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 top2=블랙 매지션 걸(유희왕/카드군), top3=매지션 걸)]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DarkMagicianGirltheDragonKnight-JP-Anime-DM-NC.png]] || 한글판 명칭 ||<-4>'''용기사 블랙 매지션 걸'''|| || 일어판 명칭 ||<-4>'''[ruby(竜, ruby=りゅう)][ruby(騎士, ruby=きし)]ブラック・マジシャン・ガール'''|| || 영어판 명칭 ||<-4>'''Dark Magician Girl the Dragon Knight'''|| ||<-5> [[융합 소환|융합]]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어둠 || 드래곤족 || 2600 || 1700 || ||<-5>"블랙 매지션 걸" + "티마이오스의 눈"[br]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데미지 계산을 실행하지 않고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竜騎士ブラック・マジシャン・ガール_設定画.jp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설정화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 [[블랙 매지션 걸]]이 [[티마이오스의 눈]]의 능력으로 융합되어 재탄생한 형태. 157화에서 [[라펠]]과의 1차전 듀얼 중 첫 등장했다. [[가디언(유희왕)#가디언 그랄|가디언 그랄]]을 공격해 자신의 효과로 파괴했으나, 라펠이 발동한 속공 마법 [[라펠#셀프 새크리파이스|셀프 새크리파이스]]의 효과로 파괴가 불발됐다. 다음 턴에 가디언 그랄을 다시 공격했으나, 이번엔 지속 함정 [[라펠#수정의 봉인|수정의 봉인]]의 효과로 공격이 봉인된다. 유우기는 [[익스체인지]]의 효과로 갖게 된 라펠의 [[오리컬코스의 결계]]를 발동해 공격력을 올려 수정의 봉인을 파괴했지만, 이는 라펠의 함정이었다. 오리컬코스의 힘과 [[이름없는 용]]의 힘은 상반되는 힘이었기에 이 카드의 합체가 풀려 블랙 매지션 걸로 돌아왔다. 이후 164화에서 오리컬코스 솔저와의 듀얼 중 위기에 처한 유우기가 다시 [[티마이오스의 눈]]을 발동해내는 데에 성공하고, 무사히 융합 소환된 뒤에 장착 마법 [[엑스칼리버]]의 효과로 공격력을 배로 올리고 [[오리컬코스#오리컬코스 기가스|오리컬코스 기가스]]를 전투로 파괴하면서 피니셔가 됐다. 자신의 덱과의 유대가 깨진 상태였던 유우기는 이 듀얼이 끝난 후 자신에게 다시 힘을 빌려달라며 유대를 회복했다. 176화에서 라펠과의 2차전 듀얼 중에도 소환돼 [[가디언 데스사이스]]를 공격했으나, 가디언 데스사이스의 내성으로 인해 패를 줄이는 선에서 끝났고, 다음 턴에 [[오리컬코스#오리컬코스의 마봉검|오리컬코스의 마봉검]]으로 인해 효과가 무효화되고 가디언 데스사이스의 공격으로 파괴됐다. 공격명은 '블랙 드래곤 버스트(ブラック・ドラゴン・バースト / Black Dragon Burst)'.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include(틀:유희왕/OCG/컬렉터즈 팩 커버 카드)] ||<:>[[파일:竜騎士ブラック・マジシャン・ガール.jpg|width=100%]]||<:>[[파일:竜騎士ブラック・マジシャン・ガール(イラスト違い).jpg|width=1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용기사 블랙 매지션 걸, 일어판 명칭=竜騎士(りゅうきし)ブラック・マジシャン・ガール, 영어판 명칭=Dark Magician Girl the Dragon Knight, 레벨=7,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600, 수비력=1700, 소재="블랙 매지션 걸" + 드래곤족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는 상기 카드를 융합 소재로 한 융합 소환 또는 "티마이오스의 눈"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1턴에 1번\, 패를 1장 묘지로 보내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앞면 표시의 카드를 파괴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나와라! 용기사 블랙 매지션 걸! >---- >유희왕 듀얼링크스, 어둠의 유희 전용 소환 대사 >용기사 블랙 매지션 걸로 공격! 블랙 드래곤 버스터! >---- >유희왕 듀얼링크스, 어둠의 유희 전용 대사 TCG의 [[Dragons of Legend]]에서 첫 등장했다. 융합 제약은 융합 소환으론 융합 소재 대체 불가, 융합 소환 이외의 수단은 티마이오스의 눈의 효과로만 소환 가능하단 제약이 있다. 이 때문에 필드의 드래곤족 몬스터 혹은 블랙 매지션 걸과 [[융합 주술봉인 생물]]을 묘지로 보내고 특수 소환하거나, [[데블 프랑켄]]으로 특수 소환하는 등의 변칙 소환은 불가능하다. 대신 드래곤족이므로 [[종말의 기사]] 등으로 덱의 블랙 매지션 걸을 묘지로 보낸 후 [[용의 거울]]로 융합 소환할 수 있으며,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 등으로 카드명을 블랙 매지션 걸로 취급해 융합 소환하는 것도 된다. 흑마술의 비의로도 쉽게 나올 수 있다. 또 블랙 매지션 걸만 자신 필드에 있다면 [[초융합]]으로 상대 드래곤족 몬스터를 잡아먹고 소환할 수도 있다. 파괴 효과의 경우 패 코스트가 필요하지만, 앞면 표시 카드 1장을 언제든 파괴할 수 있어서 유용하다. 상대 턴에도 발동 가능하니 상대가 발동하는 카드 낱장에도 체인을 걸 수 있다. 하지만 뒷면 표시 카드는 파괴할 수 없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 -전설의 듀얼리스트 편- || CPL1-KR004 || [[울트라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컬렉터즈 팩|コレクターズパック]] -伝説の決闘者編- || CPL1-JP004 || [[울트라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 [[더 레어리티 컬렉션|RARITY COLLECTION -PREMIUM GOLD EDITION-]] || RC03-JP020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컬렉터즈 레어]][br]프리미엄 [[골드 레어]] || 일본 || 신규 일러스트 || || [[Dragons of Legend]] || DRLG-EN004 || [[시크릿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 수록 || || Dragons of Legend: Unleashed || DRL3-EN044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Legendary Dragon Decks || LEDD-ENA36 || [[노멀]] || 미국 || ||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블랙 매지션 걸]] ==== === 기타 관련 카드 === ==== [[티마이오스의 눈]] ==== 융합 소환에 필요한 전용 서포트 카드. ==== [[용기사 블랙 매지션]] ====