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 [include(틀: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 ||<-2>
'''{{{+1 {{{#fff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1px; border-radius: 3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9bf2f; background: #f9bf2f; font-size: 1em" 외}}}}}}{{{#f9bf2f,#f9bf2f 톨이}}} {{{#d4062a,#d4062a 흡혈공주}}}{{{#010101,#010101 의}}} {{{#1d2080,#1d2080 고뇌}}}}}}''' (2023)[br]{{{#fff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1px; border-radius: 3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9bf2f; background: #f9bf2f; font-size: 1em" ひ}}}}}}{{{#f9bf2f,#f9bf2f きこまり}}}{{{#d4062a,#d4062a 吸血姫}}}{{{#010101,#010101 の}}}{{{#1d2080,#1d2080 悶々}}}[br]{{{#f9bf2f,#f9bf2f The Vexations of}}} {{{#d4062a,#d4062a a Shut-In}}} {{{#010101,#010101 Vampire}}} {{{#1d2080,#1d2080 Princes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 한글 키비주얼.png|width=100%]]}}} || ||<-2> {{{#ffffff,#d4062a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1d2080 장르}}}''' ||[[판타지]], [[여주물|여주]], [[백합(장르)|백합]] || || '''{{{#ffffff,#d4062a 원작}}}''' ||코바야시 코테이(小林湖底) || || '''{{{#ffffff,#1d2080 캐릭터 원안}}}''' ||리이츄(りいちゅ) || || '''{{{#ffffff,#d4062a 감독}}}''' ||미나미카와 타츠마(南川達馬)[* 감독 대표작: [[파도여 들어다오]], [[불꽃 소방대 2장]]] || || '''{{{#ffffff,#1d2080 시리즈 구성}}}''' ||<|2>오오치 케이이치로(大知慶一郎) || || '''{{{#ffffff,#d4062a 각본}}}''' || || '''{{{#ffffff,#1d2080 캐릭터 디자인}}}''' ||[[시타야 토모유키]] || || '''{{{#ffffff,#d4062a 서브 캐릭터 디자인}}}''' ||쿠라하시 N카루(倉橋N濘)[br]아미 케이노스케(阿見圭之介) || || '''{{{#ffffff,#1d2080 액션 디렉터}}}''' ||타카기 히로아키(髙木啓明) || || '''{{{#ffffff,#d4062a 프롭 디자인}}}''' ||타카기 아유미(髙木あゆみ) || || '''{{{#ffffff,#1d2080 미술 설정}}}''' ||타카하시 마호(高橋麻穂) || || '''{{{#ffffff,#d4062a 미술 감독}}}''' ||쿠즈 린(葛 琳) || || '''{{{#ffffff,#1d2080 색채 설계}}}''' ||하야시 유키(林 由稀) || || '''{{{#ffffff,#d4062a 촬영 감독}}}''' ||카미죠 토모야(上條智也) || || '''{{{#ffffff,#1d2080 편집}}}''' ||탄 아야코(丹 彩子) || || '''{{{#ffffff,#d4062a 음향 감독}}}''' ||타카하시 츠요시(高橋 剛) || || '''{{{#ffffff,#1d2080 캐스팅 매니저}}}''' ||토마리 잇페이(泊 一平) || || '''{{{#ffffff,#d4062a 음향 제작}}}''' ||비트그루브 프로모션 || || '''{{{#ffffff,#1d2080 음악}}}''' ||[[시이나 고]] || || '''{{{#ffffff,#d4062a 음악 제작}}}''' ||[[DMM|DMM.com]] || || '''{{{#ffffff,#1d2080 프로듀서}}}''' ||오카다 아키히코(岡田昭彦)[br]핫토리 켄타로(服部健太郎)[br]마츠모토 카즈키(松本一貴)[br]키나시 미스즈(木梨美涼)[br]와다 타쿠지(和田卓治)[br]카네미츠 카즈히로(兼光一博)[br]오야마 히토야스(尾山仁康)[br]오가타 미츠히로(尾形光弘)[br]후쿠이 노리오(福井詔雄) || || '''{{{#ffffff,#d4062a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코타니 사토시(糀谷智司) || || '''{{{#ffffff,#1d2080 애니메이션 제작}}}''' ||[[project No.9]] || || '''{{{#ffffff,#d4062a 제작}}}''' ||히키코마리 [[제작위원회]] || || '''{{{#ffffff,#1d2080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3년 10월|2023. 