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요비누스.jpg|width=100%]] || || '''이름''' ||요비누스[br](Jovinus)|| || '''출생''' ||미상|| || '''사망''' ||[[413년]]|| || '''직위''' ||갈리아 [[원로원]] 의원|| || '''반란 대상''' ||[[호노리우스]]||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제국]] [[테오도시우스 왕조]]의 반란자. [[콘스탄티누스 3세]]의 잔당들을 규합하여 황제가 되어 2년간 갈리아에서 활동했으나, 413년 [[고트족]]에게 붙잡혀 호노리우스에게 넘겨진 후 처형당했다. == 생애 == 브리타니아 주둔 로마군을 이끌고 갈리아로 진격하여 상당기간 황제로서 활동한 [[콘스탄티누스 3세]]가 세운 [[원로원]] 의원이다. 411년 콘스탄티누스 3세가 [[콘스탄티우스 3세]]에게 패하고 목숨을 잃은 뒤, 그는 마인츠에서 부르고뉴 왕 군다하르와 알란 왕 고아르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 이후 콘스탄티누스 3세를 따랐던 잔당들을 규합한 뒤 갈리아에서 2년간 직위를 유지했다. 요비누스는 리옹, 트리어, 아를의 갈리아 귀족들의 지지를 받았고, 군다하르는 요비누스로부터 라우터 강과 나헤 강 사이의 라인강 좌안 평원에 거주지를 세울 권리를 '인정'받고, 거기에 부르고뉴 왕국을 세웠다. 412년 초, [[아타울프]]가 이끄는 고트족이 갈리아에 들어섰다. 아타울프는 요비누스와 협상하여 거주지를 받아내려 했지만, 요비누스는 아타울프의 경쟁자 사루스의 충성을 받았다. 그러자 아타울프는 사루스를 제거했고, 요비누스는 412년 사루스의 동생 [[세바스티아누스]]를 공동 황제로 즉위시켰다. 아타울프는 이탈리아의 [[호노리우스]]와 손을 잡기로 하고, 413년 발렌티아에서 요비누스를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요비누스는 포로로 집한 뒤 나르보로 끌려가 참수되었고, 그의 수급은 8월 말 라벤나에 거주하는 호노리우스에게 보내졌다. [[분류:비정통 황제]][[분류:서로마 제국/군인]][[분류:서로마 제국/정치인]][[분류:41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