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22222, #D44B4B 30%, #D44B4B 70%, #B22222)" {{{#ffffff '''요제프 마소푸스트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틀:발롱도르(1960년대)|[[파일:발롱도르 트로피.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발롱도르(1960년대)|{{{#c18e33 '''1962 발롱도르'''}}}]]}}}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월드 사커 올해의 팀|[[파일:월드사커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D1C35; font-size: 0.9em" [[월드 사커 올해의 팀|{{{#ffffff '''월드 사커 올해의 팀'''}}}]]}}} ||<-3>[[틀:월드사커올해의팀1962|1962]] · [[틀:월드사커올해의팀1964|1964]] || || [[틀: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0 베스트 11|[[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27px-UEFA_Euro_1960.svg.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0.9em" [[틀: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0 베스트 11|{{{#1b1c20 '''1960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 || || || ---- [include(틀:UEFA 주빌리 어워드 수상자)]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체코의 前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osef_Masopust_official_photo.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요제프 마소푸스트'''}}}[br]'''Josef Masopust''' || ||<-2> {{{#000000,#e5e5e5 ''' 출생 ''' }}} ||[[1931년]] [[2월 9일]] [br] {{{-2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모스트 스트르지미체}}} || ||<-2> {{{#000000,#e5e5e5 ''' 사망 ''' }}} ||[[2015년]] [[6월 29일]] (향년 84세) [br] {{{-1 [[체코]] [[프라하]]}}}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체코)] || ||<-2>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77cm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 ([[미드필더]] / ^^은퇴^^)[br][[축구감독]] (^^은퇴^^)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ZSJ 테플리체 (1950~1952) [br] '''[[FK 두클라 프라하]] (1952~1968)''' [br] 크로싱 몰렌베이크 (1968~1970) || || {{{#000000,#e5e5e5 ''' 감독 ''' }}} ||[[FK 두클라 프라하]] (1973~1976) [br] [[즈브로요프카 브르노]] (1976~1980) [br] KSC 하셀트 (1980~1984) [br]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 (1984~1987) [br] 인도네시아 U-23 대표팀 (1988~1991) [br] [[즈브로요프카 브르노]] (1992) [br] FK 펠리칸 데친 (1993~1996)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0]]]] 63경기 10골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 / 1954~1966)^^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i3.cn.cz/1296728875_masopust5.jpg|width=100%]] [[체코]]의 前 축구선수이자 축구감독. 체코 선수로는 최초로 [[발롱도르]]를 수상한 [[1950년대]]-[[1960년대|60년대]]를 대표한 미드필더 중 하나였다. 센터 하프로 당대 최고의 패서이자 드리블러 중 하나였다. 마소푸스트의 전진 드리블에는 '마소푸스트 활강'이라는 수식어가 따로 있을 정도. 수비적인 면에서 마소푸스트는 공을 직접 따내는 것에 능한 선수는 아니었으나 탁월한 위치 선정으로 패스를 인터셉트하는 것을 잘했다. == 클럽 == 1946년 뫼스트의 유소년팀에 초청된 것으로 정식적으로 축구를 시작한 마소푸스트는 하부리그에서 데뷔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1부리그의 테플리체로 이적한다. 마소푸스트의 재능은 얼마 안가 전국에 알려졌고 1952년 ATK 프라하와 계약했다. ATK 프라하는 명칭을 UDA 프라하, [[FK 두클라 프라하]]로 변경했고 마소푸스트를 비롯해 [[라디슬라프 노박]], [[스바토플루크 플루스칼]]과 같은 체코슬로바키아 축구계의 거목들이 활약했다. 마소푸스트가 뛴 16년간 두클라 프라하는 8회의 리그 우승을 거머쥐었고, 마소푸스트는 팀내 최고의 슈퍼스타였다. 두클라 프라하는 자국 뿐만 아니라 유럽의 강자가 되기 위한 도전도 했으나 번번히 물을 먹었다. 1962년부터 1964년까지는 UEFA 컵에서 8강 탈락했고 1966-67 시즌 유러피언 컵 4강에서 셀틱을 만났으나 [[지미 존스톤]]의 맹활약으로 결승 진출이 무산되었다. 마소푸스트는 뮌헨 비행기 참사와도 연관이 있다. 1957-58 시즌 유러피언 컵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레드 스타를 만나기 전 상대가 바로 두클라 프라하였기 때문이다. 마소푸스트는 후에 자신들이 이겼더라면 비극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회고했고 바비 찰튼과의 대화에서도 이를 말했다고 한다. 1968년 전성기가 한참 지난 37세의 마소푸스트는 해외 이적의 기회를 얻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공산주의 국가였기 때문에 90년대가 돼서야 해외진출의 길이 열렸고 이전에는 해외 이적의 기회가 있더라고 전성기가 한참 지난 선수들에게만 허용되었다. 