10. 07.]] ~ 방영 중 || || '''{{{#ffffff,#d4062a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토) 22: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브라보키즈]][* [[REMOW|리모우 코리아]] 위탁방영.] / (일) 02:30 || || '''{{{#ffffff,#1d2080 스트리밍}}}''' ||[[wavve|{{{#0050ff '''Wavve'''}}}]]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J0401_J04000000003_01_0002.1|▶]][br][[TVING|{{{#ff143d '''TVING'''}}}]] [[https://www.tving.com/contents/E004084606|▶]] || || '''{{{#ffffff,#d4062a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1d2080 화수}}}''' ||12화 (예정) || || '''{{{#ffffff,#d4062a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br]{{{-2 {{{#ffffff (주제, 폭력성, 선정성, 언어, 모방위험)}}}}}} || || '''{{{#ffffff,#1d2080 관련 사이트}}}''' ||[[https://hikikomari.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marin_PR)]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라이트 노벨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미나미카와 타츠마,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3년 10월|2023년 10월]]. == 공개 정보 == === PV === ==== 본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YRDSausZ4_g,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4062a, #1d2080)" '''{{{#ffffff,#ffffff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gXzmjaSQQI,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4062a, #1d2080)" '''{{{#ffffff,#ffffff PV 제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d_PMWQhgo8k,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4062a, #1d2080)" '''{{{#ffffff,#ffffff PV 제2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RXaU02kAco,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4062a, #1d2080)" '''{{{#ffffff,#ffffff PV 제3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aD3ld3R2_nE,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4062a, #1d2080)" '''{{{#ffffff,#ffffff 한국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VjhwC3Qjtk,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4062a, #1d2080)" '''{{{#ffffff,#ffffff 한국 본 PV}}}'''}}} || ====# 캐릭터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외톨이흡혈공주의고뇌_애니티저비주얼.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외톨이흡혈공주의고뇌_키비주얼1탄.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외톨이흡혈공주의고뇌_키비주얼2탄.jpg|width=100%]]}}} || || '''{{{#ffffff,#dddddd 티저 비주얼}}}''' || '''{{{#ffffff,#dddddd 키 비주얼 1탄}}}''' || '''{{{#ffffff,#dddddd 키 비주얼 2탄}}}''' || == 줄거리 == >'''"외톨이 흡혈공주 대장군의 폭정?!"''' >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s-2|뮬나이트 제국]]의 명문 귀족, 건데스블러드 가문의 영애,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테라코마리 건데스블러드|테라코마리 건데스블러드]]. 