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용궁 김씨]] ||<-2> {{{#!wiki style="margin: -15px -10px" || '''{{{#000 {{{+1 龍宮 金氏}}}[br]{{{+1 용궁 김씨}}}}}}''' ||}}} || || '''{{{#FFF 관향}}}''' ||[[경상북도]] [[예천군]] || || '''{{{#FFF 시조}}}''' ||[[김존중]](金存中) || || '''{{{#FFF 집성촌}}}''' ||[[경상북도]] [[예천군]][br][[경상남도]] [[하동군]] || || '''{{{#FFF 인구}}}''' ||12,569명^^(2015년)^^ || || '''{{{#FFF 대종회}}}''' ||[[http://www.yonggungkim.com/|용궁김씨대종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예천군]]을 본관으로 둔 [[한국의 성씨]]. [[김존중]](金存中)을 시조로 두고 있다. == 유래 == 김존중은 [[경순왕]]의 사남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8세손으로[* 다만 이 대안군 김은열이 실존 인물이 아니라는 의견이 가정사실로 받아들여진다. 조선 후기 <김은열 묘지명>이라는 것이 발견되는데, 이전 시기에는 김은열이라는 인물의 이름이 어느 기록에서도 발견되지 않기 때문.], 전통적 인왕사[* 임금의 스승.] 가문에서 태어나 소과(小科)인 남성시[* 南省試, 진사를 뽑는 국사감시.]를 거친 뒤 [[인종]] 땐 대과(大科)에 급제하여 태자시학(太子侍學)이 되었다. [[의종(고려)|의종]]의 즉위 후 좌정언(左正言), 지제고(知制誥)를 거쳐 [[중추원|추밀원]]의 좌우승선(左右承宣)에 올랐고, 이어 전조[* 조선으로 따지면 이조+예조이다.]를 겸했다. 이후엔 태자소부(太子少傅)가 되어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이부상서(吏部尙書), 정당문학(政堂文學)을 거쳐서 수문전 대학사(修文殿大學士)를 최종적으로 제수되고 용궁군(龍宮君)에 봉해졌다. == 본관 == 용궁은 [[경상북도]] [[예천군]]에 있는 지명으로, 신라 땐 축산현(竺山縣), 원산현(園山縣)으로 불렸다. [[고려]] 초에는 용주(龍州)라 하다가 현종 3년 용궁현(龍宮縣)으로 개칭되었다. == 기타 == 2014년 1월 법원통계월보에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해 용궁 김씨가 귀화 성씨로 소개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있었다. 본 문서의 유래 항목을 보면 용궁 김씨는 상당히 뿌리깊은 성씨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