마소푸스트는 벨기에 2부리그의 크로싱 몰렌베이크로 이적했고 2시즌간 활약한 뒤 은퇴했다. == 국가대표 == 1954년부터 1966년까지 63경기에 나서 10골을 넣었다. 메이저 대회로는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1958년 월드컵]],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0]], [[1962 FIFA 월드컵 칠레|1962년 월드컵]]에 참가했다. 1954년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와의 경기에서 데뷔한 마소푸스트는 금세 핵심 전력이 되었고 팀을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1958년 월드컵]]에 올려놓는다. 체코슬로바키아는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를 6-1로 완파하는 등의 모습을 보였으나 2위인 북아일랜드와 승점 동률의 상황에서 치룬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패배하며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0]]에서는 첫 경기인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소련]]전에서 0-3으로 완패했으나 3, 4위 결정전에서 개최국인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를 2-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마소푸스트는 이 대회에서 라디슬라프 노박과 함께 대회 베스트 XI에 이름을 올렸다. [[1962 FIFA 월드컵 칠레|1962년 월드컵]]은 마소푸스트가 자신의 모든 것을 보여준 대회이다. 조별리그에서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과 같은 조가 된 체코슬로바키아는 2승 1무로 8강에 진출했고 손쉽게 헝가리와 유고슬라비아라는 두 공산 국가들을 잡아내며 결승전에 안착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신사적인 팀으로 유명했는데,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칠레]]와의 경기에서 퇴장당한 [[가린샤]]가 결승전에서 뛸 수 있었던 이유 중에 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의 요청이 있었기 때문이다. 마소푸스트는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을 상대로 선발 출전했고 15분만에 포피찰의 패스를 이어받아 선취골을 터뜨렸다. 마소푸스트는 언젠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나는 어릴적 월드컵 결승전에 출전해 결승골을 넣는 꿈을 꾸었다." 마소푸스트는 골을 넣는 것으로 그 꿈을 이루나 싶었으나 얼마 안 가 아마리우두가 각도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골을 성공시켰고, 동료 골키퍼인 [[빌리암 쉬로이프]]가 치명적인 실책을 연이어 저지르며 1-3으로 패배, 마소푸스트의 꿈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전 문서와 위키백과 등지에서는 이때 실버볼을 마소푸스트가 받았다고 했으나 정작 피파 공홈과 RSSSF에는 이 당시 수상자 명단은 나오지도 않았다. 1982년 이후 수상자만 피파 공홈에서 인정받을 뿐이고 후대 평가 중 피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건 신인상 뿐이다.자세한 내용은 월드컵/수상 문서 참고. 다만 이 대회에서 체코슬로바키아의 결승진출에 그가 캐리한 것은 사실이다. 또한 이 대회의 활약을 기반으로 1962년 발롱도르를 수상하기까지 했다. 마소푸스트는 1966년 월드컵 예선전에 단 1경기만 뛰었고 체코슬로바키아는 월드컵 진출에 실패했다. 1966년 마소푸스트는 대표팀에서 은퇴했다. == 지도자 == 은퇴 직전 이적한 크로싱 몰렌베이크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뛰며 지도자 생활에 적응했고 1973년 FK 두클라 프라하의 감독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3시즌 간 마소푸스트는 리그 타이틀을 획득하지 못했고, 1977-78 시즌 즈브로요브카 브르노의 감독으로 리그 우승을 따낸 것이 처음이자 마지막 리그 타이틀이다. 1984년 체코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임명되었으나 메이저대회에 참여하는 것에는 실패했다. 이후 인도네시아 올림픽 대표팀의 감독을 거쳐 1996년 펠리칸 데친의 감독을 끝으로 감독직에서 은퇴했다. == 은퇴 이후 == 은퇴한 뒤 마소푸스트는 FK 두클라 플라하의 전직 선수들과 모임을 갖기도 했으며 정원을 가꾸는 등 평범한 생활을 했다. 2015년 6월 29일 마소푸스트는 프라하의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다. 정확한 사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체코 공영 방송은 그가 지병을 앓고있었다는 추측을 하고 있다. == 여담 == [[파일:시대별 최고의 수비형 미드필더.jpg|width=100%]] 골닷컴에서 시대별 최고의 수비형 미드필더 5인을 선정했는데, 1960년대 최고의 수비형 미드필더 3위에 이름을 올렸다. [각주] [[분류:1931년 출생]][[분류:2015년 사망]][[분류:체코슬로바키아의 축구선수]][[분류:체코슬로바키아의 축구감독]][[분류:체코의 축구감독]][[분류:미드필더]][[분류:FK 두클라 프라하/은퇴, 이적]][[분류:FK 두클라 프라하/역대 감독]][[분류:FC 즈브로요프카 브르노/역대 감독]][[분류: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체코슬로바키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58 FIFA 월드컵 스웨덴 참가 선수]][[분류:1962 FIFA 월드컵 칠레 참가 선수]][[분류:체코슬로바키아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0 참가 선수]][[분류:발롱도르 수상자]][[분류:UEFA 주빌리 어워드 수상자]][[분류:우스티 주 출신 인물]][[분류:1970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