흡혈귀이지만 피를 >마시지 못하는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테라코마리 건데스블러드|테라코마리]]는 > >마법도 못하고, 운동신경도 없고, 키도 작아 >삼중고를 겪으며 3년 동안 방 안에서만 지내게 된다. > >하지만, 어느 날 아버지가 생각지도 못 한 취직자리를 갖고 온다. > >그 자리는 바로 ''''칠홍천 대장군!'''' > >칠홍천 대장군은 제국의 맹자만 오를 수 있는 자리며, >3개월에 한 번은 다른 나라와 전쟁을 치러 이겨야만 한다. > >더구나 부하들은 죄를 지어 쫓겨나온 자들뿐이어서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테라코마리 건데스블러드|테라코마리]]는 >취임과 동시에 하극상을 당할 처지에 놓이게 되는데.... > >절대로 하고 싶지 않은 취직자리이지만, >황체의 임명이기에 거부는 어림도 없는 일. >진짜 실력이 들통나면 바로 파면이 될 처지다. > >하지만,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테라코마리 건데스블러드|테라코마리]]는 허세와 귀여움을 무기로 >자신의 임무를 무사히 실행한다. > >'''"앞으로 내가 할 일은 단순한 세계 제패다!"''' > >다시 말해,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테라코마리 건데스블러드|테라코마리 건데스블러드]]는 >5개국 대장군을 전부 해치우고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s-2|뮬나이트 제국]]의 국위[* 국위는 '나라의 권위나 위력.']를 전 세계에 알리는 것이다. > >역사에 남을만한 최강(?!) 흡혈귀의 진격이 시작된다! >---- >출처 : [[https://bravokidstv.com/shop/item.php?it_id=1698021885|브라보키즈 공식 홈페이지]] ==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 ||<-2>
'''{{{#d4062a,#d4062a 등장인물}}} {{{#f9bf2f,#f9bf2f &}}} {{{#1d2080,#1d2080 성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테라코마리 건데스블러드|[[파일:hikikomari_chara_img01.png|width=1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빌헤이즈|[[파일:hikikomari_chara_img02.png|width=130]]]]'''}}} || ||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테라코마리 건데스블러드|{{{#000000,#dddddd 테라코마리 건데스블러드}}}]][br]CV.''' [[쿠스노키 토모리]] ||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빌헤이즈|{{{#000000,#dddddd 빌헤이즈}}}]][br]CV.''' [[스즈시로 사유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카렌 엘바시아스|[[파일:hikikomari_chara_img03.png|width=1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사쿠나 메모아|[[파일:hikikomari_chara_img04.png|width=130]]]]'''}}} || ||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카렌 엘바시아스|{{{#000000,#dddddd 카렌 엘바시아스}}}]][br]CV.''' [[히카사 요코]] ||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사쿠나 메모아|{{{#000000,#dddddd 사쿠나 메모아}}}]][br]CV.''' [[이와미 마나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네리아 커닝엄|[[파일:hikikomari_chara_img05.png|width=1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아마츠 카루라|[[파일:hikikomari_chara_img06.png|width=130]]]]'''}}} || ||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네리아 커닝엄|{{{#000000,#dddddd 네리아 커닝엄}}}]][br]CV.''' [[파이루즈 아이]] ||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아마츠 카루라|{{{#000000,#dddddd 아마츠 카루라}}}]][br]CV.''' [[시마부쿠로 미유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에스텔 클레르|[[파일:hikikomari_chara_img07.png|width=1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아이란 린즈|[[파일:hikikomari_chara_img08.png|width=130]]]]'''}}} || ||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에스텔 클레르|{{{#000000,#dddddd 에스텔 클레르}}}]][br]CV.''' ||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등장인물#아이란 린즈|{{{#000000,#dddddd 아이란 린즈}}}]][br]CV.''' || == 주제가 == === OP === ||<-2>
