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로마 카이사르)] ||<-2> '''{{{#fecd21 동로마 제국 카이사르[br]{{{+1 Ιωάννης Ρογέριος Δαλασσηνός | 요안니스 로게리오스 달라시노스}}}}}}''' || || '''{{{#fecd21 생몰 년도}}}''' ||1100년경 - 1166년 이전 || || '''{{{#fecd21 카이사르 재위 기간}}}''' ||1136년 - 1152년 || || '''{{{#fecd21 부모}}}''' ||로게리오스(아버지)[br]달라시노이(어머니) || || '''{{{#fecd21 아내}}}''' ||마리아 콤니니 || || '''{{{#fecd21 자녀}}}''' ||안드로니코스 콤니노스[br]알렉시오스 콤니노스[br]안나 콤니니[br]테오도라 콤니니 || [목차] [clearfix] == 개요 == [[동로마 제국]] [[콤니노스 왕조]]의 [[카이사르(칭호)|카이사르]]. 1136년 [[요안니스 2세]]에 의해 카이사르 칭호를 수여받았다. 1143년 요안니스 2세 사후 반란을 꾸몄다가 발각되어 감금되었고, 1146년 [[마누일 1세]]의 용서를 받아 복귀했다. == 행적 == 1100년경 [[로베르 기스카르 전쟁]]에 참여했다가 [[알렉시오스 1세]]에게 귀순한 로게리오스와 달라세노스 가문 출신의 여인 사이의 아들로 출생했다. 그는 어머니의 성을 선호해 자신을 '요안니스 달라시노스'라고 칭했지만, 요안니스 키나모스 등 대다수 동로마 역사가들은 그의 노르만식 성인 로게리오스라고 불렀다. 1136년 이전에 [[요안니스 2세]]의 장녀 마리아 콤니니와 결혼했고, [[니키포로스 브리엔니오스]]의 사망으로 공석이 된 카이사르를 수여받았다. 1143년 동방 원정을 떠났던 요안니스 2세가 사망하자,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가 빈 틈을 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거주하는 노르만인들과 일부 귀족들의 후원을 받아 황위를 쟁취하려 했다. 그러나 [[요안니스 악수흐]]가 이끄는 동로마군이 예상보다 빨리 돌아왔고, 아내 마리아가 마누일에게 남편의 음모를 이실직고하는 바람에 들통나고 말았다. 그는 긴급 체포된 뒤 대관식이 열릴 때까지 억류되었다가 마누일의 사면을 받고 직위를 유지했다. 1147년 2월 블라헤르네 궁전에서 열린 공의회에 참석했으며, 1152년 바르다르 계곡 상류에 있는 스트루미차 총독에 부임했다. 1145/1146년경 아내 마리아 콤니니가 사망한 후 홀아비로 지내던 그는 1152년 안티오키아 공작 레몽이 사망한 후 미망인 [[콩스탕스]]가 [[안티오키아 공국]]의 단독 여성 군주가 되자 안티오키아를 동로마 제국에 완전히 복속시키기로 마음먹은 마누일 1세에 의해 안티오키아로 보내져서 콩스탕스에게 청혼했다. 그러나 콩스탕스는 그가 너무 늙고 매력적이지 않다고 여기고 [[르노 드 샤티용]]과 결혼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온 그는 모든 직위에서 물러나 수도원 생활을 하다가 1166년 이전에 사망했다. 그는 마리아 콤니니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과 두 딸을 낳았다. 아들 안드로니코스와 알렉시오스는 별다른 기록이 없고, 안나 콤니니는 제국의 스트라테고스를 역임하던 알렉시오스 페트랄리파스와 결혼했다. 테오도라 콤니니는 마누일1세의 심복인 [[안드로니코스 콘토스테파노스]]의 형제인 요안니스 콘토스테파노스와 결혼했다. [[분류:카이사르]][[분류:1100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