{#007fff +110%}}}, 공격할 때마다 최대 HP의 {{{#007fff 5%}}}만큼 HP를 회복하고 {{{#007fff 25%}}} 확률로 적을 {{{#007fff 4}}}초간 기절시킨다 || || 10 || 40 || 50 || 70초 || 매 초마다 HP {{{#ff0000 100}}} 감소, 자신을 공격했거나 자신이 공격한 적에게 매 초마다 {{{#007fff 200}}}의 트루 대미지를 입힌다. 공격 거리 {{{#007fff +1}}}, 최대 HP {{{#007fff +60%}}}, 공격력 {{{#007fff +120%}}}, 공격할 때마다 최대 HP의 {{{#007fff 5%}}}만큼 HP를 회복하고 {{{#007fff 25%}}} 확률로 적을 {{{#007fff 5}}}초간 기절시킨다 || ||
스킬 범위 || || [[파일:akn_lap_liskarm1.png|width=125]] || ||
{{{#!folding 스킬 업그레이드 재료 ▼ ||
업그레이드 레벨 ||<-3> 공통 || ||<|2> 1 → 2 ||<-3> [[파일:기술개요 1권.png]] || ||<-3> 5 || ||<|2> 2 → 3 ||<-3> [[파일:기술개요 1권.png]] [[파일:이철 조각.png]] [[파일:감미료.png]] || ||<-3> 5, 5, 4 || ||<|2> 3 → 4 ||<-3> [[파일:기술개요 2권.png]] [[파일:케톤 앰플.png]] || ||<-3> 8, 4 || ||<|2> 4 → 5 ||<-3> [[파일:기술개요 2권.png]] [[파일:장치.png]] [[파일:폴리에스테르.png]] || ||<-3> 8, 3, 3 || ||<|2> 5 → 6 ||<-3> [[파일:기술개요 2권.png]] [[파일:RMA70-12.png]] || ||<-3> 8, 4 || ||<|2> 6 → 7 ||<-3>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화합절삭액.png]] [[파일:폴리에스테르 세트.png]] || ||<-3> 8, 5, 3 || || 마스터리 || 꺼지지 않는 무거운 칼날 || 겹겹이 쌓이는 잿가루 || 죽음의 연기 || ||<|2> 7 → 8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크리스탈 회로.png]] [[파일:고원암 더미.png]]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절삭원액.png]] [[파일:레조에틸렌.png]]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크리스탈 회로.png]] [[파일:명일젤라틴.png]] || || 8, 4, 4 || 8, 4, 5 || 8, 4, 5 || ||<|2> 8 → 9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절삭원액.png]] [[파일:깁사이트.png]]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정제된 용제.png]] [[파일:열합금 덩어리.png]]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소품 액자 경화 섬유판.png]] [[파일:정제된 용제.png]] || || 12, 4, 8 || 12, 4, 8 || 12, 4, 8 || ||<|2> 9 → 10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바이폴라 나노칩.png]] [[파일:정제된 용제.png]]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D32강.png]] [[파일:프롭 프레임 링 탄화수소.png]]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크리스탈 전자 유닛.png]] [[파일:중합젤.png]] || || 15, 6, 5 || 15, 6, 6 || 15, 6, 4 || }}} || === 인프라 === ||
스킬 || 개방 조건 || 효과 시설 || 효과 || || 자수성가 α[br](白手起家·α) || 초기 || 무역소 || 무역소에 배치 시, 오더 수주 효율 {{{#007fff +25%}}}, {{{#007fff 이네스}}}를 {{{#007fff 작업장}}}에 배치 시(어시스턴트 제외) 오더 수주 효율 추가로 {{{#007fff +5%}}} || ||<-4> ↓ 2차 정예화 후 업그레이드 ↓ || || 자수성가 β[br](白手起家·β) || 2차 정예화 || 무역소 || 무역소에 배치 시, 오더 수주 효율 {{{#007fff +30%}}}, {{{#007fff 이네스}}}와 {{{#007fff W}}}를 {{{#007fff 작업장}}}에 배치 시(어시스턴트 제외) 각각 오더 수주 효율 추가로 {{{#007fff +5%}}} || === 평가 === 쿼츠, 윈드차임스에 이어 출시된 6성 대검사 직군으로, 저지한 적을 동시 공격하고, 체력과 공격력이 매우 높지만 공격속도가 느리고 방어력과 마법 저항이 0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000000 '''1재능'''}}}}}}은 심플하게 자신이 가하는 피해량 증가와 기절 및 속박이 걸린 적에 대한 추가 피해 효과로, 곱연산으로 적용되고 2스킬, 3스킬에 달린 기절로 쉽게 효과를 누릴 수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000000 '''2재능'''}}}}}}은 방마저가 0이라는 대검사 직군 특성을 보완하는 재능으로, 자신과 바로 뒤에 있는 아군에게 비호를 부여한다. 다만 방어력이 0인 특성상 잡몹들의 공격도 꽤 따갑게 들어오는 편이고, 이러한 잡몹의 공격엔 데미지 감소 효과가 떨어지니 유의할 필요가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793f;" {{{#ffffff '''1스킬'''}}}}}}은 강타류 스킬이며, 다음 공격시 추가 피해를 입히고 최대 체력에 비례해 체력을 회복한다. 