'''{{{#ffffff,#dddddd OP[br]Red Liberat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POy0Ntne3g, width=100%)]}}} || ||<-2> '''{{{#ffffff,#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62GvsOTaio, width=100%)]}}} || ||<-2> '''{{{#ffffff,#dddddd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A_cqmJEuwo, width=100%)]}}} || ||<-2> '''{{{#ffffff,#dddddd Full ver.}}}''' || || '''노래''' || [[fripSide]] || || '''작사''' ||<|2> [[야기누마 사토시]] || || '''작곡''' || || '''편곡''' || [[야기누마 사토시]][br]사이토 신야(齋藤真也)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미나미카와 타츠마(南川達馬) || || '''연출''' || || '''작화감독''' || [[시타야 토모유키]][br]모리야 하루키(森谷春樹)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 === ||<-2>
'''{{{#ffffff,#dddddd ED[br]眠れない feat.[[쿠스노키 토모리|{{{#fff 楠木ともり}}}]][br]잠들지 않아 feat.쿠스노키 토모리}}}'''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Mn2eOox16s, width=100%)]}}} || ||<-2> '''{{{#ffffff,#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M9AySPC9Ak, width=100%)]}}} || ||<-2> '''{{{#ffffff,#dddddd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L1LYf-S2Q0, width=100%)]}}} || ||<-2> '''{{{#ffffff,#dddddd Collaboration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dJn2OERPNg, width=100%)]}}} || ||<-2> '''{{{#ffffff,#dddddd Full ver.}}}''' || || '''노래''' ||<|4> MIMiNARI || || '''작사'''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미나미카와 타츠마(南川達馬) || || '''연출''' || || '''작화감독''' || [[시타야 토모유키]] || || '''원화''' || 쿠라하시 N카루(倉橋N濘)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회차 목록 == * 12월 2일 방송될 예정이던 9화는 「TV애니메이션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 6국 대전편 돌입 기념 SP」 특별 프로그램 방송으로 1주 지연되었다.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브라보키즈]]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4 제1화}}} || {{{-4 引きこもり吸血鬼、外に出る[br]외톨이 흡혈공주, 밖으로 나오다}}} ||<|4> {{{-4 오오치 케이이치로[br](大知慶一郎)}}} || {{{-4 미나미카와 타츠마[br](南川達馬)}}} || {{{-4 노가미 카즈오[br](のがみかずお)}}} || {{{-4 타카기 마유미[br](髙木まゆみ)[br]타카하시 마호[br](高橋万帆)[br]마츠모토 케이코[br](松本恵子)[br]타카기 히로아키[*A 액션][br](髙木啓明)}}} || {{{-4 [[시타야 토모유키]]}}} || {{{-4 日: 2023.10.07.[br]韓: 2023.10.29.}}} || || {{{-4 제2화}}} || {{{-4 下剋上、勃発[br]하극상, 발발}}} || {{{-4 타카기 히로아키}}} || {{{-4 타케자와 키요타카[br](竹澤清貴)}}} || {{{-4 이시바 호키치[br](石馬保吉)[br]타키자와 마유[br](瀧澤茉夕)[br]마사키 유타[br](正木優太)[br]타카하시 마호[br]하마츠 타케히로[br](浜津武宏)[br]馮永旭[br]타카기 히로아키[*A]}}} || {{{-4 아미 케이노스케[br](阿見圭之介)}}} || {{{-4 日: 2023.10.14.