마스터 시 발동할 때마다 1500 가량의 체력을 회복하기 때문에 힐러 없이 한 라인을 맡아야 할 때 채용을 고려할 수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793f;" {{{#ffffff '''2스킬'''}}}}}}은 마운틴의 2스킬과 유사한 스위칭 스킬이다. 패시브 효과로 공격력이 증가하고, 발동 시 공격 간격이 3초로 증가하는 대신 저지수가 1 증가하며 매 공격시 1초 기절을 부여한다. 1재능의 효과를 사실상 매 공격마다 받을 수 있고, 공격력 계수도 낮아보이지만 대검사 특유의 높은 공격력 때문에 마스터 기준 상시 600 정도가 추가되기 때문에, 타점이 꽤나 높은 편이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793f;" {{{#ffffff '''3스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0f0;" {{{#ffffff '''인프라'''}}}}}}는 [[이네스(명일방주)|이네스]], [[W(명일방주)|W]]와 연계되는 무역소 스킬이다. 2차 정예화 후 기본 30% 효율에 이네스와 W가 작업장[* 발전소, 제조소, 무역소, 사무실, 응접실, 제어 센터, 훈련실. 쉽게 말해 숙소를 제외한 모든 시설이다.] 내에 있을 경우 각각 5%씩 효율이 증가하여 최대 40%가 된다. 숙소가 대상 밖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이네스와 같은 주기로 교체하고, W는 훈련실이나 가공소에 배치해 두는 식으로 굴려야 최대 효율을 받을 수 있다.[* 단, W는 훈련소 스킬 뿐이라 가공소에 배치하기에는 장점이 너무 없다. ] 배치 장소 문제도 있고 W가 한정 오퍼레이터이라 이런 종류의 스킬 중에서는 최대 효율을 받기 어려운 편이다. == 오퍼레이터 상세 기록 == ||
외드레르의 증표 || || || ||
계약 || || || ||
임상 진단 분석 || || || ||
파일 자료 1 || || || ||
파일 자료 2 || || || ||
파일 자료 3 || || || ||
파일 자료 4 || || || ||
승진 기록 || || || == 대사 == [youtube()] ||
상황 || 대사 || || 어시스턴트 임명 || || || 대화 1 || || || 대화 2 || || || 대화 3 || || || 1차 정예화 후 대화 || || || 2차 정예화 후 대화 || || || 신뢰도 상승 후 대화 1 || || || 신뢰도 상승 후 대화 2 || || || 신뢰도 상승 후 대화 3 || || || 방치 || || || 오퍼레이터 입사 || || || 작전기록 학습 || || || 1차 정예화 (승진) || || || 2차 정예화 (승진) || || || 팀 배치 || || || 팀장 임명 || || || 작전 출발 || || || 작전 개시 || || || 오퍼레이터 선택 1 || || || 오퍼레이터 선택 2 || || || 배치 1 || || || 배치 2 || || || 작전 중 1 || || || 작전 중 2 || || || 작전 중 3 || || || 작전 중 4 || || || 고난이도 작전 종료 || || || 3★ 작전 종료 || || || 비 3★ 작전 종료 || || || 작전 실패 || || || 시설에 배치 || || || 터치 || || || 신뢰도 터치 || || || 인사 || || == 기타 == * 약 6개월 정도 앞서 출시된 [[이네스(명일방주)|이네스]]의 신뢰도 터치 대사 내용에서 외드레르가 이미 로도스에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기 때문에 출시 자체는 예상되었던 오퍼레이터이다. 그리고 잘안알려진 사실이지만 13지의 신캐릭터 소개때 대검을 든 이미지가 외드레르를 떠오른적이 있다. * 중국 서버 2023년 만우절 이벤트에서도 등장했는데 직접 등장한 건 아니고 [[U-Official|유레카]]의 방송 채팅에서 [[https://m.dcinside.com/board/hypergryph/1357527|애꾸눈 스파이]]라는 닉네임으로 나온다. 덕분에 그때까지 나름 진지한 캐릭터였던 외드레르의 이미지는 '''[[https://m.dcinside.com/board/hypergryph/1365066|유레카 인방을 챙겨 보는 백수 아저씨]] [[https://twitter.com/FreezeFlag/status/1647271828564643840|(출처)]]'''로 수직 추락하였다. 에피소드 10에서 외드레르를 신임한 [[https://m.dcinside.com/board/hypergryph/1365123|맨프레드]] 역시 같은 이유로 이미지가 추락한 건 덤. 이 때문에 13지역 출시 때 실장된 것도 유레카를 보러 로도스에 왔다가 이네스와 W에게 꼼짝없이 붙들린 것이라는 드립이 나왔고, 아니나다를까 중섭에서는 [[https://m.dcinside.com/board/mibj/4644953|이런]] [[https://m.dcinside.com/board/mibj/4645579|짤까지 나왔다.]] 뿐만 아니라 6개월 차이를 계속 유지할 경우 13지역 출시 시기가 요스타 서버기준으로는 2024년 4월이 되는데, 이 때는 요스타 서버가 2024년 만우절로 유레카를 받기 때문에 출시 날짜가 비슷해진다. * 2차 창작에서는 대부분 오랫동안 함께 싸워 온 동료인 [[이네스(명일방주)|이네스]]와 부부 관계로 나오는데, 상술한 육수 밈이 붙어버린 이후로는 [[엄마도 사람이야 사람|하루 종일 여캠방만 시청하면서 와이프를 고통 받게 하는 이미지]]가 생겼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명일방주/오퍼레이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즈델, version=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