[br]韓: 2023.10.29.}}} || || {{{-4 제3화}}} || {{{-4 ひきこもり吸血姫の闇[br]외톨이 흡혈공주의 어둠}}} || {{{-4 미나미카와 타츠마}}} || {{{-4 키리시마 코스케[br](霧島孝介)}}} || {{{-4 타키자와 마유[br]타카하시 마호[br]馮永旭[br]慧敏[br]明光[br]龍光[br]타카기 히로아키[*A]}}} ||<|2> {{{-4 시타야 토모유키[br]모리야 하루키[br](森谷春樹)[br]마사키 유타}}} || {{{-4 日: 2023.10.21.[br]韓: 2023.11.05.}}} || || {{{-4 제4화}}} || {{{-4 孤紅の恤[br]고홍의 애도}}} || {{{-4 타카기 히로아키}}} || {{{-4 타나카 켄타로[br](田中健太郎)}}} || {{{-4 無錫極速蝸牛動畫[br]上海樊特姆動画[br]Double Swords 애니메이션[br](Double Swordsアニメーション)[br]빛의 정원 애니메이션[br](光の園・アニメーション)[br][[STUDIO MASSKET]][br]타카기 히로아키[*A]}}} || {{{-4 日: 2023.10.28.[br]韓: 2023.11.05.}}} || || {{{-4 제5화}}} || {{{-4 サクナ・メモワールと七紅天たち[br]사쿠나 메모아와 칠홍천들}}} || {{{-4 스기사와 사토루[br](杉澤 悟)}}} || {{{-4 에조에 히토미[br](江副仁美)}}} || {{{-4 노가미 카즈오}}} || {{{-4 Double Swords 애니메이션}}} || {{{-4 야마구치 키오[br](山口葵央)}}} || {{{-4 日: 2023.11.04.[br]韓: 2023.11.12.}}} || || {{{-4 제6화}}} || {{{-4 曲者ぞろいの円卓会議[br]수상한 자들의 원탁회의}}} || {{{-4 오오치 케이이치로}}} || {{{-4 타카하시 히데토시[br](高橋英俊)}}} || {{{-4 타카기 아유미[br](髙木あゆみ)}}} || {{{-4 타카하시 마호[br]타키자와 마유[br]니시다 미야코[br](西田美弥子)[br]上海樊特姆動画[br]STUDIO MASSKET[br]24FPS[br]Studio EverGreen[br]타카기 히로아키[*A]}}} || {{{-4 시타야 토모유키[br]모리야 하루키[br]마사키 유타}}} || {{{-4 日: 2023.11.11.[br]韓: 2023.11.12.}}} || || {{{-4 제7화}}} || {{{-4 スカーレット・ステージ[br]스칼렛 스테이지}}} || {{{-4 스기사와 사토루}}} || {{{-4 사이토 노리아키[br](斎藤徳明)}}} || {{{-4 타나카 켄타로}}} || {{{-4 龍光[br]慧敏[br]鑫月[br]兰彦军[br]王振业[br]謝佳佳[br]王世林[br]타카기 히로아키[*A]}}} || {{{-4 마사키 유타[br]모리야 하루키}}} || {{{-4 日: 2023.11.18.[br]韓: 2023.11.26.}}} || || {{{-4 제8화}}} || {{{-4 アステリズムの廻転[br]아스테리즘의 회전}}} ||<|2> {{{-4 오오치 케이이치로}}} || {{{-4 미야자와 츠토무[br](宮澤 努)}}} || {{{-4 타케자와 키요타카}}} || {{{-4 시라이 베니하[br](白井紅羽)[br]니시다 미요코[br](西田美代子)[br]타카하시 마호[br]姚远[br]冯永旭[br]吳存[br]唐書強[br]劉文慧[br]無錫極速蝸牛動畫[br][[오오키 켄이치]][*A]}}} || {{{-4 시타야 토모유키[br]모리야 하루키[br]마사키 유타[br]오가와 에리[br](小川エリ)}}} || {{{-4 日: 2023.11.25.[br]韓: 2023.12.10.}}} || || {{{-4 제9화}}} || {{{-4 翦劉茶会[br]}}} || {{{-4 사이토 노리아키}}} || {{{-4 노가미 카즈오}}} || {{{-4 鄭州指間動漫科技有限会社[br]無錫極速蝸牛動畫[br]타카기 히로아키[*A]}}} || {{{-4 시타야 토모유키[br]모리야 하루키[br]마사키 유타}}} || {{{-4 日: 2023.12.09.[br]韓: 2023.12.17.}}} || || {{{-4 제10화}}} || || || || || || || {{{-4 日: 2023.[br]韓: 2023.}}} || || {{{-4 제11화}}} || || || || || || || {{{-4 日: 2023.[br]韓: 2023.}}} || || {{{-4 제12화}}} || || || || || || || {{{-4 日: 2023.[br]韓: 2023.}}} || == 해외 공개 == === 대한민국 === 한국에서는 [[REMOW|리모우 코리아]]가 수입하여 10월말부터 [[브라보키즈]]를 통해 자막으로 방영하고 있다. 번역은 누벨콘텐츠 미디어, 편집은 디지로드에서 담당했다. ==== 화면 수정 논란 ==== 본작은 19세 이상 시청가 등급인데도 모자이크가 매우 심각한 편이다. 가히 2010년대 후반의 [[애니맥스 코리아]]를 방불케 하는 수준. 1화에서 빌헤이즈가 알몸으로 코마리의 침대에 누워 있는 장면에서는 어깨부터 발끝까지 전부 다 덮어놨고, 2화의 목욕 장면에서도 약간의 가슴골 노출까지 싹 다 덮어놨다. 선정성뿐만 아니라 폭력성 면에서도 3화에서 밀리센트가 코마리의 목에 칼을 대는 장면에서 칼을 뿌옇게 모자이크 처리했다. 무엇보다도 방송뿐만 아니라 VOD에서조차 검열을 유지하는 후안무치한 만행까지 저질렀다. 이는 같은 수입사의 [[언더닌자/애니메이션|언더닌자]]나 [[성검학원의 마검사/애니메이션|성검학원의 마검사]]를 비롯한 다른 작품들도 마찬가지.[* 진짜 골 때리는 건 같은 수입사 및 방송사의 전 분기 작품인 [[우리 회사의 작은 선배 이야기/애니메이션|우리 회사의 작은 선배 이야기]]는 15세 이상 시청가 등급인데도 검열이 거의 없었다는 점이다. 유일하게 검열된 부분은 3화의 카타세 샤워 장면인데, 카타세의 전신이 적나라하게 노출된 부분만 삭제하고 그 앞뒤 장면의 프레임을 느리게 돌려서 러닝타임을 채우는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대처했다. 그래서 직접 원판과 비교해 보면 샤워물이 약간 느리게 나오는 걸 알 수 있는데, 애초에 잘린 부분이 2~3초 남짓하는 수준이라 크게 거슬릴 정도는 아니다. 8화의 온천 장면은 대놓고 100% 무검열로 내보냈는데, 이처럼 15금에서도 멀쩡히 내보낼 수 있는 장면을 정작 19금인 본작에서는 검열로 떡칠해놓은 이유를 전혀 알 수 없는 지경이다.] 게다가 같은 분기에 본작과 비슷하게 수위가 높은 [[대원방송]]의 [[언데드 언럭/애니메이션|언데드 언럭]]이 15세 이상 시청가 등급인데도 거의 무검열로 방영되어 더더욱 비교되는 실정이다. 검열도 검열이지만 오프닝의 타이틀 로고는 일본판 로고를 대충 모자이크 처리만 하고 그 위에 한국판 로고를 씌운 게 눈에 띌 정도다. 그것도 로고 부분만 가린 게 아니라 화면의 거의 전체를 덮어버렸다. 정작 해당 부분을 제외하면 화면 텍스트 한글화는 생각보다 잘 된 편이라 더더욱 아쉬울 따름. [[파일:리모우코리아 편집 문제.png|width=400]] == 평가 == [include(틀:평가/Filmarks(애니메이션), code=, user=X.X)]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 user=X.XX)] [include(틀:평가/IMDb, code=, user=X.X)]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 user=X.X)] [include(틀:평가/ANIPLUS, code=, user=X.X)]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 user=X.X)] [include(틀:평가/왓챠, code=, user=X.X)]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방송), code=, Heart=X)] === 방영 전 === 공개된 스태프 중 감독 미나미카와 타츠마는 이전에 [[파도여 들어다오]]와 [[불꽃 소방대 2장]]을 무난하게 만들어내며 감독 실력은 검증받았고 PV도 무난한 퀄리티로 나왔다. 다만 캐릭터 디자이너로 [[시타야 토모유키]]가 발탁되었다는 사실에 우려의 반응이 일부 있다. 시타야는 실력은 있으나 캐릭터 디자인을 할 때 움직임으로 묘사하기 어려운 선을 많이 쓰는 문제로 디자인으로 참여하는 애니메이션마다 작화 퀄리티의 기복이 심해져 구설수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디자인 자체는 시타야 답게 수려하게 뽑았다는 평. 성우진도 엄청 화려하다. === 방영 후 === 감독 미나미카와 타츠마(南川達馬)가 실력 있는 사람이고 타카기 히로아키(髙木啓明) 같은 액션 연출에 능한 애니메이터가 종종 참여하고 있어 연출과 동화의 질이 좋은 편이다. 특히 액션신이 많았던 4화에서 정점을 찍었다. 캐릭터 디자인부터가 예쁘게 되어있어 캐릭터들의 귀여움을 충분히 잘 살리고 있다. 주연 성우들의 연기력 역시 안정적이며, 일상 파트 뿐만이 아니라 감정이 터지는 클라이맥스 장면에서도 훌륭한 연기를 선보여주고 있다. 5화에서 퀄리티가 이전 화수들에 비해 급격히 무너져내려 비판을 받았다. 그 전부터도 대체로 [[시타야 토모유키]]가 총 작화감독으로 참여한 화수만 퀄리티가 나쁘지 않고 그 외에는 퀄리티가 눈에 띄게 낮아지는 기복을 보인다. 백합 장르 팬들에게도 평가가 나쁘지 않은 편. 동년 방영한 같은 판타지/백합 장르인 [[전생 왕녀와 천재 영애의 마법 혁명/애니메이션|전생 왕녀와 천재 영애의 마법 혁명]]의 경우 백합 요소에 아주 진하게 집중한 반면 서사성을 일부 포기한 부분이 있는데, 이 작품의 경우 남성향 백합이라는 점도 있어서, 백합 요소를 개그씬 정도의 함량으로 줄인 대신 서사쪽에 집중했기에 일반 시청자들에게도 평가가 나쁘지 않다. 다만 원작 팬들에게는 호불호가 갈리기도 한다. 레이저를 쏘는 장면이 폭발로 대충 처리가 되거나, 2권에서 3권 넘어가는 중요 과정 중 하나인 코마리의 알카 공화국을 얼리는 장면이 축약[* 대신에 원작 내용을 충실하게 담은 페이지에서 공개되었다.]되는 등 생략된 부분이 많다는 반응. [[분류: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3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분류:백합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